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강원도 남부 지역의 발달단계가 다른 소나무림 벌채지에서 16년 동안의 식생 변화를 연구하였다. 교란 후, 천이 궤적 및 환경 변화를 온도, 상대습도, 서열분석(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DCA), Multiple Responses Permutation Procedure(MRPP) 및 지표종 분석(Indicator Species Analysis, ISPAN) 등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벌채 직후, 수관열림도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세 배(1yr 68.3% 및 R1 23.0%)로 급격히 증가한 후 감소하였으나, 상대습도는 비교적 작은 변화(약 6% 감소)를 나타내었다. DCA 결과, 벌채 후 초기에는 종조성이 이질적으로 변화하였으나, 점차 벌채 이전(대조구)의 것과 유사하게 발달하였다. MRPP 결과, 각 발달 단계(1yr, 3yr, 10yr 및 16yr)의 종 조성은 대조구(R1, R3, R10 및 R16)의 것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1yr 및 3yr에서는 목본성 종이, 10yr 및 16yr에서는 초본 종들이 주요 종으로 분석되어, 교란 직후에는 목본성 종들이 활발한 재생을 나타내며, 이후 초본 식생이 발달하는 것을 보였다. 연구 대상지역의 천이는 초기 식물상 조성 모델로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Vegetation changes were studied for 16 yr in clearcut logged Pinus densiflora forests in the southern Gangwon-do province in Korea by applying chronosequence approach. Ambient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DCA), Multiple Responses Permutation Procedure (MRPP), Indicator Species Analysis (ISPAN) were used to examine successional trajectory and compositional changes. After clearcutting, canopy openness was increased abruptly at three folds (1yr 68.3% and R1 23.0%) and then decreased, but relative moisture was slightly decreased (6%) compare to control site. In the result of DCA, right after clear cutting, vegetation composition was developed heterogeneously compared to control sites, and then approached to control sites within 16 years. Based on MRPP, species composition of each developmental stages (1yr, 3yr, 10yr and 16yr) revealed signigicant differences to that of control vegetation (R1, R3, R10 and R16). Indicator species in 1yr and 3yr samples included various woody species rather than herbaceous species, but in 10yr and 16yr, herbaceous were more abundant. Earlier succession of pine forests likely can explain to Initial Floristic Composition (IFC)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