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rovement of Regulations for Effective UAV operation in Disaster Detection

효율적인 재해탐지용 UAV 운용을 위한 현행 규정 개선방안

  • 김종배 (충남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 김민규 (충남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 윤희천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Received : 2011.09.25
  • Accepted : 2011.10.08
  • Published : 2011.10.31

Abstract

Recently, large scale of the damage from the natural disasters are occurring frequently such as Japanese and New Zealand's earthquake. Collecting information quickly and accurately from damaged area is important for effective react in emergency situations. UAV is effective method to collect information because it can fly low attitude and spend small operational costs/time. In this study, collecting data about the UAV regulations are analyzed for effective UAV operation in disaster detection. And Improvement of Regulations were proposed about Problem of UAV Operation. Regulation of UAV for disaster detecting is not exist. But It's possible to classify into Ultra Light Plane. So addition of some clauses like definition, scope and air-borne equipment for UAV will be needed. Also, it is difficult to manage effectively because of process about flight permission, therefore it is need to enact exceptional regulations to solve this problem. More analytical research based on applications of UAV operation for disaster detection will be present improvement of disaster detection and damage investigation.

최근 일본, 뉴질랜드의 대지진과 같은 대규모 자연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그 피해규모 역시 방대하다. 자연재해로 인한 긴급 상황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재해지역의 정보를 신속 정확하게 취득하는 것이 중요하다. UAV는 낮은 고도에서 비행할 수 있고, 적은 운용비용으로 재해지역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재해탐지용 UAV운용 관련 규정에 대한 조사 및 분석을 수행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재해탐지용UAV는 항공법 상 명확한 규정이 수립되어 있지 않지만 초경량비행장치로 분류할 수 있으므로 초경량비행장치에 재해탐지용UAV의 정의, 범위, 탑재장비 등의 항목이 추가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비행허가절차로 인해 효율적인 운용이 어려운 실정이며,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한 예외 규정의 제정이 필요하다. 향후, UAV를 적용한 실제 재해탐지 사례를 바탕으로 현행 규정에 대한 분석적인 연구가 병행된다면 실시간 재해탐지 및 피해조사를 위한 체계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교통안전공단 (2010), 무인비행장치 운용기준 개발 연구.
  2. 교통안전공단 (2010), 항공기 안정성 인증기술표준 개발연구용역.
  3. 김민규, 정갑용, 김종배, 윤희천 (2010), 풍수해 모니터링을 위한 UAV 적용성 분석,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 28권, 제 6호, pp. 655-662.
  4. 김성삼, 심재현, 손홍규, 유환희 (2006), 저고도 UAV를 이용한 자연재해 모니터링,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추계학술회의 논문집,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pp. 221-226.
  5. 장호식 (2010), 무인 헬리콥터 사진촬영시스템을 이용한도로 절개지 붕괴사면 3차원 입체 지형 추출,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 28권, 제 5호, pp. 485-491.
  6. 최경아, 이지훈, 이임평 (2011), 저고도 무인 항공기 기반의 근접 실시간 공중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한국공간정보학회지, 한국공간정보학회, 제 19권, 제 4호, pp. 21-31.
  7. Sukhee O., 유환희 (2009), UAV를 이용한 재해모니터링 비즈니스모델 사례 연구,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pp. 320-321.
  8. 항공법.항공법 시행령.항공법 시행규칙.
  9. Office of the Secretary of Defense (2007), Unmanned Systems Roadmap 2007-2032, Department of Defense in U.S.A..
  10. Directorate of Airspace Policy (2010), Unmanned Aircraft System Operations in UK Airspace - Guidance, Civil Aviation Authority.
  11. http://caa.co.uk
  12. http://www.casa.gov.au/
  13. http://ko.wikipedia.org/wiki/

Cited by

  1. 효율적인 자연재해 피해조사를 위한 실시간 공중자료획득시스템의 활용성 평가 vol.30, pp.4, 2011, https://doi.org/10.7848/ksgpc.2012.30.4.369
  2. UAV와 객체기반 영상분석 기법을 활용한 토지피복 분류 -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일원을 대상으로 - vol.20, pp.1, 2011, https://doi.org/10.11108/kagis.2017.20.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