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sociation between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OHQoL) and Oral Health Outcome in Adults over 50 Years Old

50대 이상 장노년층의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과 구강 건강 결과의 관련성

  • 조영식 (남서울대학교 치위생학과) ;
  • 임순연 (남서울대학교 치위생학과) ;
  • 황혜림 (남서울대학교 치위생학과)
  • Received : 2011.05.13
  • Accepted : 2011.08.10
  • Published : 2011.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ssociation between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OHRQoL) and health outcome, such as evaluated oral health state, perceived health state and perceived oral health state. 148 of individuals over 50 years old completed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on Oral Health Impact Profile(OHIP-14) and oral examination was perfomed. 9.5% of respondents reported no problems or discomfort using OHIP-14.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problems were physical pain(69.8%) and psychological discomfort(63.5%). 43.9% of the individuals rated their health and oral health as poor and 54.7% were dissatisfied with their oral health. The study showed association between number of DMFT, missing teeth, perceived health state, perceived oral health state, oral health satisfaction and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Perceived heath sate was correlated with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But the study showed no association between DMFT, number of missing teeth and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50대 이상 장 노년층 성인들의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Oral-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HRQoL)과 건강 결과(health outcome)의 관련성을 평가하기 위해 148명을 편의추출하여 구강검사와 면접조사를 통해 OHIP-14(Oral health impact profile-14)와 인지 건강 및 구강건강 상태를 측정하고, 독립표본 t 검정, 일원분산분석, 교차분석, 상관분석 등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OHIP-14의 모든 문항에 대해 조사 대상자 중 9.5%가 전혀 문제나 불편감을 느끼지 않는다고 응답하였으며, 가장 문제를 많이 느끼는 차원은 '신체적 통증'(69,8%)과 '심리적 불편감'(63.5%)으로 나타났다. 2. 평가 구강건강 상태에 따른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 수준을 비교한 결과 우식경험치아수, 잔존치아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p=0.045), 치주상태와 틀니사용여부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3. 조사 대상자의 43.9%(N=65)가 자신이 '건강하지 않다'고 느끼고 있으며, 43.9%(N=65)가 자신의 구강건강상태가 '나쁘다'고 생각하고 있고, 54.7%(N=81)가 자신의 구강건강상태에 대해 '만족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4. 조사 대상자가 느끼는 인지 건강상태에 따른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을 비교한 결과 인지 건강상태, 인지 구강건강상태, 구강건강 만족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01). 5. 조사 대상자의 인지 건강상태와 OHIP-14 점수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으나(r=0.326, p<0.01), 인지 건강상태와 우식경험치아수, 잔존치아수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Keywords

References

  1. Baker SR: Applying Andersen's behavioural model to oral health: what are the contextual factors shaping perceived oral health outcomes? Comm Dent Oral Epid 37(6): 485-94, 2009. https://doi.org/10.1111/j.1600-0528.2009.00495.x
  2. Locker D: Measuring oral health: a conceptual framework. Community Dent Health 5(1): 3-18, 1988.
  3. Slade GD: Derivation and validitation of a short-form oral health impact profile. Comm Dent Oral Epid 25(4): 284-290, 1997. https://doi.org/10.1111/j.1600-0528.1997.tb00941.x
  4. Dahl KE at al.: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adults 68-77 years old in Nord-Trondelag, Norway. Int J Dent Hygiene 9(1): 87-92, 2011. https://doi.org/10.1111/j.1601-5037.2010.00445.x
  5. Andersen RM: Revisiting the behavioral model and access to medical care: does it matter? J Health Soc Behav 36(1): 1-10, 1995. https://doi.org/10.2307/2137284
  6. 정성화 등: 임플란트 치료 전후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변화. 대한구강보건학회지 33(4): 585-596, 2009.
  7. 박지혜 등: 일부 농촌지역 노인들의 치아상실이 구강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구강보건학회지 32(1): 63-74, 2008.
  8. 장문성 등: 한국노인의 자가보고 치주건강상태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의 연관성. 대한치주과학회지 36(3): 591-600, 2006.
  9. 박명숙, 류세앙: 지역사회 노인의 구강건조증 정도 및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대한간호학회지 40(5): 747-755, 2010.
  10. 오애영 등: 대구지역 일부 초등학교 아동들의 치과공포감과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련성. 대한구강보건학회지 35(1): 93-101, 2011.
  11. 권영은 등: 두경부암 환자의 방사선치료 증례에서 맞춤형 자가 불소겔 도포 순응도와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 간의 상관관계. 대한구강보건학회지 33(2): 153-163, 2009.
  12. 조경화, 김혜영, 황수정: 임플란트를 이용한 고정성 보철물 장착 전후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변화. 치위생과학회지 10(5): 315-321, 2010.
  13. 허익강 등: 일부 노인의 치과보철물 상태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치과보철학회지 48(2): 101-110, 2010.
  14. 유상희, 김영임, 이흥수: 가철성 의치장착 노인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대한구강보건학회지 32(4): 575-586, 2008.
  15. 안용순, 이영수, 류다영: 초등학교 구강보건사업을 위한 아동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연구. 치위생과학회지 6(2): 79-84, 2006.
  16. 이덕혜, 구민지, 이선미: 일부지역 고등학생들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평가. 치위생과학회지 9(1): 109-113, 2009.
  17. 정진아, 장윤정, 주온주: 일부 대학신입생들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관련요인. 대한보건연구 35(2): 13-20, 2009.
  18. 이가령: 농촌지역 노인들의 구강상태와 구강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 간의 관련성. 대한구강보건학회지 32(3): 396-404, 2008.
  19. 강재경, 이선미: OHIP를 이용한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구강건강과 삶의 질과의 관계. 대한구강보건학회지 34(3): 354-361, 2010.
  20. 김혜진, 박천만, 이종열: 산업근로자의 구강건강평가 및 삶의 질과의 관련성. 한국치위생교육학회지 6(4): 295-309, 2006.
  21. 이현옥 등: 재가 장애인의 구강진료기관 이용실태와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 치위생과학회지 9(5): 593-600, 2009.
  22. 윤영숙: 요양원 거주 여부에 따른 노인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치위생과학회지 5(3): 133-137, 2005.
  23. 하정은 등: 일부 지역 노인의치보철사업 수혜자의 보철 전.후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변화. 대한구강보건학회지 33(2): 227-234, 2009.
  24. Lamb KL, Brodie DA, Robert K: Physical fitness and anxiety in chronic dialysis pateients. J Psychosomat Res 29: 23-26, 1988.
  25. Donabedian A: The quality of care. How can it be assessed? JAMA 260(12): 1743-1748, 1988. https://doi.org/10.1001/jama.1988.03410120089033
  26. Andersen RM, Davidson PL: Ethnicity, aging, and oral health outcomes: a conceptual framework. Adv Dent Res 11(2): 203-9, 1997. https://doi.org/10.1177/08959374970110020201
  27. 배광학 등: 55세 이상 성인 대상 구강보건 영향지수의 물리적 동통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7(4): 527-537, 2003.
  28. Atchison KA, Dolan TA: Development of the geriatric oral health assessment index. J Dent Edu 54(11): 680-687, 1990.
  29. Xin WN, Ling JQ: Validation of a Chinese version of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14. Zhonghua Kou Qiang Yi Xue Za Zhi 41(4): 242-5, 2006.
  30. Soe KK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wo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measures in Myanmar adolescents. Community Dent Health 21(4): 306-11, 2004.
  31. McGrath C, Bedi R: A national study of the importance of oral health to life quality to inform scales of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Qual Life Res 13(4): 813-818,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