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Business Model with Open Market System for Invigorating e-Learning

이러닝 활성화를 위한 개방형 포털 시스템을 사용한 이러닝 비즈니스 모델

  • 이상엽 (삼육대학교 경영정보학과) ;
  • 박성원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 Received : 2010.12.06
  • Accepted : 2011.01.17
  • Published : 2011.01.28

Abstract

Despite steady economic growth of e-learning industry, manpower is lacking in e-learning industry.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new e-learning business model including open market portal system to solve this problem. The existing e-learning business models required complicated procedure for creating contents. Therefore it took long time and great expense. But in this study we developed the business model with open market portal system, it can support to make easily for e-learning contents. We analysed usefulness our program and other popular programs with thirty lecturers. As a result of survey, usefulness of our system is presented. The study suggests differently the student-centered business model and the lecturer-centered business model than existing e-learning business model had the manufacturing company-centered business model and the services-centered business model. We anticipate the new business model invigorate the e-learning industry.

이러닝 인력이 부족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러닝을 위한 강사와 학습자가 쉽고 편하게 강의 콘텐츠를 거래할 수 있는 오픈마켓 형태의 개방형 교육 포털 시스템을 구현하여, 새로운 이러닝 비즈니스 모델을 제안한다. 그리고 기존의 이러닝 콘텐츠의 제작 과정은 매우 복잡하고 전문적인 기술을 필요로 함으로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강사 스스로 이러닝 강의 콘텐츠를 쉽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이러닝 콘텐츠 제작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시스템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이러닝 콘텐츠를 제작해본 경험이 있는 강사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시스템과 인기 있는 기존의 시스템들의 유용성에 대한 설문분석을 실시하였는데, 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군고구마 시스템이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에 콘텐츠 제작 및 서비스 업체 중심의 이러닝 비즈니스 모델이 아닌 강사와 학생 중심의 이러닝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해 줌으로써 이러닝 콘텐츠의 다양성 확보 그리고 이러닝 산업의 활성화에 기여를 할 것으로 예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민석, 박인우, 이성웅, “사이버대학 이러닝 콘텐츠 수정, 재사용 및 상호작용매체 활용에 따른 교육 효과 비교”,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5, No.1, pp.1-22, 2009.
  2. 구교정, 김영화, “교원 정보화 원격 교육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교육, 32권, 3호, pp.331-254, 2005.
  3. 권성연, “성공적인 e-learning 실현을 위한 학습자의 자기조절 학습능력”, 직업과 인력개발, 제6권, 제2호, 2004.
  4. 김도관, “전자상거래 오픈 마켓 판매자들을 위한 BSC 관점의 단계적 접근전략”, 산업경제연구, Vol.23, No.5, 2010.
  5. 김보미, 이상엽, "오픈형 e-러닝 시스템 구축 방법론 개발“, 2010년 한국콘텐츠 학회 춘계 종합 학술대회 논문집, pp.459-462, 2010.
  6. 김정랑, 백윤철, 이광진, 김혜영, 한상범, 황준성, “원격대학 제도 개선에 따른 설립 및 전환 심사 기준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 CR, 2008-6, 2008.
  7. 남정현, 이러닝 학습자료 제시유형이 학습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 대학교 정보과학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
  8. 박혜정, 최명숙, “우리나라 교육에서 e-러닝의 학습효과와 관련된 변인들의 관계 분석”, 교육공학연구, 24권, 1호, pp.27-53, 2008.
  9. 송상호, 김세리, 홍영일, “원격대학 평가 지표 개발 연구”, 교육공학연구, 23권, 4호, pp.79-111, 2007.
  10. 이상엽, 오덕신, “다양한 객체가 결함되는 실시간 동영상 강의 콘텐츠 제작기 구현 방법”, 한국컴퓨터정보학회 동계 학술대회 논문집, 18권, 1호, pp.363-366, 2010.
  11. 이종연, “대학 이러닝 강좌의 학습 만족도 및 성취도 증진을 위한 컨텐츠 전달 전략의 선택 방안-학습자의 사전지식과 자기주도성을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20권, 4호, pp.185-214, 2004.
  12. 임정훈, 이향년, “웹기반 교육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요인 탐색”, 원격교육연구, 3권, 1호, pp.179-207, 2003.
  13. 정미경, 김경현, “사이버 학습체제에서의 자기조절 학습 모형 개발”, 영재와 영재교육, Vol.4, No.1, 2005.
  14. 지식경제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09년 이러닝 산업실태조사, 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10.
  15. 최 성, “해외 e-Learning 비즈니스 동향과 e-learning 향후 전망(미국을 중심으로)”, 한국이러닝산업협회 - 이러닝 컬럼, No.5624, 2006.
  16. 최혜길, “SCORM 기반의 온라인 교육 IT 표준 콘텐츠 개발 및 운영에 관한 연구”, 전자공학회지, 제45권, 제3호, pp.7-14, 2008.
  17. W. Horton and K. Horton, E-learning Tools and Technologies : A consumer's guide for trainers, teachers, educators, and instructional designers, John Wiley & Sons; 1st edition, 2003
  18.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0030311004628743
  19. http://www.gggma.com/
  20. http://www.olccenter.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