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Impacts of SNS Usage on the Relationship and Effectiveness of Local Administration PR: Local Government vs. Residents Perspectives

자치행정PR을 위한 자치행정조직의 SNS 활용이 지역주민과의 관계 및 커뮤니케이션 증진과 행정의 관리 효과에 미치는 영향 : 자치행정조직과 지역주민간의 견해차 비교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1.07.07
  • Accepted : 2011.09.16
  • Published : 2011.10.31

Abstract

The study aims to determine whether SNS Usage has significantly influence on local administration PR. With the advance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many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began to work in public relation to their residents via SNS. Nowadays SNS is transforming practical standpoints from forming public opinion through communication message to forming relationship with their residents. Therefore the need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and their residents are demanded with the needs to investigate impact levels of SNS use on the relationships. While there are many researches to simply identify the features of SNS and to introduce local administration, the research investigating the sequential impacts of SNS use on local adminstration PR does not exist. The study targeted a borough office and its residents and compare those two groups. Findings illustrate that the SNS usage of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suffer from the shortage of resident's feedback. Finally the study recommends the various issue developments to strike chord with their residents to utilize SNS use in local governmental organiza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행정조직의 SNS 활용이 자치행정PR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고자 함에 있다. 오늘날 정보통신의 발달과 함께 SNS 서비스의 활성화로 자치행정PR에서도 SNS를 활용하고자 하는 행정조직이 늘고 있다. SNS의 활용은 과거 커뮤니케이션 메시지로 여론을 형성하고 조작하는 관점에서 이제는 시민과의 관계성을 관리하는 관점으로 바뀌어가고 있다. 이렇게 행정PR의 특성은 행정조직과 지역주민 사이의 관계성을 파악해야 함과 동시에 SNS가 이러한 관계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SNS의 특성을 확인하는 연구와 자치행정PR에 관한 연구는 별도로 진행되면서 SNS의 활용이 자치행정PR에 어떠한 효과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구청의 직원과 지역주민을 연구대상으로 하는 모델을 각각 설정하여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행정조직의 SNS 활용은 지역주민의 피드백이 부족하였으며, 대다수 지역주민이 공감할 수 있는 주제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명성준, "목민심서에 나타난 정약용의 민의 수렴과 그 방안들", 국가정책연구, 21(2), pp.49-70, 2007.
  2. 이두원, "국가 정책홍보의 커뮤니케이션 전략 탐색연구", 커뮤니케이션학연구, 13(1), pp.180-209, 2005.
  3. 김창룡, 정부PR 발전방안 연구, 한국언론연구원, 1998.
  4. 신호창, "민주정부의 정책홍보의 중요성과 발전적 정책홍보 모델에 관한 논의", 정책&지식, 제220호, pp.2-19, 2005.
  5. 박주연, 문철수, 박현순, "정부부처의 효율 적인 정책 홍보 전략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16(4), pp.31-54, 2005.
  6. 이희복, 신명희, "지방의회 홍보활동과 미디어 보도 분석-경기도의회를 중심으로", 홍보학연구, 14(4), 2010.
  7. Robbins, A., Twitter, Power 2.0, Hoboken, New Jersey: John Wiley & Sons, Inc., 2010.
  8. 김무곤, 김관규, "정부부처 홈페이지의 홍보효과에 관한 사용자 평가연구", 한국언론학보, 45(1), pp.33-60, 2000.
  9. 전종수, 오달수, 윤미영, "Gov 2.0 시대의 공공정보 및 공공서비스 활성화 전략," NIA 한국정보화진흥원, CIO 리포트, 21, 2010.
  10. Broom, G. M., Casey, S. and Ritchey, J., "Concept and theory of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s," In Ledingham, J. A. and Bruning, S. D.(Eds.), Public Relations as Relationship Management: A Relational Approach to the Study and Practice of Public Relations, Mahwah, NJ: Lawrence Erlbaum, pp.3-22, 2000.
  11. Boyd, d. m. and Ellison, N. B., "Social network sites: Definition, history, and scholarship,"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13, pp.210-230, 2007. https://doi.org/10.1111/j.1083-6101.2007.00393.x
  12. 한정호, 박노일, 정지연, 최승범, "정책홍보에 있어 트위터를 활용한 정책 담론 형성 가능성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광고공사, 2010.
  13. 변태운, 송승근, "소셜네트워크의 핵심요인분석: 기술과 서비스 측면을 중심으로", 경영정보연구, 제29권 4호, pp.89-108, 2010.
  14. 박선주, 정원모, "공공 부문의 성공적인 소셜미디어 도입 및 활용 전략", 한국정보화진흥원, 2010.
  15. ATLAS Review, "SNSF, 커뮤니케이션 툴을초월해 IT산업의 트렌드세터로 부상-최근동향과 전망", 테마기획, 11월호, 2010.
  16. Shaw, R., "Using web-based customer feedback," PR Week, February21, 24, 2002.
  17. 박준, 최홍, 박성민, "소셜미디어가 여는 새로운 정책환경", 삼성경제연구소, CEO Information, 제808호, 2011.
  18. 최항섭, 이명진, 배영, "방통융합 환경에서 참여문화의 신뢰성 확보방안 연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0.
  19. 박선주, "주요 선진국의 '소통형 디지털 정부' 추진 현황과 시사점", CIO 리포트, 한국정보화진흥원, 2009.
  20. Ferguson, M., "Building Theory in Public Relations: Inter-organizational Relationship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Conference of the `14AEJMC, Gainsville, Fl, 1984.
  21. Berscheid, E. and Peplau, L. A., "The emerging science of relationships," In H.H. Kelley, et al. (Eds.), Close relationships, pp.1-19. New York: W.H. Freeman and Company, 1983.
  22. Cutlip, S., Center, A., and Broom, G., Effective Public Relations,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1994.
  23. Childers, L. and Grunig, J., Guidelines for Measuring Relations in PR, The Institute for Public Relations, Univ. of Florida, 1999.
  24. 김형석, 이현우, "한국의 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공중관계성 측정도구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10(1), pp.99-139, 2008.
  25. 박현순, "정부기관과 정책공중과의 공중관계성 척도 검증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11(4), pp.144-170, 2009.
  26. Gunther, A. C. and Christen, C, T., "Projection or Persuasive Press?: Contrary Effects of Personal Opinion and Perceived News Coverage on Estimates of Public Opinion," Journal of Communication, 52(1), pp.177-195, 2002. https://doi.org/10.1111/j.1460-2466.2002.tb02538.x
  27. 김정헌, "지방정부와 시민간의 PR관계성분석과 관리-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행정논총, 43(4), pp.123-154, 2005.
  28. Hon, L. C. and Grunig, J. E., Guidelines for Measuring Relations in PR, The Institute for Public Relations, Univ. of Florida, 1999.
  29. 한정호, "기업의 공중관계성 지수측정을 위한 연구", 한국방송광고공사, 광고연구, 54, pp.131-152, 2002.
  30. 오두범, "행정홍보의 특성과 과제에 관한 고찰", 홍보학연구, 1, pp.168-186, 1997.
  31. 신호창, 이두원, 행정PR 원론, 이화여자대학 교출판부, 2002.
  32. Huang, Y., "OPRA: A cross-cultural, multiitem scale for measuring organization- public relationships," Journal of Public Relations Research, 13(1), pp.61-91, 2001. https://doi.org/10.1207/S1532754XJPRR1301_4
  33. 최영균, "마케팅 툴로서 소셜 미디어의 실제와 전략", Marketing, pp.31-37, 2010.
  34. Ledingham, J. and Bruning, S., Public Relations as Relationship Management, Mahwah, N.J.:Lawrence Erlbaum, 2000.
  35. Donath, J. and Boyd, D., "Public displays of connection," BT Technology Journal, 22, pp.71-82, 2004.
  36. 이명천, 김정현, 김요한, 김지해, "정부 정책홍보 사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분석 연구", 한국언론학보, 52, 2008.
  37. Chin, W. W., "The Partial Least Squares Approach to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G. A. Marcoulides(ed.)," Modern Methods for Business Research, Lawrence Erlbaum, Mahway, NJ, 22(1), pp.7-16, 1998.
  38. Fornell, C. and Larcker, D. F.,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1), pp.39-50, 1981. https://doi.org/10.2307/3151312
  39. Barclay, D., Higgins C. and Thompson, R. "The Partial Least Squares(PLS) Approach to Causal Modeling: Personal Computer Adoption and Use as an Illustration," Technology Studies, 2(2), pp.285-324, 1995.
  40. Chin, W. W., Gopal A. and Salisbury, W. D., "Advancing the Theory of Adaptive Structuration: The Development of a Scale to Measure Faithfulness of Appropriation,"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8(4), pp.342- 367, 1997. https://doi.org/10.1287/isre.8.4.342
  41. Hair, J., R. and Anderson R. B., Tatham, Multivariate Data Analysis, Prentice Hall, Upper Saddle River, NJ, 1998.
  42. Chin, W. W., Marcolin, B. L. and Newsted P. R., A Partial Least Squares Latent Variable Modeling Approach for Measuring Interaction Effect: Results from a Monte Carlo Simulation Study and Voice Mail Emotion/adoption Study, 1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Systems, Ohio, 1996.
  43. Keil, M., "A Cross-cultural Study on Escalation of Commitment Behavior in Software Projects," MIS Quarterly, 24(2), pp.299-325, 2000. https://doi.org/10.2307/3250940
  44. 이승창, 이호근, 정창욱, 정남호, 서응교, "정보시스템 사용과 성과에 있어서 자발성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19(2), pp.195-221,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