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al Philosophical Analysis of Critical Discourses on the Cultural Competence

문화적 역량 비판 담론에 관한 사회철학적 분석

  • Received : 2011.05.02
  • Accepted : 2011.06.01
  • Published : 2011.08.31

Abstract

It is very interesting phenomenon that despite a broad consensus on the need for social worker to take cultural aspects into professional practice, thus to be a culturally competent, a number of materials criticising the concept of cultural competence have emerged in these days simultaneously.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is to clarify such phenomenon, which means that this article is trying to analyze the contents of such critical discourse on cultural competence and the validity of those contents. The result of the study finds out that most of the arguments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aspects: epistemological, ethical, ontological, and that most of the main ideas of the critical discourses have been borrowed from a branch of critical social work theories, especially highly influenced from Foucault and Derrida. This article argues that critical discourses have some significant problems which make a conflict with traditional values and tenets in social work as a human service profession. First, epistemologically, the critical discourse fails to differentiate the matter of discovery from that of justification, which brings the cultural competence to the brink of agnosticism. Second, ethically, insisting that there should be no foundational criteria for cultural hierarchy in term of rightness or goodness, the critical discourses reveal their intrinsic limitations in solving ethical dilemmas and conflict in real world, which can be considered as a kind of evasion of responsibility in disguise of cultural relativism. Third, in practical vein, critical discourses are largely in effective in specifying the concrete model to realize their own ideas, and furthermore they unintentionally promote context-blind perspectives that eclipses the significance of structural and systematical impacts on the cultural identity.

본 연구의 목적은 비판적 사회복지 이론을 이론적 도구로 하여 문화적 역량 개념에 대한 비판담론을 분석하는 것이다. 부연하자면 다문화사회의 사회복지사라면 당연히 갖추어야 할 것으로 간주되어 왔던 다문화 역량 개념에 대한 비판담론들이 주장하는 내용을 명확히 하고 그 타당성을 체계적으로 평가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역량에 대한 비판담론들이 급진적 비판 사회복지이론, 특히 푸코와 데리다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은 포스트모던 계열의 비판사회복지이론에 지적 기초를 두고 있음을 밝힌다. 비판담론들은 인식론적 측면에서 문화적 역량의 지식적 토대의 근거와 정당성을 문제시하는 동시에, 윤리적 측면에서는 문화적 사회복지실천이 가진 억압과 통제를 지적한다. 그 결과 문화적 역량이 별도의 실체로서 간주될 수 있는 것으로 보기 보다는 일반사회복지의 한 가지 태도로 간주하려 한다. 그러나 문화적 역량에 대한 비판담론들이 포스트모더니즘에 근거하고 있는 이상 이들이 가진 사회철학적 한계 역시 분명하다. 이들 담론들은 사실과 규범에 대한 인식적 구별을 하지 않으며, 전문직 관계의 억압을 과도하게 철폐하는 과정에서 도덕적 상대주의나 급진적 자유주의로 흐를 수 있고,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와의 권력적 제휴나 연합의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등의 실천적 한계를 노정하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