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patial Equalizer$^{(R)}$

  • 김양한 (한국과학기술원(KAIST) 기계공학과) ;
  • 최정우 (한국과학기술원(KAIST) 기계공학과)
  • Published : 2011.11.30

Abstract

사용자가 원하는 3D 사운드 혹은 소리의 공간감을 원하는 대로 재현할 수 있는 오디오 시스템은 오랜 기간 동안 인류가 가지고 싶었던 꿈의 기계였다. 그러나 과연 개인 혹은 사용자가 원하는 3D 사운드라는 것이 무엇이며 어떻게 정의하여야 하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이것은 매우 주관적인 개념일 뿐만 아니라 개인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그 평가에 대한 객관적인 방법 또한 존재하지 않는다. 관련된 연구를 살펴보면, 원하는 소리의 파동 전파 자체를 시공간 상에서 물리적으로 재현하는 WFS(Wave Field Synthesis)나 Ambisonics, 또는 머리전달함수(HRTF: 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를 기반으로 한 많은 연구들이 있다. 이렇게 재현된 음장(sound field)을 보면 이들이 인지되고 평가되는 등의 객관화를 위하여는 청취 환경에 따라 그 특성이 바뀌고 동일한 환경에서도 청취자에 따라 다르게 인지되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음장 재현 방법의 이러한 근본적인 문제는 놀랍게도 과거의 스테레오 시스템에서 볼 수 있는 밸런스 노브(balance knob)로부터 그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밸런스 노브는 보편적인 최적의 소리를 찾는 대신에 청취자가 원하는 음향 효과를 얻을 때까지 직접적으로 소리를 청취하고, 스스로 조절하여 평가할 수 있는 매개체의 역할을 수행한다. 만일 밸런스 노브와 같이 청취자가 원하는 3D 사운드를 스스로 평가하고 조절하기 위한 방법을 마련할 수 있다면? 즉, 청취자가 시공간적으로 원하는 3D 사운드를 실시간으로 청취하고 변화시킬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면? 과연 그러한 것이 어떻게 가능할 수 있는지 체계적인 검토가 이루어질 수 있다면 매우 좋을 것이다. 본 고는 이러한 것을 가능케 할 수 있는 즉, 청취자가 자유 자재로 원하는 음장을 형성할 수 있는 렌더링 기법 및 즉각적인 피드백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소개하고 있다. 인터페이스는 현재까지 오디오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되는 주파수 이퀄라이져(frequency equalizer)와 매우 유사한 특징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Spatial Equalizer$^{(R)}$"라는 이름을 붙여 보았다. Spatial Equalizer$^{(R)}$는 공간 상에 하나의 점 또는 다수의 점으로 표시되는 가상 음원을 사용자가 조종하여 원 소리의 공간감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공간 상에 다수의 점 음원들의 위치를 변화시키거나 크기를 변화시킴으로써 청취자가 원하는 공간감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중요한 것은 종전의 이퀄라이져와 같이 Spatial Equalizer$^{(R)}$에 의해 형성되는 음장이 어떤 객관적인 척도에 의해서 평가되는 대신 사용자에 의해 직접 주관적으로 평가되고, 선택된다는 점이다.

Keywords

References

  1. A. D. Blumlei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sound-transmission, sound-recording and soundreproducing systems," British patent specification, 394,325 (1934); reprinted in J. Audio Eng. Soc., Vol.6, pp.91-98, 1958
  2. G. Steinke, "Surround sound - the new phase. An overview," in Proc. of the 100th Convention of Audio Eng. Soc., Held in Copenhagen, Denmark, May 11-14, preprint 4286, 1996
  3. B. B. Bauer, D. W. Gravereaux, and A. J. Gust, "A compatible Stereo-Quadraphonic (SQ) Record System," J. Audio Eng. Soc., vol.19, pp.638-646, September 1971
  4. P. B. Fellgett, "Ambisonic reproduction of directionality in surround-sound systems," Nature, Vol.252, pp.534 - 538, 1974
  5. M. A. Gerzon, "Periphony: with-height sound reproduction," J. Audio Eng. Soc., vol.21(1), pp.2-10, 1973
  6. M. A. Gerzon, "Ambisonics in multichannel broadcasting and video," J. Audio Eng. Soc., Vol.20, pp.859-871, 1985
  7. D. B. Ward and T. D. Abhayapala, "Reproduction of a plane-wave sound field using an array of loudspeakers," IEEE Transactions on speech and audio processing, Vol.9(6), pp.697-707, 2001 https://doi.org/10.1109/89.943347
  8. T. D. Abhayapala and D. B. Ward, "Theory and design of the high order sound field microphones using spherical microphone array," in Proc. IEEE Conf. Acoust., Speech, Signal Process., Vol.2, pp.1949-1952, 2002
  9. A. J. Berkhout, D. de Vries, "Wave front synthesis: a new direction in electro-acoustics," in Proceedings of the 93rd convention of Audio Engineering Society, preprint 3379, 1992
  10. A. J. Berkhout, D. de Vries and P. Vogel, "Acoustic control by wave field synthesis," J. Acoust. Soc. Am., 93(5), pp.2764-2778,1993 https://doi.org/10.1121/1.405852
  11. E. M. Wenzel, M. Arruda, D. J. Kistler and F. L. Wightman, "Localization Using Non individualized 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s," J. Acoust. Soc. Am, vol.94, pp.111-23, July 1993 https://doi.org/10.1121/1.407089
  12. C. P. Brown and R. O. Duda, "A Structural Model for Binaural Sound Synthesis," IEEE Transactions on Speech and Audio Processing, vol.6, pp.476-88, Sep 1998 https://doi.org/10.1109/89.709673
  13. C. I. Cheng and G. H. Wakefield, "Introduction to Head-Related Transfer Functions (HRTF's): Representations of HRTF's in Time, Frequency, and Space (Invited Paper)", Proceedings of the Audio Engineering Society 107th Convention, New York: 1999
  14. MIT Media Lab, "HRTF Measurements of a KEMAR Dummy-Head Microphone," http://sound.media.mit.edu/ resources/KEMAR.html, Feb. 201116
  15. V. Pulkki, "Virtual sound source positioning using vector base amplitude panning," J. Audio Eng. Soc., Vol. 45, No.6, June 1997
  16. B. B. Bauer, "Phasor analysis of some stereophonic phenomena," J. Acoust. Soc. Am., 33 (11), pp.1533- 1539, 1966
  17. E. W. Start, "Application of curved arrays in wave field synthesis," Proceedings of 100th Convention of Audio Engineering Society, preprint 4143, 1996
  18. R. Nicol and M. Emerit, "3D-sound reproduction over an extensive listening area: A hybrid method derived from Holophony and Ambisonic," Proceedings of 16th Conference of Audio Engineering Society, pp.436-453, 1999
  19. S. Spors, J. Ahrens, "A Comparison of Wave field Synthesis and High-Order Ambisonics with Respect to Physical Properties and Spatial Sampling," in Proceedings of 125th Convention of Audio Engineering Society, preprint 7556, 2008
  20. Poletti, M. A., "Three-dimensional surround sound systems based on spherical harmonics," J. Audio Eng. Soc., vol.53 (11), pp.1004-1025, 2005
  21. G. -H. Koopman, L. Song, and J. B. Fahnline, "A method for computing acoustic fields based on the principle of wave superposition," J. Acoust. Soc. Am., Vol.86 (6), pp.2433-2438, 1989 https://doi.org/10.1121/1.398450
  22. J. -W. Choi and Y. -H. Kim, "Generation of the acoustically bright zone with an illuminated region using multiple sources," J. Acoust. Soc. Am., Vol.111(4), pp.1695-1700, 2002 https://doi.org/10.1121/1.1456926
  23. 최정우, 김양한, 장세진, 이석필, "스피커 어레이 내부에 존재하는 가상 음원의 음장 렌더링 기법," 음향학회 2011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2011
  24. ITU-R Recommendation BS.775-1 (1994): Multichannel Stereophonic Sound System with and without accompanying Picture
  25. T. Letowski, "Sound Quality Assessment: Concepts and Criteria." in Proc. of the 87th convention of the Audio Eng. Soc., Held in New York, US, October 18-21, Preprint 2825 (D-8), 1989
  26. J. C. Schacher, P. Kocher, "Ambisonics Spatialization Tools for Max/MSP" in Proceedings of the 2006 International Computer Music Conference, New Orleans, USA
  27. Akenine-Moller; Haines. Real-time Rendering (2nd ed.). AK Peters,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