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and Tasks in the Development of the Educa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노년기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현황과 과제

  • Received : 2011.07.15
  • Accepted : 2011.08.30
  • Published : 2011.10.31

Abstract

Korean society with low fertility rate and high aging rate crisis has been tried very hard to find out alternatives to solve these social problems. These efforts resulted in increasing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The education for the elderly have been development in various different academic fields. Therefore, this is the time to establish database for education programs which developed so fa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research trend in the field of educa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in Korea. For this purpose, 62 educa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which developed so far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ed. The topics of educa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 a marriage enrichment programs for the elderly married couples, leisure programs, death education programs, health education programs, economic education programs, education programs for grandparents raising their grandchildren, etc.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tasks of future research about educa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were presented.

Keywords

References

  1. 강남이.이정윤(2005). 성남지역 노인 영양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한국식품영양학회지, 18(4), 357-366.
  2. 고승덕․김은주․김영규(1999). 노인의 죽음 준비교육이 죽음의 불안도에 미치는 요인분석 연구.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16(2), 81-92.
  3. 고지희․김경태(2005). 고령화사회에 따른 노인교육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장안논총, 25(1), 179-241.
  4. 곽삼근․박성희․박소연(2007). 노인기 양성평등의식 교육프로그램. 여성가족부.
  5. 권오균․강금희(2009). 노년기 부부관계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5), 137-145.
  6. 권정원․이기춘․김정숙․장오준개(2003). 제주지역 고령자의 소비자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1(2), 13-29.
  7. 김경신(1998). 노인을 위한 가족생활교육프로그램 개발. 한국노년학, 7(1), 51-70.
  8. 김경현․이자영(2004). 웹기반 수업 활용방안 연구: 노인교육. Andragogy Today: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7(3), 1-37.
  9. 김동건․손정아(2003). 여가교육 프로그램이 재택노인의 여가활동 참여, 권태감, 고독감 그리고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체육과학연구지, 21(1), 81-94.
  10. 김미혜(1993). 노년을 위한 퇴직준비교육 모형의 개발. 한국노년학, 13(2), 15-29.
  11. 김보경․박천만․도종두(2008). 여성노인에 대한 미용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미용학회지, 14(2), 266-273.
  12. 김병숙․양옥남․강 인․한은주․원미희(2005). 고령사회를 대비한 노년준비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5(2), 229-244.
  13. 김순옥(2001). 부부관계향상을 위한 부부교육의 필요성 및 실태.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 4, 55-69.
  14. 김양희(2000). 노인기 적응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생활과학논집, 13, 29-59.
  15. 김원진(2005). 노인건강증진을 위한 임상교육프로그램 개발. 한국자치행정학보, 19(1), 75-94.
  16. 김홍란․김윤정(2004). 노년기 부부의 성적 적응교육 프로그램.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2), 43-69.
  17. 박공주․김양희․박정윤(2004). 농촌노인의 생활영역별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5(4), 17-32.
  18. 박상철(2009). 한국형 노후생활설계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보건복지부 보고서.
  19. 박성희(2006). 노년기부부의 관계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에 참가한 노년기부부의 학습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노인복지연구, 31, 161-179.
  20. 박지은(2009). 죽음준비교육이 노인의 죽음에 대한 정서, 인지, 행동에 미치는 효과. 사회복지실천, 8, 79-109.
  21. 서순림․김미란․김종여(2004). 노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적응 효과. 노인간호학회지, 6(1), 107-114.
  22. 서지원․이기영(1997). 사무직 기혼여성의 출산후 취업지속 결정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5(2), 99-110.
  23. 서혜경(1992). 죽음을 준비하는 건강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제언. 한국노년학연구, 1, 11-17.
  24. 서혜석(2005).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손자녀 양육 조부모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0(3), 61-81.
  25. 서홍란․김양호(2010). 조손가족 조부모를 위한 강점기반 집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노인복지연구, 47, 161-186.
  26. 손영주․최은영․송영아(2009).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노인보건교육프로그램의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39(2), 207-216.
  27. 손주영(2006). 노인재무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1), 141-157.
  28. 송미순․구미옥․류세앙․김명숙(2002). 자가간호 교육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거주 당뇨노인의 자기효능, 자가간호 및 당조절에 미치는 효과. 노인간호학회지, 4(1), 27-37.
  29. 신경림․김정선․신수진(2004). 안전사고 예방프로그램이 저소득 여성노인의 안전사고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예방행위에 미치는 효과. 한국노년학, 24(4), 53-67.
  30. 신복기․성향숙․김수영(2006). 성공적 노화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노인복지연구, 34, 313-336.
  31. 신은미․강현주․김경원(2004). 노인용 심혈관계 질환 관리 영양교육 자료 및 프로그램 개발.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396-397.
  32. 심창교(2009). 노년기 부부성숙 프로그램 개발: 개입연구 방법의 적용.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3. 안정숙(2005). 신문활용교육((NIE)을 적용한 노인교육프로그 램의 개발 및 효과 분석. 신라대학교 가족상담센터(편). 행복가족 레시피(257-305). 서울:창지사.
  34. 어성연․신상옥(1996). 노인의 가정생활교육에 대한 학습요구도 분석과 교육프로그램 개발- 가정학관련 사회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대한가정학회지, 34(1), 93-105.
  35. 오숙희․선정주(2009). 알코올 교육 프로그램이 음주문제를 가진 노인의 음주관련 지시과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3(1), 17- 26.
  36. 오진탁․김춘길(2009). 죽음준비교육이 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 한국노년학, 29(1), 51-69.
  37. 유민지(2000). 노년기 가족관계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에 관한 연구. 신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유민지․이기숙(2002). 노년기 가족관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한국노년학, 21(3), 91-109.
  39. 윤현숙․이희윤․박은수․윤지영․권종희․박금화․남 륜․강성보(2010). 노인학대 예방 및 대처 교육프로그램 효과. 한국지역사회복지학, 34, 231-258.
  40. 이가옥․이미진․이지영(2006). 노인 휴대전화 교육프로그램 만족도 평가. 한국노년학, 26(4), 53-73.
  41. 이가옥․이현송(2004). 노년기 자아통합 집단프로그램 개발: "나의 살아온 이야기". 한국노년학, 24(1), 37-52.
  42. 이선미(2003). 노년기 부부관계 향상을 위한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한국노년학, 23(1), 93-112.
  43. 이순희(2001). 노인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한국노년학, 21(2), 85-98.
  44. 이윤정(2010). 노인소비자를 위한 소비생활교육프로그램.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4), 265-273.
  45. 이이정(2006). 노인학습자를 위한 죽음준비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 Andragogy Today: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9(1), 33-65.
  46. 이종호․이용인․김동건․조민행(2005). 능동적 노화대처 전략을 위한 여가교육 프로그램 모형 구축.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4, 479-491.
  47. 이화정․정은숙(2010). 향기요법 교육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심박동수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용학회지, 16(2), 348-355.
  48. 임경숙․민영희․이태영(1997). 보건소 노인 영양 개선 사업의 효과 평가: 영양 상담 및 영양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분석. 대한영양사회학술지, 3(2), 197-210.
  49. 임찬란․이기숙(2006). 노인대상 죽음교육프로그램.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1(2), 123-150.
  50. 전길양․송현애․고선주․김일명(2000). 노년기 준비교육프로그램. 한국노년학, 20(1), 69-91.
  51. 전미영(2003). 통합적 건강관리 프로그램이 노인의 건강증진에 미치는 효과. 한국노년학, 23(3), 1-13.
  52. 전영숙(2008). 노인여가교육프로그램이 여가태도와 여가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임상사회사업연구, 5(1), 137-150.
  53. 전영숙․양희택(2009). 노인부부의 공통 여가인식 제고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연구. 노인복지연구, 43, 287-303.
  54. 정미경(2005). 조모 교육프로그램 참여경험이 조모이 역할인식에 미치는 효과. 한국노년학, 25(3), 155-175.
  55. 정미자․박봉정․박근욱(2009). 현대 노인교육 실천방법론. 도서출판 나누리.
  56. 정여주(2005). 노인 미술치료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노년학, 25(1), 73-86.
  57. 정영미(2009). 중년층을 위한 웹기반 노년기 준비프로그램의 학습효과. 한국노년학, 29(3), 1025-1042.
  58. 정은숙․이난희(2009). 향기요법 교육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스트레스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인체예술학회지, 10(2), 33-43.
  59. 조희선․성혜영(2002). 노인교육프로그램의 현황과 과제. 성균 관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생활과학, 5, 245-254.
  60.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2009). 노년기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
  61. 최보아․지영숙(2004). 은퇴자의 생활설계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6), 47-61.
  62. 최윤정․김 찬․박유신(2007). 영양교육프로그램이 서울지역 노인의 체력, 영양상태,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지, 40(3), 270-280.
  63. 통계청. 2010 인구주택총조사. www.nso.go.kr.
  64. 한정란(1998). 고령화사회에 대비한 퇴직 준비 교육. 연세교육연구, 11(1), 263-285.
  65. 한정란(2008a). 한국노년학 30년을 통해 본 노년교육 관련 연구. 한국노년학, 28(4), 831-846.
  66. 한정란(2008b). 노인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 노년교육의 관점. 한국교육인류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18.
  67. 허정무(1998). 퇴직자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탐색을 통한 퇴직준비교육프로그램 모델 개발. 한국노년학, 18(3), 1-18.
  68. 현은민(2005). 노인 죽음 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0(2), 31-56.
  69. 홍숙자․이영은(2008a). 치료레크레이션을 활용한 노인자아 통합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7(4), 623-630.
  70. 홍숙자․이영은(2008b). 미술치료를 활용한 노인 자아존중감 증진 교육프로그램 효과 연구-생애회고기법을 중심으로-. 미술치료연구, 15(3), 627-6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