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Patterns of Interlanguage in Science Learn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Interlanguage through the Change of Understanding of Science Languages

과학 학습 과정에서 나타나는 중간언어의 유형 및 과학 언어에 대한 이해수준 변화에 따른 중간언어의 특징

  • Received : 2011.03.31
  • Accepted : 0211.06.24
  • Published : 2011.08.30

Abstrac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interlanguage of ninth graders that was used to classify and explain the phenomena related to the change of the matters in a group discussion and semi-structured interview. The patterns of the interlanguage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through the change of their understanding of science languages. The analyses of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interlanguage of the students are classified into the three patterns according to its meaning and form. Pattern 1 is science language used in combination with everyday language to express scientific meaning. This was used by most students regardless of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science languages. Pattern 2 is everyday language used to show scientific meaning, which was used by students who had better understanding of science languages than the others. Pattern 3 is using languages with multiple meaning, which was mainly used by students who have superficial understanding of science languages.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이 물리변화와 화학변화를 나타내는 현상을 구분하고 설명하는 과정에서 사용하는 중간언어를 집단토의 활동과 사후면담을 통해 조사하였다. 학생들이 사용한 언어를 귀납적으로 분석하여 중간언어의 유형을 분류하고, 과학 언어에 대한 이해수준의 변화에 따른 중간언어의 특징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의 중간언어는 그 의미와 형태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중간 언어 유형 1은 과학적 의미를 나타내기 위해 과학 언어와 일상 언어를 함께 사용하는 언어 사용 방식으로, 과학 언어에 대한 이해수준 변화와 관련 없이 대부분의 학생들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간언어 유형 2는 과학적 의미를 나타내기 위해 일상 언어만을 사용하는 언어 사용 방식으로, 과학 언어에 대한 이해가 높은 학생들에게서만 나타났다. 중간언어 유형 3은 언어를 다중적인 의미로 사용하는 언어 사용 방식으로, 과학 언어에 대한 피상적 이해를 지닌 학생들에게서 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교육학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재술, 김기범 (1993). 과학 오개념 편람: 역학편. 청원군: 한국교원대학교.
  2. 김양진 (1996). 중학교 과학 교과서 힘과 운동 단원의 용어 분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해경, 고영구 (2003).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에서 사용되는 지구 영역 용어의 특성 분석. 초등과학교육, 22(2), 200-210.
  4. 맹승호 (2008). 수업 담화 맥락에 기반한 광물과 암석 단원 과학 수업의 양태 변화: 담화 레지스터와 언어 코드적 접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맹승호, 김찬종 (2009). 담화 언어 코드로 본 과학 수업 양태의 학생 중심성.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1), 116-136.
  6. 신명환, 맹승호, 김찬종 (2010). 초.중등 과학 교과서 화산과 지진 관련 단원 글의 언어 구조 비교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31(1), 36-50.
  7. 이정아, 맹승호, 김찬종 (2008). 과학수업담화의 새로운 독법: 교수학적 담화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8), 832-847.
  8. 이정아, 맹승호, 김혜리, 김찬종 (2007).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초등 과학 교과서 텍스트에 대한 체계기능 언어학적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3), 242-252.
  9. 이해영, 김미영, 김은영, 이민경, 이정란, 이현의, 정소아, 조경윤, 주은경, 최선영, 현혜미 (2005). 한국어 학습자의 중간언어 연구.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10. 임은정 (2007). 초등학교 과학교과 화학 영역의 용어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 조사. 목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정은숙, 김찬종 (2010). 대기 중 물의 상태변화에 관한 중학생의 글에서 나타나는 의미관계 및 과학 언어적 특성에 관한 예비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31(3), 288-299.
  12. 정화숙, 박현숙, 임연진, 김자림 (2005).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중등 과학 교과서의 광합성 영역에 대한 용어와 탐구의 연계성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3(2), 196-208.
  13. 차현정 (2010). 중학생의 지구과학 주제 글쓰기에 나타나는 언어적 특징 분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화학대사전편집위원회 편, 성용길, 김창홍 역 (2001). 화학대사전. 서울: 세화(世和).
  15. Barnett, J. (1992). Language in the science classroom: Some issues for teachers. The Australian Science Teachers Journal, 38(4), 8-13.
  16. Benson, H. (2004). Geoffrey Nunberg, clever media linguist, examines what our words really mean, including the way Bush says 'nucular'. from http://articles.sfgate.com/2004-07- 08/entertainment/17433068_1_bad-ideahomeland- security-new-york-times.
  17. Brown, B. A., & Kloser, M. (2009). Conceptual continuity and the science of baseball: Using informal science literacy to promote students' science learning. Cultural Studies of Science Education, 4(4), 875-897. https://doi.org/10.1007/s11422-009-9198-1
  18. Brown, B. A., & Spang, E. (2008). Double talk: Synthesizing everyday and science language in the classroom. Science Education, 92(4), 708-732. https://doi.org/10.1002/sce.20251
  19. Cameron, L., Moon, J., & Bygate, M. (1996). Language development of bilingual pupils in the mainstream. Language and Education, 10(4), 221-226. https://doi.org/10.1080/09500789608666710
  20. Fang, Z., & Schleppegrell, M. J. (2008). Reading in secondary content areas: A language-based pedagogy. Ann Arbor: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1. Gomez, K. (2007). Negotiating discourses: Sixth-grade students' use of multiple science discourses during a science fair presentation. An International Research Journal, 18(1), 41-64.
  22. Lemke, J. L. (1990). Talking science: Language, learning and values. Westport, London: Ablex Publishing.
  23. Mortimer, E., & Scott, P. (2003). Meaning making in secondary science classrooms. Maidenhead: Open University Press.
  24. Nunberg, G. (2004). Going nucular: Language, politics, and culture in confrontational times. New York: Public Affairs Publishing Co.
  25. Olander, C. (2010). Towards an interlanguage of biological evolution: Exploring students' talk and writings as an arena for sense-making. PhD-thesis. Goteborg studies in educational sciences 288. Goteborg: Acta Universitatis Gothoburgensis.
  26. Osborne, J. (2002) Science without literacy: A ship without a sail? Cambridge Journal of Education, 32(2), 203-218. https://doi.org/10.1080/03057640220147559
  27. Reddy, M. J. (1993). The conduit metaphor: A case of frame conflict in our language about language. In A. Ortony. (ed.). Metaphor and thought (pp. 164-201). Philadelph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Reveles, J., & Brown, B. (2008). Contextual shifting: Teachers emphasizing students' academic identity to promote scientific literacy. Science Education, 92(6), 1015-1041. https://doi.org/10.1002/sce.20283
  29. Rincke, K. (2011). It's rather like learning a language: Development of talk and conceptual understanding in mechanics lesson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3(2), 229-258. https://doi.org/10.1080/09500691003615343
  30. Robinson, P. J. (2005). Teaching key vocabulary in geography and science classrooms: An analysis of teachers' practice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EAL pupils'learning. Language and Education, 19(5), 428-445. https://doi.org/10.1080/09500780508668695
  31. Schleppegrell, M. J. (2004). The language of schooling: A functional linguistics perspective. Mahwah,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2. Selinker, L. (1972). Interlanguage. International Review of Applied Linguistics in Language Teaching, 10(3), 209-232.
  33. Shaffer, D, R. (1996). Developmental psychology: Childhood and adolescence (4th ed.). Boston: Brooks/Cole.
  34. Stromdahl, H. (2003). Modeling conceptual attainment of physical quantities. from http://www1.phys.uu.m/esera2003/programme /pd%5C158Spdf.
  35. Vygotsky, L. S. (1978).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36. Wellington, J., & Osborne, J. (2001). Language and literacy in science education. Buckingham, Philadelphia: Open University Press.
  37. Westby, C., & Torres-Velasquez, D. (2000). Developing scientific literacy: A sociocultural approach. Remedial and Special Education, 21(2), 101-110. https://doi.org/10.1177/074193250002100205
  38. Young, R. F., & Nguyen, H. T. (2002). Modes of meaning in high school science. Applied Linguistics, 23(3), 348-372. https://doi.org/10.1093/applin/23.3.348

Cited by

  1. 지각 변동을 학습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중학생들의 중간 언어 유형 vol.33, pp.1, 2012, https://doi.org/10.5467/jkess.2012.33.1.59
  2. 교사들의 아이디어 융합 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역지대의 진화과정 탐색: 자율적 학습공동체'STEAM 교사 연구회' 사례연구 vol.33, pp.5, 2011,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5.1055
  3. 7차, 2007, 2009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과학 교과서 ‘힘과 운동’ 단원에 수록된 물리 용어 분석 - 교육용 과학 용어 선정 방법에 대한 제안 vol.22, pp.None, 2011, https://doi.org/10.33641/kolex.2013..22.193
  4. 과학 용어 및 과학 용어 교육에 대한 과학 교사들의 인식 조사 vol.33, pp.7, 2011,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7.1343
  5. A Study of the Interchanging Experiences at the Trading Zone: Focusing on the Case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ers vol.15, pp.2, 2011, https://doi.org/10.15753/aje.2014.15.2.005
  6. K-WISC-IV에 나타난 과학학습 부진아, 일반아, 과학학습 우수아의 인지 특성 비교 연구 vol.39, pp.3, 2011, https://doi.org/10.21796/jse.2015.39.3.418
  7. 중등 과학교육에서 소집단을 활용한 교수학습 연구 분석 및 '소집단 연구' 방법론 고찰 vol.45, pp.3, 2011, https://doi.org/10.15717/bioedu.2017.45.3.4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