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uctural Relationship of School Risk Factors and Suicide Ideation in Adolescence, Based on 'Escape Theory' Model

'도피이론(Escape Theory)' 모형에 기반한 학교위험요인과 청소년 자살생각의 구조적 관계

  • Received : 2011.02.23
  • Accepted : 2011.04.22
  • Published : 2011.08.31

Abstract

This study was based on the 'Escape Theory' model suggested by Baumeister(1990). Based on this analysis framework,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at complicated direct and indirect effect of school risk factors(risk of academic scores, risk of relation with teacher and risk of peer relation) on suicide ideation in adolescence, through negative self-esteem, depression and withdrawal coping. To this end, this study used the data from the '2008 Gyeongsangbuk-Do youth crisis survey' conducted by the Youth service center in province of Gyeongsangbuk-Do. The target number of this study was 2,335 students in the age group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he result of the Analysis indicate that risk of relation with teacher among school risk factors was only one which affected directly and indirectly on suicide ideation. The other side, risk of academic scores and risk of peer relation had indirect effects, via negative self-esteem, depression and withdrawal coping.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school risk factors had effects on suicide ideation directly or indirectly, they were complicatedly connected, through negative self-esteem, depression and withdrawal coping. Therefore, Prevention program for adolescence' suicide ideation or suicide risk require integrated strategies and tactics.

본 연구는 학교위험요인이 어떠한 경로 구조를 통하여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Baumeister(1990)의 '도피이론(Escape Theory)' 모형에 기반하여 확인한 것이다. 이를 위해 '2008 경상북도청소년위기실태조사' 자료를 활용, 경북지역 중 고등학교 청소년 2,33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교위험요인 중 교사와의 관계위기는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직접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부정적 자아존중감과 우울, 회피적 대처를 거쳐,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직접효과가 간접효과보다 더 큰 영향력을 발휘하여 교사와의 관계가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중요한 변인임이 확인되었다. 반면 학교성적위기와 친구관계위기는 자살생각에 대한 직접 효과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부정적 자아존중감과 우울, 회피적 대처 등의 변인을 거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별로 중학생과 고등학생 집단 간에 이러한 경로에서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함의를 논의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