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ffects to the Change of Social Capital from Participation in Elderly Employment Programs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가 사회적 자본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 Received : 2011.02.23
  • Accepted : 2011.03.24
  • Published : 2011.05.31

Abstract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through change of social capital by understanding how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in the elderly employment policy of Korea has effected the change of social capital. The method of research was to design the research in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s design from the quasi-experimental design for the 500 elderly who participated and 250 who have not participated in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through distributing structured questionnaire by classifying into before and after the project during 7 months from March 1, 2010 to September 30, 2010 to those above 65 living in Changwon. The social capital which is an important variable among the measurement index of the study has been set as trust, network, and social participation fields based on the aforementioned theoretic background. When the fact that there is a partial difference in the change of social capital of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in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and the timing (before/after) is looked at in terms of change of social capital after controlling the general character of the elderly and the pre-score, there are differences per timing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in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Thus, the participation in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 of social capital. It is possible to see that the trust, network, and social participation of the social capital all increased in the elderly with difficulties in their living status. It can be seen that the participation in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brings forth increase of social capital for the elderly with difficulties in their living status. Among the social capitals, the elderly who participated in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showed that the trust increased the most. Consequently, in order to increase the comprehensive social capital, the programs must be carried out focused on the vulnerable class in parallel to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for the general elderly of other classes.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사업이 노인의 사회적 자본 변화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 규명하여 노인일자리사업의 효과성을 사회적 자본 변화를 통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한 노인 중 사회적 자본이 변화하였을 때, 사회적 자본의 변화를 유형별로 나누어 참여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노인일자리사업 특성을 변화유형별로 비교해 보았다. 이는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가 노인 삶을 변화시키는데 직 간접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는 실증적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한 노인 중 사회적 자본이 변화하였을 때, 생활상의 어려움에 있는 노인층에서 사회적 자본 중 신뢰, 관계망, 사회참여가 모두 증가하였고,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가 생활상의 어려움을 가진 노인층에게 사회적 자본 증가의 효과를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들 사회적 자본 중 노인 일자리사업에 참여한 노인은 신뢰가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특히 생활상의 어려움에 있는 노인층과 생계비를 벌기 위해 참여한 노인층에서 사회적 자본 중 신뢰, 관계망, 사회참여가 모두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으며, 노인일자리사업이 생활상의 어려움을 가진 노인층에게 사회적 자본 변화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일자리유형에서 사회참여는 상승하였고, 생계를 위해서 참여한 노인층이나 생활상의 어려움이 있는 노인층에서 특히 사회참여가 증가하였다. 짧은 참여기간 동안의 조사로 나타난 결과이기도 하지만, 궁극적으로 노인의 노동참여를 통한 사회참여는 보호적 시장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효과적이었다고 볼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