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racterization and source apportionment by factor analysis of water soluble ions in atmospheric particles in Cheonan, Korea

천안시 대기 입자 중 수용성 이온성분의 계절적 특성 및 요인분석을 통한 오염기여도 평가

  • Oh, Se-Wo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Sangmyung University)
  • Received : 2011.01.07
  • Accepted : 2011.02.10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Seasonal characteristics of water soluble ions in atmospheric particles in Cheonan were studied between 2008 and 2009. $Na^+$, $NH_4^+$ and $NO_3^-$, $SO_4^{2-}$ were the principle cations and anions in both coarse and fine particles. Water soluble ions occupied 24.4%(spring), 33.2%(summer), 40.7%(fall), and 39.6%(winter) of the total mass of coarse particles. In fine particles, 43.0%(spring), 59.7%(summer), 55.4%(fall), and 53.2%(winter) of mass were occupied by water soluble ions. From the factor analysis, 2 and 4 factors were extracted for water soluble ions in coarse and fine particles, respectively. 70.33% of water ions in the coarse particles were estimated from the natural source, but 66.01% in the fine particles were from the anthropogenic source.

천안시 대기 입자 중 수용성 이온성분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양이온은 $Na^+$$NH_4^+$이, 음이온은 $NO_3^-$$SO_4^{2-}$이 조대입자와 미세입자에서 모두 주요한 이온성분으로 조사되었다. 분석된 수용성 이온성분의 농도는 미세입자가 조대입자보다 높은 농도로 나타났으며, 겨울과 봄철에 높은 농도를, 여름철에 가장 낮은 농도를 나타냈다. 총 수용성 이온 성분은 전체 입자의 질량 중 조대입자에서는 계절별로 봄 24.4%, 여름 33.2%, 가을 40.7%, 겨울 39.6%를, 미세입자에서는 각각 43.0%, 59.7%, 55.4%, 53.2%를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조대입자 보다는 미세입자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컸으며, 다른 계절보다는 봄철에 낮은 비율을 나타냈다. 이들 수용성 이온성분의 요인분석을 수행한 결과 조대입자는 2개의 요인이, 미세입자는 4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이로부터 조대입자의 경우 자연적 배출원으로 부터의 기여가 70.03%로, 미세입자의 경우 인위적 배출원으로 부터의 기여가 66.01%로 추정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Seinfeld, J. H., Pandis S. N.,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John Wiley & Son: New York, 1997.
  2. Finlayson-Pitts B. J., Pitts Jr. J. N., "Chemistry of the Upper and Lower Atmosphere", Academic Press, 2000.
  3. Heintzenber J., "Fine particles in the global troposphere: a review", Tellus, 41B, pp. 149-160, 1989. https://doi.org/10.3402/tellusb.v41i2.15064
  4. 한국산업단지공단, "2006년 국가 산업단지 산업동향", 2007.
  5. 이현미, 오세원, "Dust Monitor를 이용한 천안시 대기중 PM10, PM2.5 오염특성 조사", 한국대기환경학회지, 제24권, 제3호, pp. 367-375, 2008. https://doi.org/10.5572/KOSAE.2008.24.3.367
  6. 환경부, 환경백서 2006, 2007.
  7. 오세원, "2006-2008년 황사기간 중 천안시 대기입자의 특성 변화",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0권, 제7 호, pp. 1642-1647, 2009.
  8. Henry C. A., "History and fundamentals of multivariate air quality receptor models", Chemometircs and Intelligent Laboratory Systems, 37, pp. 37-42, 1997. https://doi.org/10.1016/S0169-7439(96)00048-2
  9. 한진석, 김신도, "서울시 대기중 입자상 오염물질의 조성에 관한 연구", 한국대기보전학회지, 제12권, 제4 호, pp. 389-398, 1996.
  10. 원태현, 정성원, "한글 SPSS10K 통계조사분석", SPSS 아카데미, 2003.
  11. Whitby K. T., Sverdrup G. M., "California aerosols: Their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Advances in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8, pp. 477-525, 1980
  12. 이승복, 배귀남, 김용표, 진현철, 윤용석, 문길주, "황해상 덕적도의 대기 에어로졸 특성", 한국대기환 경학회지, 제 18권, 제4호, pp.305-316, 2002.
  13. Lee J. H., Kim Y. P., Moon K. C., Kim H. K., Lee C. B., "Fine particle measurements at two background sites in Korea between 1996 and 1997", Atmospheric Environment, 35, pp. 1379-1390, 2001.
  14. 조용성, 이홍석, 김윤신, 이종태, 박진수, "서울 성동구 지역 미세먼지의 화학적 조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제12권, 제6호, pp.665-676, 2003. https://doi.org/10.5322/JES.2003.12.6.665
  15. William R. D., Matthew G., "Multivariate Analysis", Wiley & Sons, 1984.
  16. Wu Y., Fang G., Lee W., Lee J., Chang C., Lee C., "A review of atmospheric fine particulate matter and its associated trace metal pollutants in Asian countries during the period of 1995-2005",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143, pp. 511-515, 2007. https://doi.org/10.1016/j.jhazmat.2006.09.0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