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rtificial Life Art : Research on Artificial Life Artworks of VIDA

인공생명 예술의 특성 : VIDA의 작품 분석을 중심으로

  • 임경호 (숭실대학교 대학원 미디어학과) ;
  • 윤준성 (숭실대학교 IT대학 글로벌 미디어학부)
  • Received : 2010.09.02
  • Accepted : 2011.01.18
  • Published : 2011.01.28

Abstract

In this study, we consider the evolved interactivity at the Artificial Life Art beyond 'open interactivity' as 'closed relationship' between viewer/participant and artwork by immersive and interactive features of digital media art. In order to consider this evolved interactivity, we survey the theory of artificial life of which result of many studies like biology and computational science. And then we analysed characteristics related artistic context of artificial life at the autonomy and emergent behavior of artificial life. Especially, we research the artworks of interaction with ecologies and of living in outside(not in- silico) among the artworks of officially adopting an artificial life arts in 'VIDA : Art and Artificial Life International Awards'. And we are going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of emotional subjects between viewer/participant and artwork, and a step further to understand the diverse relationship of symbiosis and co-evolution of the technology and human.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미디어아트의 몰입과 상호작용적 특성에 따른 관객과 작품 사이의 '닫힌 관계'로써의 '열린 상호작용성'을 넘어, 인공생명(Artificial Life) 예술에 이르러 더욱 진화된 상호작용성에 관해 고찰한다. 이를 위해 생물학 및 계산과학을 비롯한 다양한 학문의 성과에 따른 인공생명 이론을 살펴보고, 인공생명의 자율성과 창발적 행동을 인공생명 예술적 맥락과 연결되는 특성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인공생명 예술을 공인하는 역할을 하고 있는 'VIDA : Art and Artificial Life International Awards'에서 선정된 예술 작품들 중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인공생명 예술 작품과 외부 세계에서 개체로 살아 움직이는 인공생명 예술 작품들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관객과 작품 간의 감성적 주체로써의 관계와 나아가 기술과 인간이 맺는 공생과 공진화의 다양한 층위의 관계성에 대해 이해하고자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영욱, “디지털 예술에서 몰입의 의미”, 인문콘텐츠 제11호, 인문콘텐츠학회, pp.51-69, 2008.
  2. 마이클 러쉬, 심철웅 역, 뉴미디어아트, 시공사, p.112, 2003.
  3. 백영주, “프로세스 아트의 조형 전략과 방법론적 특성”, 기초조형학 연구, Vol.11 No.3, 기초조형학회, p.198, 2010
  4. A. Broeckmann, "Image, Process, Performance, Machine: Aspects of an Aesthetics of the Machinic" in O. Graw(ed.), MediaArtHistories, MIT Press, p.201, 2007.
  5. 조현경, 윤준성,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적 예술에서 인간과 컴퓨터가 함께하는 행위에 관한 고찰”, 기초조형학연구, Vol.9 No.6, 기초조형학회, p.495, 2008.
  6. C. Langton, “Artificial LIfe” in M. Boden (ed.), The Philosophy of Artificial Life, Oxford University Press, p.53, 1996.
  7. 클라우스 에메케, 오은아 역, 기계 속의 생명, 이제이북스, pp.32-34, 2004.
  8. 김재영, “몸과 기계의 경계: 사이버네틱스, 인공생명, 온생명”, 탈경계인문학 제2권, 제2호, 이화여대 이화인문과학원, p.155, 2009.
  9. 스티븐 레비, 김동광 역, 인공생명, 사민서각, pp.22-24, 1995.
  10. 움베르토 마투라나, 프란시스코 바렐라, 최호영 역, 앎의 나무, 갈무리, p.59, 2007
  11. C. Langton, "Artificial Life", Artificial Life, ed. Christopher Langton, Santa Fe Institute Studies in the Studies of Complexity, Vol.6, pp.2-3, 1989.
  12. S. Wilson, Information Arts: Inter- sections of Art, Science, and Technology, MIT Press, pp.307-308, 2002.
  13. 김진엽, 이재준, “인공생명과 예술”, 인문논총 제 58집, 서울대 인문과학연구원, p.124, 2007.
  14. http://fundacion.telefonica.com/arteytecnologia/certamen_vida/en/index.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