초등 영재의 정보과학교과 수행능력과 영재성 간의 관계분석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of Computer Science Literacy to Giftedness in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심재권 (고려대학교 컴퓨터교육학과) ;
  • 김자미 (고려대학교 컴퓨터교육학과) ;
  • 이원규 (고려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Shim, Jae-Kwoun (Dept. of Computer Science Education, Korea University) ;
  • Kim, Ja-Mee (Dept. of Computer Science Education, Korea University) ;
  • Lee, Won-Gyu (Dept. of Computer Education, Korea University)
  • 투고 : 2011.01.18
  • 심사 : 2011.07.22
  • 발행 : 2011.09.30

초록

지식산업사회에서 국가경쟁력을 높이는데 기여하는 영재에 대한 선발이 최근에는 기초 능력평가를 통해 진행되고 있다. 기초 능력은 창의력, 사고력과 관련된 능력에 관한 것으로 한정하고 있으며, 지식산업사회를 살아가는데 누구에게나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는 정보과학에 대한 내용은 배제되어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정보과학 수행능력과 실제 영재성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초등 영재 61명을 대상으로 정보과학 교육 프로그램을 6주간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영재성 정도에 따라 정보과학 수행능력은 차이가 있었고, 정보과학 수행능력과 영재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정보사회에서 모든 분야의 기초가 될 것으로 고려되는 정보과학의 내용을 영재성 검사에 포함시킬 것을 제안하였다.

A basic ability test is conducted in recent days to screen gifted students who could make a contribution to the enhancement of national competitiveness in knowledge-based information society. A basic ability is here defined as an ability related to creativity and thinking faculty, and CS literacy is ruled out, though it seems that everybody needs CS literacy in knowledge-based information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S literacy and giftednes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61 gifted students. The selected students participated in an CS program during a six-week period of time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program. And it's found that there were gaps among the students in CS literacy according to the level of giftedness, and information science literacy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to giftedness. Therefore a screening test of gifted students should cover CS literacy, as CS literacy seems to be mandatory for every field of information societ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