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hange of Stream Water Quality by Forest Types

임상에 따른 계류수의 수질변화에 관한 연구

  • Ma, Ho-Seop (Division of Forest Environment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Institute of Agriculture Llife Science)) ;
  • Kang, Won-Seok (Division of Forest Environment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Institute of Agriculture Llife Science)) ;
  • Kang, Eun-Min (Division of Forest Environment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Institute of Agriculture Llife Science))
  • 마호섭 (경상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농업생명과학연구원)) ;
  • 강원석 (경상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농업생명과학연구원)) ;
  • 강은민 (경상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농업생명과학연구원))
  • Received : 2011.01.05
  • Accepted : 2011.05.04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larify the change characteristics of stream water quality by type of forest from June to August, 2009 in three stands (Castanea crenata, Pinus densiflora and Plantation Land) of Samgye-ri Naedong-myeon Jinju-si Gyeongsangnam-do. The pH of stream water in three stands was highest in Pinus densiflora (pH 7.18) followed by Castanea crenata (pH 6.90) and Plantation land (pH 6.90) while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stream water was highest in Plantation land followed by Castanea crenata stand and Pinus densiflora stand was the lowest. Cations contents of stream water in three stands were high in order of $Ca^{2+}$, $Na^{+}$, $Mg^{2+}$, $K^{+}$, and $NH_{4}{^{+}}$. But anions of stream water in Castanea crenata stand and Pinus densiflora stand were high in order of $SO_{4}{^{2-}}$, $Cl^{-}$ and $NO_{3}{^{-}}$ while those of stream water in Plantation land were high in order of $SO_{4}{^{2-}}$, $NO_{3}{^{-}}$ and $C\lambda^{-}$. The stream water in three stands was significant at pH, EC, $NO{^{3-}}$, $Ca^{2+}$, $Mg^{2+}$, $Na^{+}$, $Cl^{-}$, TNU and Color by duncan tes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quality of stream water have a difference among three stands. The level of pH, $NH_{4}{^{+}}$, $Cl^{-}$, $SO_{4}{^{2-}}$ and $NO_{3}{^{-}}$ of stream water in three stands were within the domestic use standard for drinking water. but turbidity and color of stream water were more than that of domestic use standard for drinking water. Therefore, non-point sources like urban forest watersheds which are soil erosion and fertilizer application lands should be taken to the appropriate mitigation measures if they are to be used as source of drinking water.

본 연구는 밤나무림, 소나무림 개벌조림지로 이용되고 있는 산지소유역에서 임상별 계류수질의 차이와 변화를 분석하고, 이를 먹는물 수질기준과의 비교를 통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세 임분의 계류수 pH는 소나무임분(pH 7.18) >밤나무임분(pH 6.90) >개벌조림지(pH 6.82) 순으로 나타났다. 전기전도도는 개벌조림지 >밤나무임분 >소나무임분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양이온은 세 조사구의 계류수 모두 $Ca^{2+}$, $Na^{+}$, $Mg^{2+}$, $K^{+}$, $NH_{4}{^{+}}$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음이온은 밤나무임분과 소나무임분 계류수에서는 $SO_{4}{^{2-}}$, $Cl^{-}$, $NO_{3}{^{-}}$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개벌조림지 계류수에서는 $SO_{4}{^{2-}}$, $NO_{3}{^{-}}$, $Cl^{-}$의 순으로 높게 나타나 차이를 보이고 있다. 세 조사구의 계류수 간에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각 임분별 수질의 변화에 대한 다중검정을 실시한 결과 12개 항목 중에서 pH, EC, $NO^{3-}$, $Ca^{2+}$, $Mg^{2+}$, $Na^{+}$, $Cl^{-}$, TNU, Color 9개 항목들은 임분 간에 유의성이 인정되므로 각 임분별 수질의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개벌조림지는 식재목 성장을 위한 비료의 시용으로 인하여 밤나무림과 소나무림에 비해 오염지표라 할 수 있는 EC, $NO{^{3-}}$, $SO_{4}{^{2-}}$, $Cl^{-}$, 탁도, 색도 등이 높은 것으로 보아 임지 이용에 따라 수질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임분별 계류수의 pH, $NH_{4}{^{+}}$, $Cl^{-}$, $SO_{4}{^{2-}}$, $NO_{3}{^{-}}$는 먹는물 기준이하를 나타내어 수질이 비교적 양호한 편으로 나타났으나, 탁도와 색도의 수치는 모든 임분에서 먹는물 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시주변 산림지역은 토사 유출로 인하여 탁수화 및 밤나무 재배지는 시비 등으로 수질오염이 예상되므로 계류수를 식수화하기 위해서는 간이 수질정화시설과 같은 적절한 대비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산림청

References

  1. 김준현. 1995. 고산계곡수 활용가능성과 개발전략. 고산 계곡수 식수원활용 세미나자료용집. pp. 18.
  2. 김명희, 민일식, 송석환. 1997. 금산 폐탄광지역의 오염이 하천수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학회지 86(4): 435-442.
  3. 마호섭, 구소영. 2002. 임지이용이 계류수질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5(6): 43-48.
  4. 박재현, 우보명. 1997. 산림유역내 강수로부터 계류수질에 미치는 영향인자 분석. 한국임학회지 86(4): 489-501.
  5. 박재현, 마호섭. 1999. 북한산 국립공원내 휴식년 계곡의 수질관리를 위한 계류 수질 모니터.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2(2): 88-96.
  6. 박재현. 2000. 북한산국립공원 북동사면 일대 계류수질 특성(III)-계류수질 오염에 미치는 영향인자를 중심으로. 한국임학회지 89(3): 297-305.
  7. 박재현, 우보명, 김우룡, 안현철, 조현서, 추갑철, 김춘식, 최형태. 2001. 북한산 국립공원의 계류수질 보전 전략(I).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4(3): 30-37.
  8. 이인선, 신상철, 정동일. 1993. 토양 컬럼실험을 통한 비점오염원 오염물질 배출 원단위 산정. 한국수질보전학회지 9(4): 240-245.
  9. 이호범, 박찬오, 신대윤. 2007. 식생이 다른 산림유역 유출수 특성. 대한환경공학회지 29(3): 311-316.
  10. 전상린, 황종서. 1993. 지리산의 칠선계곡, 백무동계곡 및 뱀사골계곡의 수환경과 담수어류상. 한국자연보존협회. 조사보고서 제31호: 141-151.
  11. 전상린, 황종서. 1995. 소백산 국립공원 계류의 수환경 및 담수어류상. 한국자연 보존협회. 조사보고서 제33호: 141-149.
  12. 정용호, 원형규, 김경하, 박재현, 유정환. 1997. 전기전도가 산림유역내 계류수와 토양수질에 미치는 영향. 산림과학논문집 55: 125-137.
  13. 정용호, 박재현, 윤호중, 김경하. 2000. 전나무림, 잣나무림 유역에서 산림의 수질정화 기능에 미치는 산림시업영향 (III)-임외우, 수관통과우, 수간류의 pH와 전기전도도를 중심으로. 한국임학회지 89(2): 223-231.
  14. 최한규, 김종욱, 오기호, 박수진. 2008. 고랭지유역의 강우특성에 의한 하천탁도 발생에 관한 연구. 한국방재학회논문집 8(3): 123-128.
  15. 相澤州平. 1993. 樹幹流の土壤陽イオン交換における役割. 日本東北支誌 45: 193-194.
  16. 大類淸和, 生原喜久雄, 相場芳憲 1993. 森林集水域での土壤から溪流 への水質變化. 日本林學會誌 75(5): 389-397.
  17. 大類淸和, 生原喜久雄, 相場芳賀野 1994. 森林小集水域に おける溪流水質に及ぼ す諸要因の影響. 日本林學會誌 76(5): 383-392.
  18. 岩坪五郞, 司王林ゆり, 堤利夫 1982. On thespraying of sewage water in a forest(I)-Effect of the spraying on the run-off waterchemicals and the nutrient budgets of theforest watershed. 日本林學會誌 64(5): 187-192.
  19. 志水俊夫, 坪山良夫. 1990. 寶川流域における融雲流出水の水質特性. 日本林學 會誌 72(2): 171-174.
  20. Brooks, K.N., Ffolliott, P.F., Gregersen, H.M. and Thames, J.L. 1994. Hydrology and the management of watersheds. pp. 392.
  21. Huang, S.-L. and Ferng, J.-J. 1990. Applied land classification for surface water utility management I.: Watershed Classifica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31: 107-126. https://doi.org/10.1016/S0301-4797(05)80002-7
  22. Tsugio, E. 1996. Changes in pH values on the runoff water of the rainfall by forest. Northeast Asian Forests in 21st Century in '96 International Symposium on Forest Science. The Institute of Forest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p. 37-46.
  23. Vaughan, L. 1984 Logging and the environment. N.Z. Logging Industry Research Association Research Association. pp. 73.
  24. Whitehead, P.G., Bird, S., Hornung, M., Cosby, J., Neal, C. and Paricos, P. 1988. Stream acidfication trends in the welsh uplands-a modelling study of the Llyn Brianne catchments. Journal of Hydrology 101: 191-212. https://doi.org/10.1016/0022-1694(88)9003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