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Gap between Expected Job and Performed Job on Turnover Intention and Job Satisfaction in Clinical Dental Hygienists

치과위생사의 기대업무와 수행업무 격차가 이직의도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최하나 (남서울대학교 치위생학과) ;
  • 배현숙 (남서울대학교 치위생학과) ;
  • 조영식 (남서울대학교 치위생학과)
  • Received : 2011.07.10
  • Accepted : 2011.10.22
  • Published : 2011.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 of gap between expected job and performed job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in clinical dental hygienists. A total 292 hygienist in dental hospitals and dental offices in nationwide completed a questionnaire on their daily routine job and job which they expected and measured gap between expected job and performed job, such as chairside assisting, preventive care, consultation, reception. The study showed the gap on chairside assisting job among age, career and showed the gap on consultation among age, education, career and showed the gap on reception among age, career. gap on chairside assisting, salary satisfaction, personal day affected job satisfaction and gap on chairside assisting, children, salary satisfaction affected turnover intention. The study showed that salary satisfaction and gap on chairside assisting associated with turnover intention and job satisfaction. Personal day affected job satisfaction but did not affect turnover intention.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기대업무 수준과 수행업무 수준의 차이가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2,655명을 편의추출하여 우편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612명이 회신하였다. 이 가운데 이직경험이 없는 치과위생사 295명을 대상으로 최종 분석하였다. 진료보조업무, 예방업무, 상담업무, 접수업무 등 네 가지 업무영역별로 기대업무 수준과 수행업무 수준의 격차를 측정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사회인구학적 특성 및 직무관련 특성에 따른 기대업무와 수행업무 격차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 검정과 일원분산분석(ANOVA)를 수행하였다.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연령과 근무경력에 따라 진료보조업무의 기대-수행업무 격차(p<0.01)와 접수업무의 기대-수행업무 격차(p<0.05)가 나타났다. 또한 연령, 근무경력, 학력에 따라 상담업무의 기대-수행업무 격차가 나타났다(p<0.01). 예방업무의 기대-수행업무 격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2.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진료보조업무(${\beta}$=0.163, t=3.102, p=0.002), 급여만족도(${\beta}$=0.538, t=10.788, p=0.000), 월차유무(${\beta}$=0.115, t=2.244, p=0.026)로 나타났다. 모형의 결정계수($R^2$)는 0.608로써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12.162, p=0.000). 3.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녀유무(${\beta}$=-0.254, t=-2.711, p=0.007), 진료보조업무 격차(${\beta}$=-0.186, t=-3.162, p=0.002), 급여만족도(${\beta}$=-0.313, t=-5.623, p=0.000)로 나타났다. 모형의 결정계수($R^2$)는 0.466으로써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F=5.749, p=0.000). 결론적으로, 급여만족도와 진료보조업무격차가 이직의도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월차유무는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나 이직의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Keywords

References

  1.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보건의료노동자 실태조사보고서. 서울: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2010.
  2. 안용순 등: 치과의원에서 근무하는 치과위생사와 간호조무사의 업무 및 이직현황 비교분석. 대한구강보건학회지 30(3): 303-315, 2006.
  3. Wolf GA: Nursing turnover some causes and solution. Nursing Outlook 29(4): 223-236, 1981.
  4. 주온주, 김경선, 이현옥: J지역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 상관관계 분석. 치위생과학회지 7(4): 251-256, 2007.
  5. 김복규: 지방정부의 능력증대를 위한 공직관리방안. 시정연구 통권 제21호: 41-69, 2001.
  6. 서영준: 병원근무자의 직장애착에 관한 연구. 보건행정학회지 5(2): 173-201, 1995.
  7. 윤미숙, 이경희, 최미숙: 치과위생사의 이직의도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치위생과학회지 6(3): 147-152, 2006.
  8. 장서영: 서울지역 초등학교 급식종사원의 직무만족도 및 욕구 만족도 조사[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서울, 2000.
  9. 이학식, 임지훈, 구민정: 기대-불일치 패러다임에서 예상의 영향력에 관한 연구. 광고연구 (68): 139-170, 2005.
  10. 이학식, 임지훈, 백형조: 반복구매상황에서 기대-불일치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예상자신감의 조정적 역할. 소비자학연구 14(2): 85-113, 2003.
  11. Locke EA: What is job satisfaction?. Organ Behav Hum Perform 4:309-336, 1969. https://doi.org/10.1016/0030-5073(69)90013-0
  12. 최명옥, 유태용: 개인-조직,개인-직무,개인-상사 부합이 조직몰입, 직무만족,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부합들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산업 및 조직 18(1): 139-162, 2005.
  13. 장현숙, 박수경, 유선주: 치과의사 등 구강보건인력 수급 및 관리체계 개발. 서울,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3.
  14. 정세환: 새로운 구강진료분담인력 개발방안에 대한 구강의료인력의 견해조사 연구. 서울, 대한치과의사협회, 2003.
  15. 유은미, 한화진: 임상 치과위생사의 업무 및 이직요인 연구. 치위생과학회지 11(1): 41-46, 2011.
  16. 정재연: 치과위생사의 이직 및 직무활동에 관한 조사연구. 치과연구 43(2): 47-57, 1998.
  17. 문동환: 정부기관변형에 따른 전직직원과 일반직원간 직무만족도 비교 [박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대학원, 대구, 2007.
  18. 김연숙, 신민우: 치과위생사의 업무실태 및 비중에 관한 연구. 한국치위생교육학회지 8(3): 161-173, 2008.
  19. 권미영, 정미희: 치과위생사의 스트레스 정도와 적응 방법에 관한 연구. 치위생과학회지 4(3): 133-140, 2004.
  20. 정혜민: 신규 치과위생사의 직무요인과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서울, 2011.
  21. 김지희, 김혜진: 치과위생사의 이직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련성. 치위생과학회지 11(1): 47-53, 2011.
  22. 김준곤 : 주관적 만족의 측정 및 관련이론에 대한 고찰. 생활연구 4: 27-45, 19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