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New Interpretation and their Relations on Form, Function and Style

형태, 기능, 양식에 관한 새로운 해석과 그 관계

  • 이재국 (청주대학교 예술대학 디자인학부 산업디자인) ;
  • 김동하 (청주대학교 예술대학 디자인학부 산업디자인)
  • Received : 2010.11.18
  • Accepted : 2010.12.21
  • Published : 2011.01.28

Abstract

The wide range of understanding on form, function and style are very important in design practice. Because any design can't be existed without form and function and, also, every design can be embodied by the style. From this point of view, the new interpretation and their relations on form, function and style are studied in this paper. First of all, 1-In Introduction, a few issues are suggested to the purpose and requirement with explaining the background of the paper. 2-Design Form; original form, hand-made form, standard form and expressive form are researched. 3-Design Function; original function. traditional function, absolute function and relative function are studied. 4-Design Style; survival style, folk style, simple style and fusion style are searched. Finally, 5-In Conclusion, the approach method is expressed on form, function and style, and their relations are discussed.

디자인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디자인의 형태, 기능, 양식에 관한 폭 넓은 이해는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형태와 기능을 배제한 디자인은 존재할 수 없고 또한 모든 디자인은 서로 다른 양식에 의해 구체화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은 디자인의 형태, 기능, 양식과 그 관계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우선 1-서론에서는 연구논제의 배경을 설명하고 목적과 필요성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였다. 이를 토대로 2-디자인 형태에서는 원초적 형태, 가공적 형태, 규범적 형태, 표현적 형태에 대하여 살펴보았고, 3-디자인 기능에서는 본래적 기능, 전승적 기능, 절대적 기능, 상대적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4-디자인 양식에서는 생존 양식, 민속양식, 단순양식, 복합양식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끝으로 5-결론에서는 형태, 기능, 양식에 대한 접근방법을 피력하고 그 관계를 정립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광명, 예술과 인간가치, 이론과 실천. 1987.
  2. 김낙중, 사회과학원론 - 인간 공동체의 소망스러운 실현을 위하여, 학문사, 1986.
  3. 김능현, 포스트모던 건축의 영역논쟁, 문예출판사, 1991.
  4. 김문호, 의자, 지호, 1999.
  5. 김원역, 건축예찬, 박영사, 1986.
  6. 김장호, “자연의 조형적 실체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 연구 Vol.8, No.1, 한국디자인학회, 1994.
  7. 민병산, 공예문화, 신구문화사, 1994.
  8. 박경수, 인간공학, 명지문화사, 1992.
  9. 박정아, “유니버셜 디자인 환경및 제품의 특성 분석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0.
  10. 박대순, 현대디자인 이론의 사상가들, 미진사, 1983.
  11. 백기수, 미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7.
  12. 오병남, 미학과 비평철학, 이론과 실천, 1991.
  13. 유근준, 디자인의 역사, 도서 출판 청우, 1983.
  14. 이순혁, 20세기의 디자인과 문화, 도서출판 까치, 1995.
  15. 이재국, 디자인미학, 청주대학교 출판부, 2000.
  16. 이재국, “바이오 디자인에 관한 고찰”, 디자인학연구, No.16, 한국디자인학회, 1996.
  17. 이재국, “산업사회 이전의 디자인 문화에 관한 연구”, 청대학술논집 제6집, 청주대학교 학술연구소, 2005.
  18. 정시화, 현대 디자인 연구, 미진사, 1981.
  19. 정시화, 산업디자인 150년 - 디자인사의 주제, 미진사, 1991.
  20. 전원배, 미학, 을유문화사, 1989.
  21. 진중권, 미학강의I, 벼리, 1983.
  22. 편집부, 현대 디자인의 전개, 미진사, 1990.
  23. G. Naylor, The Arts and Crafts Movement, Fletcher & Son Ltd, 1980.
  24. H. Greenough, Form and Function, Univ. of Calif. Press, 1947.
  25. H. M. Evans, Man the Designer, Macmillian Publishing Co.,Inc., 1973.
  26. J. F. Pile, Design-pupose, form & meaning, The Univ. of Mass. Press, 1970.
  27. J. R. Lindbeck, Designing-Today's Manufactured Products, Mcknight & Mcknight Publishing Co., 1972.
  28. L. Mumford, Technics and Civilization, Harcourt Brace branovich.. Inc., 1934.
  29. Le Corbusier, L'art Decoratif d'aujourd'hui, 1925.
  30. M. Ghyka, The Geometry of Art and Life, Dover Publications Inc., 1977.
  31. N. Pevsner, Pioneers of Modern Design, Penguin Books, 1975.
  32. P. J. Grill, Form, Function & Design, Dover Publications Inc., 1960.
  33. R. Lynes, The Tastemakers: The Shaping of America Popular Taste, Dover Publications Inc, 1980.
  34. S. Jervis, Dictionary of Design and Designers, Penguin Books. 19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