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Dietary Green Tea Probiotics, Alisma canaliculatum (Alismatis rhizoma) Probiotics and Fermented Kelp Meal as Feed Additives on Growth Performance and Immunity in Pregnant Sows

사료내 녹차 생균제, 택사 생균제 및 해조류 발효물의 첨가가 모돈의 생산성 및 면역성에 미치는 영향

  • Kim, Ki-Soo (Department of Animal Resource & Science, Sunchon National University) ;
  • Kim, Gwi-Man (Department of Animal Resource & Science, Sunchon National University) ;
  • Ji, Hoon (Department of Animal Resource & Science, Sunchon National University) ;
  • Park, Sung-Wook (Department of Animal Resource & Science, Sunchon National University) ;
  • Yang, Chul-Ju (Department of Animal Resource & Science, Sunchon National University)
  • 김기수 (순천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
  • 김귀만 (순천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
  • 지훈 (순천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
  • 박성욱 (순천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
  • 양철주 (순천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 Received : 2010.06.17
  • Accepted : 2010.11.07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An investigation was done to evaluate the effects of adding green tea probiotics, Alisma canaliculatum probiotics and fermented Kelp meal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immune response in sows and piglets. A total of 32 pregnant sows were assigned to 4 treatments in 8 replications with 1 sow as a replicate in this experiment from 2 months before parturition to 28 days after parturition. Three hundred nineteen (319) piglets were produced from experimental sows after parturition. The dietary treatments were CON group (without antibiotics), GTP (basal+green tea probiotics, 0.5% of the diet), ACP group (basal + Alisma canaliculatum probiotics, 0.5% of the diet) and FKM group (basal+fermented Kelp meal, 0.5% of the diet). Litter size and body weight at birth and weaning size and body weight at weanling in piglets were greater in additives group compared to CON group but no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found (P>0.05). Diarrhea score showed a decreasing tendency with three additives groups compared to CON group. The lymphocytes in blood of sows fed ACP and FKM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CON group (P<0.05), and the MID of GTP and FKM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to CON group (P<0.05). The serum IgG concentration in sows tended to increase with additives groups compared to CON group and the serum IgA and IgM concentration in GTP and FKM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ACP group (P<0.05). The cortisol levels showed a decreasing tendency in additives groups without statistical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P>0.05). Based on these observations, it can be inferred that the GTP and FKM may have such efficacy as antibiotics in growing pigs.

녹차생균제, 택사생균제 및 해조류발효물이 모돈과 자돈의 생산성 및 면역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공시동물은 임신 모돈 32두와 공시모돈에서 생산된 자돈 319두를 공시하였으며, 시험설계는 모돈 기준으로 4처리구 8반복 반복당 1두씩 임의로 배치하였으며, 시험사료를 분만전 2개월부터 분만후 28일(이유시)까지 급여하여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처리구는 대조구(무항생제 기초사료), 녹차 생균제 처리구(기초사료+녹차 생균제 0.05% 첨가), 택사 생균제 처리구(기초사료+택사 생균제 0.5% 첨가) 및 해조류 발효물 처리구(기초사료+해조류 발효물 0.5% 첨가)로 하였다. 자돈의 산자수, 생시체중, 이유두수 및 이유체중은 대조구에 비하여 첨가제 급여구가 증가를 나타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설사지수는 첨가제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혈중 lymphocytes는 택사 생균제 및 해조류 발효물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았으며, MID는 해조류 발효물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혈청 IgG의 농도는 대조구에 비하여 첨가제 처리구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IgA 및 IgM의 농도는 녹차 생균제 처리구와 해조류 발효물 처리구가 택사 생균제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Cortisol의 수준은 첨가제 처리구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결론적으로 모돈 사료에 생균제와 발효물의 첨가 급여는 자돈의 생산성 개선효과가 있고 모돈의 면역성 향상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Callewaert, D. M., Moudgil, V. K., Radcliff, G. and Waite, R. 1991. Hormone specific regulation of natural killer cells by cortisol. Direct inactivation of the cytotoxic function of cloned human NK cells without an effect on cellular proliferation. 108-285.
  2. Indu, P. K., Kanwaljit, C. and Amarpreet, S. 2002. Probiotics: potential pharmaceutical applications. European J. of Pharm. Sci. 15:1-9. https://doi.org/10.1016/S0928-0987(01)00209-3
  3. Levy, S. B. 2002. The 2000 Garrod lecture. Factors impacting on the problems of antibiotic resistance. J. Antimicrob. Chemother, 49: 25-30.
  4. Nair, M. P. N. and Schwartz, S. A. 1988. Immunoregulation of human natural killer cells (NK) by corticosteroids: inhibitory effect of culture supernatants. J. Allergy Clin. Immunol. X2: 1089-1097.
  5. NRC. 1998. Nutrient Requirements of Poultry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 C.
  6. SAS. 1995. SAS User’s Guide Statistics. Statistical Analysis System.
  7. Underdahl, N. R. A., Torres, Median. and Doster, A. R. 1982. Effect of Streptococcus faecium C-68 in the control of Escherichia coli induced diarrhea in gnotobiotic pigs. J. Vet. Res. 43:2227-22232.
  8. 권오석, 홍종욱, 이상환, 김인호. 2004. 포유돈 사료에 Malty Culture의 첨가가 모돈 및 자돈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5(3):254-259.
  9. 김성희, 이창희, 박최규. 2009. 돼지 생식기호흡기바이러스의 농장단위 방 역대책 수립을 위한 혈청학적 및 바이러스학적 감염유형 분석법 적용 및 비교. J. of Life Sci. 19(8):1170-1176. https://doi.org/10.5352/JLS.2009.19.8.1170
  10. 김재황, 안경호, 고영두. 2006. 생리활성 물질(쑥, 두충 및 어성초)의 첨가가 이유자돈의 성장, 영양소 이용율, 혈액특성, 장내 미생물 및 설사빈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48(3):383-392.
  11. 김홍태, 이우원, 정경태, 이승미, 손은정, 이강록, 김금향, 이동수, 이근우. 2007. 유통되는 쇠고기에서 분리한 대장균의 항생제 내성 조사, 연구. 한국가축위생학회지. 31(1):17-29.
  12. 민병준, 권오석, 홍종욱, 손경승, 김인호. 2005. 생약제(Miracle) 첨가가 포유모돈의 생산성, 자돈의 성장 및 혈액성상 변화에 미치는 영향. 동물자원과학회지. 47(3):371-378. https://doi.org/10.5187/JAST.2005.47.3.371
  13. 서권일, 조영숙, 박정로, 이성태, 박채규. 2000. 택사 추출물의 항균 및 항산화 효과. 생명과학회지. 10(5):524-528.
  14. 석종찬, 임희성, 백인기. 2003. 생약제제(미라클) 첨가가 이유자돈의 성장률, 영양소 소화율, 분내 미생물 균총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동물자원지. 45:767-776.
  15. 신영희, 오병태, 최성길, 허호진, 이승철, 조성환. 2009. 변패미생물에 대한 녹차 물추출물의 항균 활성 분석.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16(3): 392-399.
  16. 오창경, 오명철, 김성홍, 임상빈, 김수현. 1998. 미역과 다시마 에탄올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및 항균작용. 한수지. 31(1):90-94.
  17. 양정임, 이선민, 이길, 이환주, 김민규, 정은정, 차용준. 2008. 국내유통 축산물에서의 Staphylococcus aureus 오염도 및 항생제 감수성 조사.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7(4):528-533.
  18. 이우선, 백인기. 2007. Herb $Mix{\circledR}$ 첨가가 이유자돈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49(3):321-328. https://doi.org/10.5187/JAST.2007.49.3.321
  19. 장영달, 오희경, 박용국, 최현봉, 윤진현, 김유용. 2009. 항생제 대체제로서 생균제가 이유자돈의 성장능력 및 영양소 이용률, 설사 빈도, 면역 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51(1):25-32.
  20. 추금숙, 강미선, 조영숙, 이정원. 2008. 돼지 폐렴병변에서 PCR을 이용한 써코바이러스 2, 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감염실태 조사. 한국가축위생학회지. 31(1):7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