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ifficulties and Coping Methods Encountered by Authors of 5th and 6th Grade Science Textbooks: Based on Grounded Theory

초등학교 5, 6학년 과학교과서 집필자가 겪은 어려움과 대처 방법 :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1.07.06
  • Accepted : 2011.11.01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This research is an investigation of difficulties encountered by authors of 5th and 6th grade science textbooks. The aim is to assist authors in creating more easily understandable textbooks in the futur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6 teachers who have previously taken part in the development of 5th and 6th grade texts. The responses given during these interviews were analyzed using open, axial, and selective coding as suggested by Strauss and Corbin (1998).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open coding, related concepts were extracted and classified into 15 main categories and 46 sub-categories. In axial coding, the main categories were arranged into causal conditions, main phenomenon, context, intervening conditions, action and interactional strategies, and consequences wherein they were consistently related to each other based on Grounded theory. Finally, in selective coding, core categories were instilled whereby the texts being developed were categorized into conservative, progressive, and innovative to allow for easier interpretation. This was done to improve the overall quality of Science textbooks.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5, 6학년 과학교과서 집필자 겪은 어려움과 그 해결방법을 조사하여 다음 초등학교 과학교과서 개발 및 초등학교 과학교과서의 인식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초등학교 5, 6학년 과학교과서 집필에 참여한 교사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기록된 면담 내용은 Strauss와 Corbin(1998)이 제시한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에 따라 분석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방코딩에서는 관련 개념을 추출하고 이를 다시 46개의 하위범주와 15개의 상위범주로 범주화 하였다. 축코딩에서는 상위범주들을 분석하여 근거이론의 패러다임의 흐름에 따라 인과적 조건, 중심현상, 맥락, 중재적 조건, 작용/상호작용 전략, 결과로 구분하고 일관성 있게 연결하였다. 마지막으로 선택코딩에서는 핵심범주를 찾아내고 이것을 중심으로'초등 과학교과서 질 향상을 위한 집필자의 집필과정 유형'을 보수형, 진보형, 혁신형으로 분류하여 그 의미를 해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곽병선 (2009). 바람직한 교과서 개발의 방향. 교과서연구, 56, 4-9.
  2. 김나연, 김성희, 정은하 (2007). 남편노인의 은퇴후 삶의 과정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 새로운 삶의의미를 찾아서 -. 한국가족복지학, 21, 253-288.
  3. 김미혜, 김정원, 백명희, 송혜미 (2007). 남편이 은퇴한 여성 노인의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38, 383-416.
  4. 김지미, 이정애, 김성희(2002). 중년전업주부의 음주경험.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3(4), 732-742.
  5. 김진숙, 이혁구 (2007). 일반위탁가정 아동의 적응에 대한 연구: 근거이론적 접근. 한국사회복지학, 59(1), 87-116.
  6. 김융희(2007). 모유수유를 중심으로'어머니 되어가기'의 심리적 과정 - 근거이론 접근방법으로 -. 여성건강, 8(1), 59-86.
  7. 김애경 (2003). 여성의 입덧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대한간호학회지, 33(7), 945-953.
  8. 김헌수(2006). 과학과 교육과정.교과서의 변천과 발전 방향. 교과서연구, 48, 12-19.
  9. 김혜선 (2005). 첫 아버지됨의 체험. 아동학회지, 26(5), 73-87.
  10. 나흥하, 변용철, 김대현 (2007). 초등학생이 일제시험 기간 동안에 겪는 경험의 실체: 근거이론 방법론적 접근. 초등교육연구, 20(2), 113-138.
  11. 문공주 (2009). 과학교사 교수내용지식(PCK)의 구조와 형성과정 탐색 : 근거이론에 의한 접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민병관 (2009). 교과서 정책의 변화와 전망. 교과서연구, 56, 35-39.
  13. 연미자 (2010).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다문화교육유형에 관한 연구 : 근거이론에 기초하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민경미 (2006). 바람직한 과학 교과서의 발전 방향. 교과서연구, 48, 31-36.
  15. Strauss, A. & Corbin, J. (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Thousands Oaks, California: Sage Publications Ltd.
  16. Morrow, S. L., & Smith, M. L (1995). Construction of survival and coping by women who have survived childhood sexual abus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2, 24-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