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명원․김성호․박지훈․이선준․차용우․고상숙 (2010).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평가가 나아가야 할 방향.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4(2), 301-323.
- 강현영․박문환․박교식 (2009).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에서의 소수 도입에 대한 분석과 비판. 학교수학, 11(3), 463-477.
- 김구연 (2010). The analysis of mathematics curriculum materials: Addition and subtraction in grade 3. 교육과정평가연구, 13(2), 59-78.
- 김남희 (2001).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 [7-가] 단계의 변수의 개념 지도에 관한 교수학적 논의. 수학교육학연구, 11(1), 67-87.
- 김남희 (2005). 제 7차 교육과정의 이산수학 교수-학습에 관한 연구. 학교수학, 7(1), 77-101.
- 김남희․나귀수․박경미․이경화․임재훈․정영옥․황혜정․고은성 (2005). 중등 수학과 교육과정 국제비교. 교원교육, 21(1), 50-68.
- 김래영 (2010). Non-textual elements as opportunities to learn: An analysis of Korean and U.S. mathematics textbooks. 학교수학, 12(4), 605-617.
- 김민경․노선숙 (2001). 우리나라 수학교육과정 현황 및 TIMSS 연구결과와의 비교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1(1), 137-156.
- 김부윤․김윤영 (2000). 고등학교 수학에서의 미분 단원 의 내용 구성에 관한 고찰.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10, 221-236.
- 김상미 (2008). 2007년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이행에 따른 학년간 내용 이동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C <초등수학교육>, 11(2), 95-103.
- 김상화․방정숙․정희진 (2005).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성격 및 목표 분석. 교원교육, 21(2), 58-75.
- 김선희․김경희 (2009). 교육과정에 근거한 TIMSS 2007 공개 추이문항의 정답률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9(1), 99-121.
- 김성준 (2002). 대수 교육과정의 변화에 관한 고찰-패턴에 기초한 대수 도입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12(3), 353-369.
- 김훈․박은영․김종득 (2006). 한국과학영재학교 수학교 과과정 개정 및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0(1), 75-86.
- 나귀수 (2003). TIMSS-R 국제성취수준에 따른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성취도 분석- 교육과정, 교과서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13(3), 383-403.
- 노선숙․김민경․유현주․차인숙 (2001). 창조적 지식기반사회의 수학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조사연구-수학교육목표에 대한 교사.학생의 인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0(2), 162-177.
- 류희찬 (2005).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의 기본 방향: 관점, 목표, 형식. 교원교육, 21(2), 76-90.
- 문교부 (1954). 국민학교․중학교․고등학교․사범학교 교육과정 시간배당기준령 (문교부령 제 35호).
- 박경미․김남희․나귀수․방정숙․이경화․임재훈․정영옥․정희진․황혜정 (2000).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국제 비교 연구. 교원교육, 21(1), 32-49.
- 박교식 (2001a). 제 7차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서의 문제해결 관련 내용의 분석. 학교수학, 3(1), 1-23.
- 박교식 (2001b). 제 7차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수학 용어에 대한 연구. 학교수학, 3(2), 233-248.
- 박혜숙 (2010).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에서의 기본 고려사항.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9(3), 343-351.
- 방승진․최승오 (2006). 수학과 AP(Advanced Placement) 결과 분석 및 교육과정 연구: 2005학년도 교육인적자원부 지원 AP제도를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0(1), 103-115.
- 방정숙․김상화 (2006). 문제해결과 관련된 제 7차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및 교과용 도서 분석. 학교수학, 8(3), 341-364.
- 방정숙․이지영 (2009). 분수의 곱셈과 나눗셈에 관한 초등학교 수학과 교과용 도서 분석. 학교수학, 11(4), 723-743.
- 백대현 (2010).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용어 사용과 표현의 적절성 고찰. 학교수학, 12(1), 61-77.
- 백석윤․이명희 (2003).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변화 경향 재고: Ernest의 수학교육 철학적 관점에서. 학교수학, 5(2), 151-165.
- 서경혜․유솔아․정진하 (2003a). 초등수학 교육과정 내용 조직 비교 분석: 제 7차 교육과정과 Everyday Mathematics. 교육과학연구, 33(2), 21-55.
- 서경혜․유솔아․정진하 (2003b). 제 7차 초등학교 수학교육과정 내용 체계 분석. 초등교육연구, 16(2), 159-184.
- 송정화․권오남 (2002). 6차와 7차 교과서 분석을 통한 그래프 지도 방안. 학교수학, 4(2), 161-191.
- 신중필․노영순 (2000). 제 6, 7차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 과정 비교 분석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3(1), 165-171.
- 신현성 (2001). 수학과 교육과정의 개혁변인에 대한 소고.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4(2), 27-32.
- 신현용 (2005).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과 절차에 관한 제언.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4(2), 169-178.
- 우정호 (2004). 인간 교육을 위한 주요교과로서의 학교수학. 학교수학, 6(4), 313-324.
- 임재훈․이경화․박경미 (2002). 남북한 수학 교과서 영역별 분석 및 표준 수학 교육과정안 개발 연구 (1) -남북한 학교 수학 용어 통합 방안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12(4), 493-508.
- 이강섭․김규상 (2003).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확률과 통계' 영역의 변천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15, 113-117.
- 이강섭․이민규 (2003). 제 7차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수학 교과서의 참신성과 독창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16, 181-190.
- 이경진 (2005). 대학부설 연구소와 초등 교사들의 협력에 의한 교육과정 개발 사례 '창의성 증진을 위한 초등 수학 교육과정' 개발을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 18(2), 335-361.
- 이대현 (2009). 수학 교과서의 덧셈과 뺄셈 문장제와 그 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 분석. 학교수학, 11(3), 479-496.
- 이대현․임재훈 (2005).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의 교육내용 적정성에 관한 학생 의견 조사 연구. 수학교육, 44(4), 509-524.
- 이대현․최승현 (2006). 제 7차 수학과 선택 중심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탐색.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5(2), 231-244.
- 이명희 (2000). 수학 교육 철학적 분석을 통한 초등 수학과 교육과정의 경향 파악. 한국초등수학회, 4, 39-55.
- 이영하․김미연 (2002). 수학과 7-가 교과서 단원도입활동의 내용소재 변화 및 활용실태 조사 연구-제 6차와 7차 교과서를 중심으로. 학교수학, 4(3), 375-399.
- 이재돈 (2000). 과거에 대한 반성과 새로운 2000년대 수학교육의 전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10, 441-457.
- 임문규 (2001). 제 7차 교육과저에 따른 초등학교 1, 2학년 수학교재의 문제 만들기 내용 분석 및 학생들의 실태 조사. 학교수학, 3(2), 295-324.
- 장경윤 (2003). 제 7차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적용의 쟁점과 개선방향: 2005학년도 대학입학전형제도와 관련하여. 학교수학, 5(1), 27-42.
- 장경윤 (2007). ICT 시대의 대수교육의 방향과 과제. 학교수학, 9(3), 409-426.
- 장대흥 (2007). 제 7차 1-6단계 수학과 교육과정 상의 확률과 통계영역 교과서에 대한 통계적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1(3), 361-384.
- 정인수 (2007). 제7차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안의 특징 및 의의. 교원교육, 23(1), 137-145.
- 정인숙․류희찬 (2006). Not as easy as it looks: Korean elementary classroom teacher perceptions of mathematics curriculum. 학교수학, 8(4), 365-377.
- 정환옥․노정학 (2005). 한국과 독일의 중등학교 수학교과서 비교 연구 II - 중학교 기하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4(1), 1-14.
- 조완영․정보나 (2002). 7차 수학과 교육과정 작도영역의 교과서와 수업사례 분석. 학교수학, 4(4), 601-615.
- 최근배․김해규 (2005). 한국과 미국의 초등수학 교과서 (Harcourt Math) 비교 연구 - 도형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4(2), 179-200.
- 최승현 (2007). 수학과 선택 교육과정 개정 방향 및 주요 특징. 교원교육, 23(1), 163-173.
- 최승현․이대현 (2005). 수학과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탐색.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4(3), 325-336.
- 최승현․황혜정 (2004a).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 개발과정 및 내용에 관한 분석 연구-시.도 및 초등 단위학교를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3(4), 321-335.
- 최승현․황혜정 (2004b).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실태 분석 연구: 초등 단위학교 및 교사 수준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6(2), 213-233.
- 최승현․황혜정 (2005).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실태 분석 연구: 중등학교 단위학교 및 교사 수준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7(2), 193-219.
- 최승현․황혜정․신항균 (2002). 수학과 성취기준과 평가기준 및 예시 평가도구 개발 연구-국민공통교육기간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12(1), 145-162.
- 최택영․함석돈 (2001) 수학과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편성,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0(2), 179-194.
- 표용수․이지원 (2007).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실생활문제의 개발과 적용: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도형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1(2), 177-197.
- 한국교육개발원 (1979). 초등학교 교육과정 개선 연구, 연구 보고 제 110집.
- 한진규.서종진 (2004). 한국과 미국(North Carolina주)의 확률과 통계 교육 내용 비교.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18(1), 89-98.
- 황혜정 (2008). 미국 조지아주와 우리나라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연구 - 수와 연산 및 대수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1(4), 629-654.
- Alexander, R. J. (2001). Border crossing: Towards a comparative pedagogy. Comparative Education, 37(4), 507-523. https://doi.org/10.1080/03050060120091292
- Chavez, O. (2006). From the textbook to the enacted curriculum.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International Group for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North America XXVIII, Yucatan, Mexico.
- Ornstein, A. C. (1987). The field of curriculum: What approach? what definition? High school Journal, 70(4), pp.208-216.
- Remillard, J. T., & Bryans, M. B. (2004). Teachers' orientations toward mathematics curriculum materials: Implications for teacher learning.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5, 352-388. https://doi.org/10.2307/30034820
- Remillard, J. T., Herbel-Eisenmann, B. A., & Lloyd, G. M. (Eds.). (2009). Mathematics teachers at work: Connecting curriculum materials and classroom instruction. New York, NY: Routledge.
- Reys, B. J., Reys, R. E., & Rubenstein, R. (Eds.). (2010). Mathematics curriculum: Issues,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Reston, VA: NCTM.
- Schmidt, W. H., McKnight, C. C., Houang, R. T., Wang, H., Wiley, D. E., Cogan, L. S., & Wolfe, R. G. (2001). Why schools matter: A cross-national comparison of curriculum and learning. San Francisco, CA: Jossey-Bass.
- Stein, M. K., Remillard, J. T., & Smith, M. S. (2007). How curriculum influences student learning. In F. K. Lester (Ed.), Secon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pp.319-370). Charlotte, NC: Information Age.
- Stigler, J. W. (1990). Mathematical knowledge of Japanese, Chinese, and American elementary school children. Reston, VA: NCTM.
- Valverde, G. A., Bianchi, L. J., Wolfe, R. G., Schmidt, W. H., & Houang, R. T. (2002). According to the book: Using TIMSS to investigate the translation of policy into practice through the world of textbooks. Dordrecht, The Netherlands: Kluwer.
Cited by
- 스토리텔링 수학 교수·학습에 대한 초등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 분석 vol.27, pp.3, 2011, https://doi.org/10.7468/jksmee.2013.27.3.283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국내외 수학교육 연구 동향 비교 연구 vol.59, pp.1, 2011, https://doi.org/10.7468/mathedu.2020.59.1.63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국내 수학과 교육과정 연구 동향 분석 : 1997년부터 2019년까지 게재된 국내 수학교육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vol.59, pp.3, 2011, https://doi.org/10.7468/mathedu.2020.59.3.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