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Court Ladies' tasks and Costume in the Joseon Dynasty

조선시대 궁녀의 직무와 복식에 관한 연구

  • Kim, Soh-Hyeon (Dept.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Baewha Women's University)
  • 김소현 (배화여자대학교 전통의상과)
  • Received : 2011.08.18
  • Accepted : 2011.11.28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Court ladies' tasks were largely divided into two. First, if there is a royal family event, such as the royal family's wedding or feast, they followed the rules and regulations of work division that was defined in "Gyeonggukdaejeon". Secondly, during normal days, they were divided into Jimil (至密), Chimbang (針房), Subang (繡房), Sesugan (洗手間), Saenggwabang (生果房), Naesojubang (內燒廚房), and Oesojubang (外燒廚房) and took charge of female work that was needed daily at the palace including serving, cooking, laundry, needlework, embroidery, cleaning, and nurturing. This organization was operated by different palaces such as the daejeon(king's palace), daebijeon(queen dowager's palace), junggungjeon(queen's palace), or sejagung(prince's palace). Court ladies were selected among female slaves of the government office or naesusa(a ministry of royal household properties). Although commoners were forbidden to be selected, they sometimes became court ladies voluntarily for financial reasons or because of the will of their parents. Court ladies had different appearances according to the division they belonged to. The court girls of Jimil, Chimbang, and Subang wore saeangmeori while court girls from other places had braided hairstyles. At Jimil, they wore all different kinds of chima(skirt) and jeogori(jacket). Usually, court ladies wore navy chima, jade jeogori, green gyeonmagi(top jacket) with the uyeomeori hairstyle. When working in the evening, they wore pink jeogori or yellow-green jeogori, navy chima with the jojimmeori hairstyle for easiness to stay up all night and work. Navy chima was worn by court ladies. If there was a royal family event upper court ladies wore uyeomi, black or green wonsam, and stewards wore garima and dangui.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199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5권, 내명부, pp. 571-573.
  2. 여관제도연혁(女官制度沿革) 1870 - 1935 間寫장서각도서 K2-2032.
  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1994), 고문서집성 十三, 경기도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p. 487, p. 491, p. 493, p. 495, p. 507, p. 518, p. 521, p. 522, p. 613, p. 615, p. 631, p. 660, p. 670, p. 672, p. 691, p. 729, p. 748, p. 759.
  4.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1994), 고문서집성 十三, 경기도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p. 206, p. 207, p. 209, p. 213, p. 215, p. 220, p. 224, p. 244, p. 430, p. 724, p. 739, p. 759.
  5. 김명길 (1977), 낙선재 주변, 서울: 중앙일보.동양방송.
  6. 김용숙 (1987), 조선조 궁중풍속 연구, 서울: 일지사.
  7. 신명호 (2004), 궁궐의 꽃 궁녀, 서울: 시공사.
  8. 세종실록 39권, 10년(1428) 3월 8일(경인).
  9. 여관제도연혁, p. 12.
  10. 김명길, (1977), 낙선재 주변, 서울: 중앙일보.동양방송 p. 129.
  11. 김용숙 (1987), 조선조 궁중풍속 연구, 서울: 일지사., p. 37.
  12. 김명길 (1977), 낙선재 주변, 서울: 중앙일보.동양방송., p. 131.
  13. 김명길(1977), 낙선재 주변, 서울: 중앙일보.동양방송, p. 22, pp. 47-49.
  14. 김명길 (1977), 낙선재 주변, 서울: 중앙일보.동양방송 p. 135.
  15. 김명길 (1977), 낙선재 주변, 서울: 중앙일보.동양방송 p. 94.
  16. 여관제도연혁, p. 5.
  17. 여관제도연혁, pp. 5-12.
  18. 김용숙 (1987), 조선조 궁중풍속 연구, 서울: 일지사, p. 20.
  19. 여관제도연혁, p. 6.
  20. 김명길(1977), 낙선재 주변, 서울: 중앙일보.동양방송p. 163,
  21. 김용숙(1987), 조선조 궁중풍속 연구, 서울: 일지사 p. 21.
  22. 여관제도연혁, pp. 6-7.
  23. 김명길(1977), 낙선재 주변, 서울: 중앙일보.동양방송 137-138.
  24. 여관제도연혁, pp. 7-11.
  25. 여관제도연혁 p. 8.
  26. 김명길 (1977), 낙선재 주변, 서울: 중앙일보.동양방송 p. 113.
  27. 여관제도연혁, p. 9.
  28. 김명길 (1977), 낙선재 주변, 서울: 중앙일보.동양방송p. 97.
  29. 곤도 시로스케, 李王宮秘史, 이연숙 역 (2007), 대한제국황실비사, 서울: 이마고, p. 60.
  30. 김명길 (1977), 낙선재 주변, 서울: 중앙일보.동양방송p. 102.
  31. 김용숙 (1987), 조선조 궁중풍속 연구, 서울: 일지사 p. 19.
  32. 김명길 (1977), 낙선재 주변, 서울: 중앙일보.동양방송 p. 101.
  33. 여관제도연혁, p. 11.
  34. 여관제도연혁, p. 10.
  35. 김명길 (1977), 낙선재 주변, 서울: 중앙일보.동양방송p. 148.
  36. 신명호 (2004), 궁궐의 꽃 궁녀, 서울: 시공사 pp. 165-169.
  37. 대전회통 형전(刑典) 궐내각차비.
  38. 고종실록 32권, 31년(1894) 7월 22일(병신).
  39. 성종실록 3권, 1년(1470) 2월 6일(을묘).
  40. 인조실록 33권, 14년(1470) 8월 6일(임신).
  41. 신명호 (2004), 궁궐의 꽃 궁녀, 서울: 시공사 p. 95.
  42. 성종실록 3권, 1년(1470) 2월 6일(을묘).
  43. 김명길 (1977), 낙선재 주변, 서울: 중앙일보.동양방송 pp. 149-151.
  44. 속대전 형전(刑典) 공천(公賤).
  45. 신명호 (2004), 궁궐의 꽃 궁녀, 서울: 시공사. p. 105.
  46. 여관제도연혁.
  47. 김명길 (1977), 낙선재 주변, 서울: 중앙일보.동양방송 pp. 125-127.
  48. 신명호 (2004), 궁궐의 꽃 궁녀, 서울: 시공사 pp. 108-121.
  49. 김명길 (1977), 낙선재 주변, 서울: 중앙일보.동양방송 p. 136.
  50. 신명호 (2004), 궁궐의 꽃 궁녀, 서울: 시공사 p. 167.
  51. 헌종무신진찬의궤(憲宗戊申進饌儀軌) 권3
  52. 서인화.박정혜.주디반자일 편저(2000), 한국음악학자료총서, 35, 서울: 국립국악원, p. 81.
  53. 이재숙 외 (1998), 서울대학교 동양음악연구소 연구총서, 1,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도판 2
  54. 김소현 (2010), 조선후기 왕실여성의 관례복식연구, 복식, 60(5), pp. 65-66
  55. 김명길 (1977), 낙선재 주변, 서울: 중앙일보.동양방송 p. 142.
  56. 헌종13년 (1847), 헌종경빈김씨순화궁가례시절차, 규장각 소장 奎27008
  57.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고문서집성 十二, pp. 627-628.
  58. 병와집(甁窩集) 卷5 답윤진사효언(答尹進士孝彦).
  59. 김소현 (2009), 가례시 절차에 따르는 조선후기의 왕실여성 복식연구, 복식, 59(3), p. 106.
  60. 국립민속박물관.배화여자대학.(사)국립민속박물관회 (2007), 사도세자와 혜경궁 홍씨의 가례복식, p. 68.
  61. 김용숙 (1989), 한국여속사, 서울: 민음사. p. 233.
  62. 김용숙 (1987), 조선조 궁중풍속 연구, 서울: 일지사 p. 24.
  63. 김명길 (1977), 낙선재 주변, 서울: 중앙일보.동양방송 p. 131,
  64. 김명길 (1977), 낙선재 주변, 서울: 중앙일보.동양방송 p. 115.
  65. L.H 언더우드, Fifteen years among the top-knots or life in Korea, 신복룡, 최수근 역 (1999), 상투의 나라, 서울: 집문당, p. 34.
  66. 김명길 (1977), 낙선재 주변, 서울: 중앙일보.동양방송, p. 135.
  67. 김소현 (2010), 조선후기 왕실여성의 관례복식연구, 복식, 60(5), p. 62.
  68. 김명길 (1977), 낙선재 주변, 서울: 중앙일보.동양방송 p. 108.
  69. 김명길 (1977), 낙선재 주변, 서울: 중앙일보.동양방송 p. 137.
  70. 김용숙 (1987), 조선조 궁중풍속 연구, 서울: 일지사 p. 47.
  71. 김용숙 (1987), 조선조 궁중풍속 연구, 서울: 일지사 p. 34, p. 49,
  72. 김명길 (1977), 낙선재 주변, 서울: 중앙일보.동양방송 p. 148.
  73. 박정혜 (2000), 조선시대 궁중기록화 연구, 서울: 일지사, p. 364.
  74. 사진으로 보는 조선시대(속) 생활과 풍속, 서울: 서문당, 1987, p. 84.
  75. 김용숙 (1987), 조선조 궁중풍속 연구, 서울: 일지사 pp. 49-51.
  76. 김명길 (1977), 낙선재 주변, 서울: 중앙일보.동양방송 p. 74.
  77. 대전회통 병전(兵典) 경아전(京衙前).
  78. 정조실록 26권 12년 10월 3일(신묘).
  79. 김명길 (1977), 낙선재 주변, 서울: 중앙일보.동양방송 p. 162.
  80. 김명길 (1977), 낙선재 주변, 서울: 중앙일보.동양방송 p. 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