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Water Space and Scenic Spot of Baegun-dong Wonlim in Gangjin Aaun Village

강진 안운마을 백운동원림의 승경과 수공간의 조영 특성

  • Park, Yool-Jin (Dept. of Environmental Gardening,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Hong-G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Byuksung College) ;
  • Rho, Jae-H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 Kim, Hwa-Ok (Dept. of Environmental Gardening,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Goh, Yea-Bi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박율진 (전북대학교 환경조경디자인학과) ;
  • 김홍균 (벽성대학 조경과) ;
  •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 김화옥 (전북대학교 환경조경디자인학과) ;
  • 고여빈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1.05.09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is study is aiming to acquire data for enhancing genuineness of restoration through reviewing external and internal scenery of Baegun-dong Wonlim such as Baegun-dong 8 Objects of Scenery(pines, bamboos, chrysanthemum, orchid, maehwa blossom, magnolia, fiddle and crane) and 12 Scenic Spots and reviewing internal and external scenery of Baegun-dong Wonlim such as views and scenery for plantation. For Baegun-dong 8 Young which sang songs about scenic spots of Baegun-dong Wonlim it seemed that its head words were formed through borrowing rhyming words from caption of Baegun-dong Yuseogi(白雲洞幽棲記). Accordingly it seemed these scenery secured its status of Wonlim from the beginning. Particularly the words of fiddle and crane in 琴棋書畵(Geumgisuhha) implied that playing Komungo and brushwriting were firmly rooted as romantic pursuits of classical scholars of that time. In consideration of distance upto Okpanbong which is one of 12 scenic spots of Baegun-dong radius of outer circumference is estimated to be around 1.6km. From Okgpanbong, the epicenter, Sandagyeong, Baegokmae, Hongokpok and Pungdan etc. correspond to transitional space. And inner scenery was formed with hub of thatched cottages and bowers surrounded with chrysanthemums, poenies, rhododendron, Phyllostachys bambusoides, pines and upper and lower water paths. Thus it seemed there was scenic structure of centrifugal nature as well as of multiplicity. Forms of majority of water paths with residual structure found in the country have streamlined forms on the other hand Baegun-dong water paths have straight line which almost dominate inner gardens in terms of scale and forms thus revealing its extraordinary idea and design. In order to promote genuine restoration of Baegun-dong Wonlim it will be necessary to have consideration from standpoint of managing perspective to assure presentation of gradual scenery with elements of scenic objects for outer view among 12 Scenic Spots.

본 연구는 여러 시문과 옛 그림 속에 나타난 백운동8영과 12승경 등 백운동원림의 내경과 외경의 고찰을 통해 조망경관과 식재경관 등 백운동원림의 전통 조경적 특질을 검토함으로써 복원의 진정성 제고할 수 있는 자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1. 백운동원림의 장소성은 백운사지(白雲寺址) 및 양(梁)나라 도홍경(陶弘景)이 화양(華陽) 은거고사 그리고 원림입구의 백운동(白雲洞) 각자에서 근원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2. 백운동8영은 백운동유서기(白雲洞幽棲記)의 표제어를 그대로 차운하고 있으며, 백운동8영의 요소인 소나무 매화 대나무 난 연꽃 국화 그리고 영산홍은 관상학적 측면은 물론 의미경관요소로 지속적으로 원림의 내경을 구성하였던 조경 식물로 보인다. 3. 백운동12승경으로 볼 때, 약 1.6km 권역의 원경인 옥판봉을 외경으로, 산다경, 백매오, 홍옥폭, 풍단 등은 전이공간으로 설정한 것으로 파악된다. 한편, 초당과 정자를 비롯하여 국화, 모란, 영산홍, 왕대, 소나무 그리고 연못 등을 내경의 경관요소로 구성함으로써 백운동원림은 별서를 중심으로 구심적이며 다층적 경관구조를 갖추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4. 두 개의 방지(方池)가 곡수거로 연결되는데 상지는 크기 $3.5m{\times}4.5m$ 크기이고, 하지 또한 장방형에 크기 $3.6m{\times}5.7m$ 로 실측되고 있으며, 서측을 흐르는 계곡수를 끌어 원내로 유도한 유로(流路)는 $90^{\circ}$의 직각 형태를 보이고, 원내에서 총 5번의 굴절(屈折)을 이루는 곡수로 구성되어 있다. 5. 현재 유구가 남아있는 국내 대부분의 곡수거(曲水渠) 형태는 유선형인데 반하여 백운동의 곡수거는 반듯한 직선으로, 내원(內園)을 거의 장악하다시피 형태와 규모를 갖는 이채로운 발상과 디자인으로 주목된다. 백운동원림의 진정한 복원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옥판봉을 비롯한 12승경 중 외경의 경물요소에 대한 점진적인 경관연출을 도모하기 위한 조망 관리적 배려가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진군(2007). 정다산유적 복원을 위한 학술연구보고서. p.119.
  2. 강진군(1990). 강진군 마을사(성전면 편). pp.123-126.
  3. 강진군(2006). 무위사: 월남사지권 관광지개발 기본계획
  4. 김수진, 정해준, 심우경(2006). 강진 백운동 별서정원에 관한 기초 연구: 입지와 공간 구성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4(4): 51-61.
  5. 노재현, 신상섭, 박율진(2008). 茶山圖에 표현된 茶山草堂의 原型景觀探索.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2): 31-41.
  6. 노재현, 신상섭(2010). 중국과 한국의 流觴曲水流盃渠특성에 관한 연구. 전북대 휴양 및 경관계획연구소 논문집. 4(2): 1-14.
  7. 정민(2011). 새로 쓰는 조선의 차 문화. 파주: 김영사. pp.559-576.
  8. 이시헌. 자이당집(自怡堂集) 필사본 3책.
  9. 한국고전번역원(1997). 이하곤 "두타초" 한국문집총간 191책.
  10. 김원우 엮음(2010). 숨어사는 즐거움(허균의 한정록). 서울: 솔출판사.
  11. 이종묵(2006). 조선의 문화공간(1-4). 서울: 휴머니스트.
  12. 이효우(2001). 白雲世守帖. 서울: 연담문고.
  13. 정재훈(2010). 한국전통조경. 파주: 도서출판 조경. pp.455-517.
  14. 허균(2002). 한국의 정원 선비가 거닐던 세계. 서울: 다른세상.
  15. 김진수, 김윤상(2010). 유가적 수양론으로 본 호남지방 별서형 정자 입자와 배치의 의미해석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4): 49-63.
  16. http://blog.joinsmsn.com/media/folderlistslide.asp?uid=bytylp& folder=25&list_id=11547575.
  17. http://jungmin.hanyang.ac.kr
  18. http://blog.joinsmsn.com/m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