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rrelations between Old People's Watching of Television Programs and Practice of Health Behaviors

노인의 TV 건강프로그램 시청과 건강행위 실천과의 관련성

  • Received : 2010.12.06
  • Accepted : 2011.01.20
  • Published : 2011.01.28

Abstract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current TV health programs on old people's practice of health behaviors through analyzing their recognition, watching behaviors and satisfaction. The study conducted 293 old people living in Pohang City, North Gyeongsang Province from March 17, 2008 to March 28, 2008.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86.3% of the respondents has watching experience of TV health programs in a month while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frequency of watching by education, obesity and a clinical history. The degree of health behavior practice, 62.1% answered high while 17.7% said low. Factors that influence the degree of health behavior practice were sex, interest in health and experience of watching. In addition, men practiced 1.78 times more than women, those with more interest in health practiced 3.3 times of those with no interest, and those with watching experience presented 6.1 times higher practice degree than those with no experience. It was found that old people's recognition for TV health programs was positive, and the more frequently they watch the programs, the higher their practice of health behaviors was. In addition, old people's popularity rate of TV health programs means that they have a lot of opportunities to be exposed to information provided in health programs. Accordingly, it is thought that TV health programs should try to provide correct health information that can meet old people's needs.

본 연구는 현재 방송되고 있는 TV 건강프로그램에 대한 노인들의 인식, 시청행태 및 만족도를 파악하여 건강행위 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2008년 3월 17일부터 3월 28일까지 경상북도 포항시에 거주하는 노인 29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으며,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TV 건강프로그램에 대한 최근 1개월간의 시청경험은 86.3%이었고, 학력, 비만도, 병력이 시청빈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의 건강행위 실천도는 62.1%가 높다고 하였고, 17.7%가 낮다고 하였다. 건강행위 실천확률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건강관심도, 시청경험이었으며, 남자가 여자보다 1.78배, 건강관심도가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3.3배, 시청경험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6.1배 건강행위 실천도가 높았다. 노인들의 TV 건강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이었으며, 시청빈도가 높을수록 건강행위 실천이 높았다. 또한 노인들의 건강프로그램에 대한 높은 시청률은 건강프로그램 내의 정보에 노출될 기회가 많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TV 건강프로그램은 노인들의 요구에 충족할 수 있는 올바른 건강정보를 제공하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보건복지부, 고령친화산업 중장기 실행전략 연구, 2005.
  2. 문상식, 남정자,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의 건강수준”, 한국노년학회지, 제21권, 제1호, pp.15-29, 2001.
  3. 윤영림, “TV 건강프로그램이 건강행태에 미치는 요인분석”,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행정대학원, 2004.
  4. 최윤희, “매스 미디어를 이용한 보건교육 전략”, 한국보건교육학회지, 제7권, 제2호, pp.15-19, 1990.
  5. 김선자, “일부 성인의 TV건강정보프로그램에 대한 시청행태 및 요구도 분석”,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6. 유혜선, “건강방송프로그램 시청취 정도에 따른 건강행태와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1.
  7. 김미혜, 유경, “노인대상 텔레비전 프로그램 분석”, 한국노년학회지, 제16권, 제1호, pp.1-17, 1996.
  8. 정현일, “노인의 TV시청 실태와 삶의 질과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1998.
  9. 박선희, 장혜정, 권영대, “TV 오락 프로그램의 건강정보 실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20권, 제1호, pp.187-202, 2003.
  10.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건강면접조사 및 보건의식행태조사 진행보고서, 2005.
  11. 한국방송공사, 보건복지부, 방송매체의 건강생활실천에 미치는 영향분석 및 건강프로그램의 효과성 제고방안 연구, 2001.
  12. 김영숙, “노인의 건강관심도 및 건강태도와 주관적인 건강상태 및 건강실천 행위와의 관련성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Cited by

  1. Analysis of broadcasting review trends after enacting the Guidelines on promotional mass media appearances by physicians vol.59, pp.10, 2016, https://doi.org/10.5124/jkma.2016.59.10.763
  2. A Study on Adult Women's Cosmetic Tattoo Experiences and Comparison of Health Concern and Health Practice between the Cosmetic Tattooed and Non-cosmetic Tattooed Groups vol.28, pp.1, 2017, https://doi.org/10.12799/jkachn.2017.28.1.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