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Protection for Personal Information in Private Security Provider's

경비업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연구

  • 안황권 (경기대학교 경호보안학과) ;
  • 김일곤 (대구과학대학 경호무도과)
  • Received : 2011.09.30
  • Accepted : 2011.10.20
  • Published : 2011.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file actual conditions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systems operated in overseas countries and examine major considerations of personal information that security service providers must know in the capacity of privacy information processor, so that it may contribute to preventing potential occurrence of any legal disputes in advance. Particularly, this study further seeks to describe fundamental idea and principle of sai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enhancement of various safety measures (e.g. collection / use of privacy data, processing of sensitive information / personal ID information, and encryption of privacy information); restrictions on installation / operation of video data processing devices; and penal regulations as a means of countermeasure against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while proposing possible solutions to cope with these matters. Using cases among foreign countries for this study. Possible solutions proposed by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follows: By changing minds with sufficient legal reviews, it is required for security service providers to 1) clearly and further specify any purposes of collecting and using privacy information, if possible, 2) obtain any privacy information by legitimate means as it is necessary to collect such information, 3) stop providing any personal information for the 3rd parties or for any other purposes except fundamental purposes of using privacy information, and 4) have full knowledge about duty of safety measure in accordance with safe maintenance of privacy information and protect any personal information from unwanted or intentional leakage to others.

이 연구의 목적은 외국의 개인정보보호 제도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개인정보처리자인 경비업자가 경비업무 수행 중에 반드시 준수해야 할 개인정보보호의 제도를 논의하고 유의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특히 개인정보보호법의 기본이념과 원칙, 수집 이용, 민감정보 고유식별정보 처리와 개인정보 암호화 등의 안전조치 강화, 영상정보처리기기의 설치 운영제한, 개인정보 유출대응에 대한 벌칙 등을 기술함과 동시에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제안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외국의 개인정보보호법 사례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 제안하는 유의점은 경비업자가 충분한 법적 검토와 더불어 인식을 변화하는 것이다. 아울러 첫째, 개인정보의 수집 이용시 이용의 목적을 가능한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특정하고, 둘째, 개인정보 수집의 필요성에 따라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취득하여야 하며, 셋째, 개인정보의 이용 목적 외에 또는 제3자에게 개인정보를 제공해서는 아니 되며, 넷째, 개인정보의 안전한 관리 조치에 의거 안전조치 의무를 숙지하고,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해야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新村出, '広辞苑第六版(普通版)', 東京: 岩波書店. 2008.
  2. 경비업법, (개정 2009. 4. 01, 법률 제9192호).
  3. 田中智仁. '警備業の社会学', 東京: 明石書店, 2009.
  4. 최호준.안황권,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연구", 경기행정론집, 제5권, pp. 45-62, 1991.
  5. Flacherty, David H. 'Protecting Privacy in Surveillance societies', New York ,1989.
  6. 堀部政男. '情報公開.個人情報-John Middleton: オーストラリアのフライバシー法', 東京:ジュリスト増刊, 1994.
  7. 한귀현. "개인정보보호법제의 동향과 개선방안-개인정보보호기본안을 중심으로", 공법학 연구, 제6권 제2호, pp. 81-107, 2005.
  8. 정영화. "사이버스페이스와 프라이버시권-현행 개인정보보호법제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헌법학 연구, 제6권, 제3호, pp. 50-85, 2002.
  9. 박길선. '가상공간에서의 프라이버시권 보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10. Regan, P, 'Legislation Privacy: Technology, Social Values and Public Policy,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1995.
  11. 石井夏生利. '個人情報保護法の理念と現代的課題-プライバシー権の歴史と国際的視点, .東京: 勁草書房, 2008.
  12. 平松毅, '個人情報保護-理論と運用', 東京: 有信堂, 2009.
  13. www.oecd.org/document, 'OECD Guideliness on the Protection of Privacy and Transborder Flows of Personal Data', 1980.
  14. 5 U.S.C, '552a(e)(1)-(5)', 1994.
  15. 毎日新聞, '35%の企業が職員のインターネット及びメールをモニタリングする, 5. 14: 5, 2002.
  16. 개인정보보호법, (제정 2011. 3. 29, 법률 제10465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