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al Self Image and Avatar Image in the Virtual World: Focus on Ideal-Self Image and Actual-Self Image

사회적 자기이미지와 가상공간에서의 아바타 이미지 - 이상적 이미지와 실제적 이미지를 중심으로 -

  • Youn, Sonn-Ie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
  • Park, Ju-Yeon (Dept. of Design & Merchandising, Colorado State University) ;
  • Lee, Kyu-Hye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 Received : 2011.05.26
  • Accepted : 2011.10.31
  • Published : 2011.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one's social-self image and Online Avatar image. Influence of these virtual images on one's attitude toward real world and commitment to the virtual world was examined. In addition, the gender difference was examin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ith social self image as exogenous variable and influence of Avatar as endogenous variable was designed. Real and ideal Avatar images were the mediating variable in the model. Surve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data from 425 respondents were analyzed.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nceptual model was a good fit to the data. Respondents who perceived their social self-images importantly were likely to have real images of Avatars. Ideal image and real image had significant on commitment to virtual world and attitudes toward the real world. For male respondents, social self image had stronger influence on real image of Avatar and ideal image had stronger influence on commitment to virtual world than female respondents.

Keywords

References

  1. 김홍규, 이종윤 (2002), 가상공간에서의 아바타를 통한 다중적 자아의 요인 연구, 주관성 연구, 7, pp. 27-51.
  2. Biocca, F., Nowak, K., & Lauria, R. (1997), Virtual reality. In C. H. Sterling(Ed.), Focal encyclopedia of electronic media, Boston: Focal Press, pp. 18-22.
  3. Nordahl, R., Korsgaard, D. (2010), Distraction as a measure of presence: Using visual and tactile adjustable distraction as a measure to determine immersive presence of content in mediated environments, Virtual Reality, 14, pp. 27-42. https://doi.org/10.1007/s10055-009-0140-3
  4. Nowak, K. L., Rauh, C. (2008), Choose your "buddy icon" carefully: The influence of avatar androgyny, anthropomorphism and credibility in online interaction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4(4), pp. 1473-1493. https://doi.org/10.1016/j.chb.2007.05.005
  5. Davis, F. D., Bagozzi, R. P., & Warshaw, P. R. (1989), User acceptance of computer technology: A comparison of two theoretical models, Management Science, 35(8), pp. 982-1003. https://doi.org/10.1287/mnsc.35.8.982
  6. Rosenberg, R. (1979), Conceiving the self, New York: basic books Inc, p. 7.
  7. 정인희, 이은영 (1996), 의복과 자기이미지, 한국의류학회지, 20(1), pp. 207-217.
  8. 염인경, 김미숙 (2004), 자기 이미지에 따른 착용의복 이미지, 추구의복이미지 및 의복구매행동, 복식문화연구, 12(1), pp. 90-103.
  9. 임경복 (2008), 거주지 별 자기이미지와 의복 추구이미지가 의복구매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6(6), pp. 49-59.
  10. 이은숙, 박재옥 (1997), 여대생의 자아조정 수준에 따른 상황별 자아이미지, 의복선택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1(7), pp. 1250-1214.
  11. 이명희, 김현주 (1997), 의복스타일 이미지 선호와 자기이미지와의 관계 연구, 복식, 33, pp. 41-53.
  12. 정인희 (2001), 여자 대학생의 의복 추구이미지와 소배 선호에 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9(4), pp. 629-638.
  13. 류현주, 홍금희 (2001), 성인여성의 자기이미지와 상표이미지 및 쇼핑성향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5(8), pp. 1367-1377.
  14. Robin, L. (1995), Virtual LANs reality check, Data Communication, 24(4), p. 23.
  15. 윤수진 (2003), 가상공간에서 아바타를 활용한 자아표현의 실태분석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61-69.
  16. 박성희 (2004), 사이버 공간의 대리자아 아바타의 역할 유형분석, 한국언론학보, 48(5), pp. 375-423.
  17. 안광호, 유창조, 김수현 (2004), 아바타에 대한 꾸밈욕구, 아바타동일시 및 사이트 태도와 충성도에 관한 구조적 모형에 관한 연구, 소비자학연구, 15(2), pp. 19-38.
  18. 유창조 (2003), 아바타의 소비경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 자아와 아바타의 관계를 중심으로, 마케팅관리연구, 8(1), pp. 79-98.
  19. 허태정, 황선진 (2004), 아바타 이미지에 따른 아바타 이용자 특성에 관한 연구 아바타 이용현황, 신체존중감, 그리고 자기존중감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8(5), pp. 648-657.
  20. Chung, D. (2005), Something for nothing: understanding purchasing behaviors in social virtual environments, Cyber Psychology & Behavior, 8(6), pp. 538-554. https://doi.org/10.1089/cpb.2005.8.538
  21. 김호경 (2001),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에서 아바타에 대한 자아개념에 관한 연구: 아바타 채팅 사이트 '세이클럽'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58-160.
  22. 손수현 (2002), 아바타 사용자의 아바타 추구 혜택에 미치는 심리적 특성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0-25
  23. Ghani, J. A., & Deshpande, S. P. (1994), Task characteristics and the experience of optimal flow in human-computer interaction, The Journal of Psychology, 128(4), pp. 381-391. https://doi.org/10.1080/00223980.1994.9712742
  24. 유일, 최혁라 (2008),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사회적 영향이 플로우, 지각된 유용성,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싸이월드를 중심으로, 정보시스템연구, 17(2), pp. 113-135.
  25. 박희정, 이문봉, 이성철, 서길수 (2002), 온라인 채팅에서 아바타의 도입이 매체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에 미치는 영향, 경영정보학연구, 12(4), pp. 77-99.
  26. 신나민 (2006), 아바타를 통해 본 초.중.고.대학생의 자아 이미지 비교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2(2), pp. 5-24.
  27. 장승희, 이선재 (2004), 캐주얼웨어의 아바타 패션마케팅 전략 제고 연구, 복식, 54(8), pp. 35-48.
  28. 김조희 (2001), 사이버 커뮤니티에서 멀티미디어 캐릭터의 존재의미와 활용방안에 대한 실태분석: 아바타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3-45.
  29. 김호경 (2001),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에서 아바타에 대한 자아개념에 관한 연구: 아바타 채팅 사이트 '세이클럽'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45-153.
  30. 하오선, 신혜원 (2003), 아바타의 의복이미지, 한국의류학회지, 27(5), pp. 560-569.
  31. 허태정 (2002), 아바타 이용자의 자아개념과 아바타 이미지,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안광호, 유창조, 김수현 (2004), 아바타에 대한 꾸밈욕구, 아바타동일시 및 사이트 태도와 충성도에 관한 구조적 모형에 관한 연구, 소비자학연구, 15(2), pp. 223-232.
  33. 정동훈 (2004), 아바타(Avatar) 아이템 구매의 심리학적 분석, 한국언론학보, 48(6), pp. 110-137.
  34. Fornell, C., & Larcker, D. F. (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1), pp. 39-50. https://doi.org/10.2307/3151312
  35. Schumacker, R. E., & Lomax, R. G. (1996), A beginner's guide to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ahwah. NJ.
  36. Joreskog, K. G., & Sorbom, D. (1989), LISREL VII: A guide to the program and applications, Chicago: SPSS Inc.
  37. Silvia, S. (1998), Effects of sampling error and model misspecification on goodness-of-fit indices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Ohio University.
  38. Kline, R. B. (1998), Software programs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mos, EQS, and LISREL, Journal of Psychoeducational Assessment, 16(4), pp. 343-364. https://doi.org/10.1177/073428299801600407
  39. Bentler, P. M. (1990), Comparative fit indexes in structural models, Psychological Bulletin, 107, pp. 238-246. https://doi.org/10.1037/0033-2909.107.2.238
  40. Steiger, J. H. (1990), Structural model evaluation and modification: An interval estimation approach,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25, pp. 173-180. https://doi.org/10.1207/s15327906mbr2502_4
  41. 윤수진 (2003), 가상공간에서 아바타를 활용한 자아표현의 실태분석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61-69.
  42. 윤순주 (2004), 아바타 이용자의 자아개념과 소비행동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김조희 (2001), 사이버 커뮤니티에서 멀티미디어 캐릭터의 존재의미와 활용방안에 대한 실태분석: 아바타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44-45.
  44. 김홍규, 이종윤 (2002), 가상공간에서의 아바타를 통한 다중적 자아의 요인 연구, 주관성 연구, 7, pp. 45-51.
  45. 유창조 (2003), 아바타의 소비경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 자아와 아바타의 관계를 중심으로, 마케팅관리연구, 8(1), pp. 90-98.
  46. 김조희 (2001), 사이버 커뮤니티에서 멀티미디어 캐릭터의 존재의미와 활용방안에 대한 실태분석: 아바타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40-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