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the Fashion Brand Application

패션 브랜드 애플리케이션 분석

  • Received : 2011.09.05
  • Accepted : 2011.12.05
  • Published : 2011.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fashion brand app types through current fashion brand app releases. To this end, this study used Internet Web, articles, newspapers, and existing studies on brand applications as well as the data that were analyzed after downloading the relevant brand app. Firstly, this study aimed to analyze rapidly growing smartphone market and brand app market situations and look into brand app's own characteristics from the corporate marketing perspective. In addition, the study divided the types into a basic information type and an additional information type by analyzing functions of 30 fashion brand apps. As the result, the basic information type contains product info, store info, fashion info, and coordination info. The additional information type contains entertainment, hobbies, life info, mutual experiences, and sharing services. According to the divided fashion brand app types, the goals of companies also can be divided as three. Firstly, the aim is to expand sales, secondly to improve brand awareness, and lastly to build customer relationship. Consequently, companies will have to select brand app types suitable for their goals and provide to consumers.

Keywords

References

  1. 방송통신위원회(2011), 스마트 가입자 천만시대자료, p.1.
  2. 윤선중(2011), "앱스토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保安檢證改善方案에 관한 硏究", 성균관대학교 정보통신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3-5.
  3. "기업 홍보앱 스마트하게 진화한다", (2011, 03, 09), 서울경제, 자료검색일 2011. 06. 04, 자료출처 http://economy.hankooki.com
  4. 자료검색일 2011. 05. 10, 자료출처 http://www.kcc.go.kr/
  5. 백준봉, 홍범석, 최명호(2011), "스마트폰 1천만 시대,모바일 비즈니스 빅뱅의 서막", KT경제경영연구소, pp.2-20.
  6. 남경하(2010), "스마트폰 사용에 의한 시.공간 경험의 변화에 대한 연구", 영남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7.
  7. 김성개(2009), "사용자 환경과 스마트폰 특성 요인이 인지된 유용성과 사용용이성 및 수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4-10.
  8. 김민정(2011), "스마트 폰에서의 SNS사용이 온라인, 오프라인 관계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트위터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3-4.
  9. "Mobile App Forecast Up, Up, Up", (2010, 03, 25), e-maketer, 자료검색일 2011. 05. 24, 자료출처 http://www.emarketer.com
  10. 자료검색일 2011. 05. 24, 자료출처 http://www.gartner.com
  11. 김승연, "브랜드앱 인 사이트" (2011. 03. 29), 조선닷컴, 자료검색일 2011. 05. 10, 자료출처 http://app.chosun.com
  12. 주민영, "스마트폰 시대, 이런 '브랜드 앱' 어때요", (2010. 10. 09), 블로터닷넷, 자료검색일 2011. 06. 04, 자료출처 http://www.bloter.net
  13. 김승연, "성공한 브랜드앱을 찾아내는 방법", (2011. 02. 15), ZD Net Korea, 자료검색일 2011. 05. 15, 자료출처 http://www.zdnet.co.kr/
  14. 김승연, "브랜드앱 유행인가 트렌드인가", (2011. 03. 14), 조선닷컴, 자료검색일 2011. 05. 10, 자료출처 http://app.chosun.com/
  15. 장승희(2011), "스마트폰 이용자 특성에 따른 패션 브랜드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수용과정과 전략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5-17.
  16. 배은경(2010), "모바일 패션애플리케이션 특성이 지각된 가치와 사용자만족도 및 재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소비자 혁신성과 스마트폰 라이프 스타일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10-12.
  17. 최가현, 이승희(2011), "스마트폰의 패션 애플리케이션 제공정보 특성에 대한 연구-아이폰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p.155.
  18. 이태영(2011), "모바일 마케팅의 차별화 포인트", LG 경제 연구소, pp.28-29.
  19. 이태영(2011), "모바일 마케팅의 차별화 포인트", LG 경제 연구소, p.29.
  20. 이태영(2011), "모바일 마케팅의 차별화 포인트", LG 경제 연구소, p.30.
  21. 정기한, 정지희, 신재익(2010), "기업의 SNS (Social Networking Service)활동이 브랜드 및 구전,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학회지 통합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1-8.
  22. 이태영(2011), "모바일 마케팅의 차별화 포인트", LG 경제 연구소, pp.30-31.
  23. 채은주, 김숙진(2010), "패션브랜드의 인터넷 홈페이지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과의 비교분석",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0(11), pp.60-62.
  24. 김영채(2011), "모바일 특성과 IT 특성, 그리고 관여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패션 애플리케이션 중심으로", 국제e비지니스 학회지, 12(2), pp.49-77.
  25. 김형택(2010), "브랜디드 어플리케이션을 주목하라". 월간 유통저널, pp.2-10.
  26. 자료검색일 2011. 06. 18, 자료출처 http://blog.naver.com/oponiti
  27. 자료검색일 2011. 06. 18, 자료출처 http://blog.naver.com/oponiti
  28. 자료검색일 2011. 06. 20, 자료출처 http://blog.naver.com/kimpoco
  29. 자료검색일 2011. 06. 20, 자료출처 http://blog.naver.com/oponiti
  30. 자료검색일 2011. 06. 23, 자료출처 http://neoskin.tistory.com/2203
  31. 자료검색일 2011. 06. 24, 자료출처 http://blog.naver.com/oponiti
  32. "브랜드앱의 3가지 기대 효과", (2011. 01. 19), 조선닷컴, 자료검색일 2011. 06. 24, 자료출처 http://app.chosun.com/

Cited by

  1. 패션 공유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경험이 수용에 미치는 영향 연구: UTAUT 모형을 중심으로 vol.19, pp.5,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9.19.05.082
  2. 패션 모바일 놀이의 유형과 경험적 가치 -놀이 이론을 중심으로- vol.45, pp.1, 2011, https://doi.org/10.5850/jksct.2021.45.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