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다양한 시각자극에 따른 생체신호 모니터링 시뮬레이션 시스템

Vital Signal Monitoring Simulation System by Various Visual Stimulus

  • 정경용 (상지대학교 컴퓨터정보공학부)
  • 투고 : 2010.05.31
  • 심사 : 2010.06.10
  • 발행 : 2011.01.28

초록

차세대 IT융합 기술의 발전에 따라 개인화 서비스를 위한 인프라스트럭처가 구축되면서, 사용자의 감성 상태와 생체신호 기반 서비스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또한 감성에 따른 학생의 생체신호를 파악하는 것은 감성공학 전략의 중요한 성공요소가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시각자극에 따른 생체신호 모니터링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다양한 시각자극에 의한 학생의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수집한다. 고속 퓨리에 변환을 이용한 파워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활성 정도를 파악한다. 분석된 결과를 건강신호등에 표시하여 감성을 모니터링 한다. 고등학생과 대학생간의 감성의 평가를 하기 위해 SD 프로필과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평가결과, 긍정과 부정 자극에 대한 감성 활성화에 대한 차이가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음을 증명하였다. 이를 체험형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논리적 타당성과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험적인 적용을 시도하고자 한다.

With the development of next IT convergence technology and the construction of infrastructure for personalized services, the importance of services based on user's sensibility status and vital signal is being spotlighted. It is the most crucial factor for the strategy of sensibility engineering to investigate student's vital signal according to the sensibility. In this paper, we proposed the vital signal monitoring simulation system by the various visual stimulus. The proposed method obtained the student's vital signal by the various visual stimulus. And the power spectrum analysis using the fast fourier transform is evaluated the activity level between the sympathetic and the parasympathetic. The analyzed result is monitoring the sensibility by displaying the heath signal light. To evaluate the sensibility between the high school's students and the university's students, we conducted SD profile and paired T-tests so as to verify usefulness. This evaluation found that the difference of sensibility activity by positive and negative stimulus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Ultimately, this paper suggests empirical application to verify the adequacy and the validity.

키워드

참고문헌

  1. 오성진, 이연재, 장윤미, 전진영, 차민경, 강현우, 윤세용, 정경용, "고등학생의 생체신호를 이용한 시각감성 모니터링", 한국정보과학회 강원지부/한국정보처리학회 강원지회 제4회 학술대회, 강릉원주대학교, 2010.
  2. 정경용, "웨어러블 기반의 심전도 측정 의복을 이용한 시각감성과 생체신호간의 상관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12호, pp.496-503,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12.496
  3. 조하경, 이주현, "사용성 평가에 기반한 센서 기반 헬스 케어 스마트 의류의 모형 개발", 한국감성과학회, 제11권, 제1호, pp.81-90, 2008.
  4. Textronics Inc., http://textronics.com/.
  5. Zephyr, http://www.zephyr-technology.com/.
  6. 구수민, “생체신호 센싱 스마트 의류의 재모듈화형 디자인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7. Smartlife Technology, http://smartlifetech.com/.
  8. K. Hevner, "Experimental Studies of the elements of Expression in Music," American Journal of Psychology, Vol.48, pp.246-268, 1936. https://doi.org/10.2307/1415746
  9. (주)한백전자, http://www.hanback.co.kr/.
  10. G. B. Moody, "ECG-based Indices of Physical Activity", Computers in Cardiology, Vol.19, pp.403-406, 1992.
  11. 박혜준, 신승철, 손부현, 홍경희, “3D 패턴을 이용한 노인용 u-헬스케어 의복의 심전도 측정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제10권, 제5호, pp.676-688, 2008.

피인용 문헌

  1. Heart rate variability based stress index service model using bio-sensor pp.1573-7543, 2017, https://doi.org/10.1007/s10586-017-0879-3
  2. Mining-based lifecare recommendation using peer-to-peer dataset and adaptive decision feedback pp.1936-6450, 2018, https://doi.org/10.1007/s12083-017-0620-2
  3. Mining health-risk factors using PHR similarity in a hybrid P2P network vol.11, pp.6, 2018, https://doi.org/10.1007/s12083-018-06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