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Advanced Science Content Introduced to High School Curriculum on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도입된 최신 과학 내용이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0.09.30
  • Accepted : 2011.09.22
  • Published : 2011.10.31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introducing advanced science contents into the science curriculum 10th grade on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Four classes of the 10th grade were selected from a co-ed high school located in the city of Seoul. Among them, each two classes were assigned as a control group and treatment group, respectively. Students in each group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previous science achievement. The treatment group was taught with materials consisting of advanced science content that was associated with the 'Reaction Rates', 'Environment' and 'Inquiry of Science' section of the curriculum. Before and after being taught over a six-week period,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and science class were measured. The data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instruction and students' previous science achievement in the 'interest in science'(p<.0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interest in science class' irrespective of their prior science achievement (p<.05). The data showed that the introduction of advanced science content into the science curriculum had considerable effect on increasing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and science class. Moreover, many students expected more opportunities to learn advanced science content associated with the science curriculum.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10학년 과학 교육과정에 최신 과학 내용을 도입한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과 과학 수업에 대한 흥미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서울시에 소재한 남녀공학 고등학교 4 학급을 각 2학급씩 비교 집단과 실험 집단으로 배치하였고, 학생들의 사전 과학학업 성취도에 따라 3집단(상, 중, 하)으로 나누어분석하였다. 처치집단은 ‘반응속도’, ‘환경’, ‘과학의 탐구’단원 수업에 최신 과학기술 내용을 도입한 학습 자료를 이용하여 학습하였다. 수업 처치는 6주 동안 실시하였으며, 처치 전 후에 학생들의 과학 학습 태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에 대한 흥미 영역에서는 학업 성취도와 수업 처치 간에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p<.01). 과학 수업에 대한 흥미 영역에서는 성취도와 관계없이 모든 집단에서 수업 처치에 따른 주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p<.05). 최신 과학 내용을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수업시간에 소개하는 것은 학생들의 과학과 과학 수업에 대한 흥미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며, 교육과정 내용과 관련하여 최신 과학에 대해 배우기를 원하는 학생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영혜, 박소영, 정현철, 박진아 (2007). 특수목적 고등학교 정책의 적합성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07-5.
  2. 곽영순, 김찬종, 이양락, 정득실 (2006). 초,중등 학생들의 과학 흥미도 조사. 한국지구과학교육학회지, 27(3), 260-268.
  3. 김윤지, 정진우 (2006). 고등학생들의 과학 학습에 대한 동기 요인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2), 291-297.
  4. 김현정, 홍훈기 (2010). 과학교사의 나노기술에 대한 인식과 태도. 대한화학회지, 54(5), 633-642.
  5. 김현정, 홍훈기, 홍지혜 (2011). 고등학생의 나노기술에 대한 인식과 태도. 대한화학회지, 55(1), 104-111.
  6. 김희백 (2007). 과학교육 연구 및 교사교육 문제점과 개선방안. PISA 2006 과학 성취도 하락의 진단과 처방, 38-44.
  7. 문수연, 안병준, 박경화, 정규관, 양우헌 (2005). 첨단과학기술 지향 과학교사 연수프로그램. Jour. Science Educ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30, 105-122.
  8. 박두찬, 송진웅 (2009). 학생들은 어떤 과학수업에 호응하는가?: 학교 과학에 대한 중고등학생들의 가치 인식과 호응 양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6), 593-610.
  9. 송희성, 김종득, 문광순, 박수문, 박승재 (2007). 첨단과학기술 시대의 과학 교과과정 개편방안.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연구보고서, 30-2.
  10. 이범홍, 김주훈, 이양락, 홍미영, 이미경, 이창훈, 신일용, 심재호, 곽영순, 전영석, 김동영, 장재현 (2005). 과학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5-7, 327.
  11. 이봉우, 손정우, 최원호, 이인호, 황북기, 최정훈 (2009). 학생들의 인식 조사를 통한 이동과학교실의 특징 분석. 초등과학교육, 28(1), 1-8.
  12. 이양락, 박재근, 이봉우, 박순경, 전영근 (2004). 과학과 교육내용 적정성 분석 및 평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4-1-6, 630.
  13. 이현정, 전영석 (2009). 초등학교 과학영재교육에 첨단과학기술 학습프로그램의 적용 가능성 탐색. Journal of the Society for the International Gifted in Science, 3(1), 31-43.
  14. 장경애, 윤혜경 (2005). 비정규 과학교육 활동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식: '주니어 공학기술 교실' 사례를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24(4), 329-336.
  15. 정완호 (1997). 교원대학교 과학 교육 연구소 주관 과학 태도 검사지.
  16. Basu, S. J., & Barton, A. C. (2007). Developing a sustained interest in science among urban minority youth.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4(3), 466-489. https://doi.org/10.1002/tea.20143
  17. Chang, S. N., Yeung, Y. Y., Cheng, M. H. (2009). Ninth graders'learning interests, life experiences and attitudes towards science & technology.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18, 447-457. https://doi.org/10.1007/s10956-009-9162-6
  18. Chang, R. P. H. (2006). A call for nanoscience education. Nanotoday, 1(2), 6-7. https://doi.org/10.1016/S1748-0132(06)70028-7
  19. Criswell, B. (2007). Connecting acids and bases with encapsulation... and chemistry with nanotechnology.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84(7), 1136-1139. https://doi.org/10.1021/ed084p1136
  20. Goodhew, P. (2006). Education moves to a new scale. Nanotoday, 1(2), 41-43.
  21.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04). Learning for tomorrow's world : first results from PISA 2003. Paris: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2. Palmer, D. H. (2009). Student interest generated during an inquiry skills less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6(2), 147-165. https://doi.org/10.1002/tea.20263

Cited by

  1. 예비 고등학생들과 고등학교 과학 교사들의 '신소재'에 대한 인식 탐색 vol.32, pp.2, 2011,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2.279
  2. 로봇 STEAM 교수학습 프로그램 제안 vol.18, pp.6, 2015, https://doi.org/10.18108/jeer.2015.18.6.3
  3. 3D 프린터를 활용한 호흡계의 융합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탐구 능력, 창의적 문제해결력, 과학 흥미도 및 STEAM 프로그램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vol.37, pp.3, 2011, https://doi.org/10.15267/keses.2018.37.3.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