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terminants of untreated experiences among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y

일부 지체장애인의 미치료 경험에 영향을 주는 결정요인 분석

  • Yu, So-Yeon (Korea National Rehabilitation Research Institute) ;
  • Kim, Ye-Soon (Korea National Rehabilitation Research Institute) ;
  • Hong, Hyun-Sook (Korea National Rehabilitation Research Institute) ;
  • Cheon, Mi-Kyung (Korea National Rehabilitation Research Institute) ;
  • Mo, Jin-A (Korea National Rehabilitation Research Institute)
  • 유소연 (국립재활원 재활연구소) ;
  • 김예순 (국립재활원 재활연구소) ;
  • 홍현숙 (국립재활원 재활연구소) ;
  • 천미경 (국립재활원 재활연구소) ;
  • 모진아 (국립재활원 재활연구소)
  • Received : 2011.04.06
  • Accepted : 2011.12.05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is examined the factors affecting forms of untreated experiences in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y. Method: The data collected from 461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y in community. Based on the Behavioral Model of Andersen, predisposing, enabling, and need factors are hypothesized to affect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y's untreated experiences. The data were analyzed by statistical methods such as frequency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 Participation rates of untreated experiences were 26.7%. The significant factors of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y's untreated experiences are predisposing factors (gender, partner, and religion), enabling factors (income, private insurance, information of assistive device, disability discrimination, and subjective discrimination), and need factors(subjective health status health screening and chronic disease). Also untreated experiences related to gender, subjective health status, health screening, and chronic disease factors using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Conclusion: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ere discussed and the recommend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health care utilization, subjective health statue. Especially, development of health education and program should be needed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y.

Keywords

References

  1. 강경순. 국민건강보험 적용노인의 의료이용에 관한 연구: Andersen의 의료이용모형을 중심으로[석사학위 논문]. 대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9.
  2. 김건엽, 이영숙, 박기수, 손재희, 감신, 천병렬 등. 지체장애인의 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예방의학회지 1998;31(2):323-334.
  3. 김미혜, 김소희. 만성질환노인의 의료비부담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2002;48:270-298.
  4. 김윤. 장애인의 요양급여 이용실태 분석 및 의료보장 강화방안 연구. 장애인 의료보장 강화방안 공청회 자료. 2005.
  5. 김진구. 저소득층의 의료이용과 이용포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복지연구 2007; 34:29-53.
  6. 김진구. 노인의 의료이용과 영향요인 분석. 노인복지연구 2008;39:273-304.
  7. 남지현. 공공의료서비스 이용의 영향요인 분석[석사학위논문]. 서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9.
  8. 박종혁, 이진석, 이진용, 홍지영, 김소영, 김성옥 등. 장애인의 국민건강보험 건강검진 수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예방의학회지 2006;39(6):511-519.
  9. 변용찬.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의료이용 형평성 분석. 한국인구학회 전기학술대회 연제집. 서울:한국인구학회;2007
  10. 보건복지가족부. 2008년 장애인실태조사. 서울;보건복지가족부:2009.
  11. 엄선희, 문춘걸. 소득계층에 따른 보건의료의 형평성:'한국노동채널'자료를 중심으로.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2010;6(1):35-61.
  12. 오정숙. 장애인 만성질환자의 의료서비스 이용요인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13. 이미진. 노인의 의료서비스 이용에 대한 종단적 연구. 사회복지정책 2009;36(1).
  14. 이병란. 노인의 의료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7.
  15. 이상용. 장애인의 의료이용 형평성에 관한 분석[박사학위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4.
  16. 이익섭, 김서원. 의료급여 수급자의 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2004;11:66-99.
  17. 이혜재, 이태진, 전보영, 정영일. 일반층과 저소득층의 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2009;15(1):79-106.
  18. 임미영, 유호신. 전국 저소득층노인의 보건의료이용과 영향요인 분석.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01;12(3)
  19. 신영전, 손정인. 미충족 의료의 현황과 관련요인: 1차,2차 복지패널자료를 이용하여. 보건사회연구 2009;29(1):111-142.
  20. 송경신. 미충족 의료에 미치는 관련요인 분석[석사학위논문]. 서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21. 전보영, 권순만, 이혜제, 김홍수. 장애노인의 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2011;31(1):171-188.
  22. 전경숙, 최은숙, 이효영. 의료이용의 남녀차이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010;24(2):182-196. https://doi.org/10.5932/JKPHN.2010.24.2.182
  23. 조경숙. 양.한방 의료이용 행태의 차이[박사학위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24. 한경훈. 의료보장유형간 의료이용 연구: 장애인의 경우[석사학위논문]. 서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25. 허순임, 김미곤, 이수영, 김수정. 미충족 의료수준과 정책방안에 대한 연구. 서울: 보건사회연구원; 2010.
  26. Andersen R. A behavioral model of families use of health services. University of Chicago Research Services 1968;25-32.
  27. Dejong G, Palsbo SE, Beatty PW, Jones GC, Knoll T, Neri MT. The organization and financing of health services for peoples with disabilities. The Milbank Quaterly 2002;80(2):261-301. https://doi.org/10.1111/1468-0009.t01-1-00004
  28. Havercamp SM, Scandline D, Roth M. Health disparities among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dults with other disabilities, and adults not reporting disability in North Carolina. Public Health Reports 2004;119:418-426. https://doi.org/10.1016/j.phr.2004.05.006
  29. Michael AS, Penelope JS. Stein DW, Raymond L. Health care and the UN disability rights convention, Lancet 2009;28:1796-1797.
  30. WHO. World report on disability. WHO: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