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Mouth Excercise on the Improvements of Oral Function in Elderly Men

노인의 구강기능 향상에 미치는 구강운동의 효과

  • 장경애 (동의대학교 치위생학과) ;
  • 황인철 (고신대학교 보건환경학부)
  • Received : 2011.04.05
  • Accepted : 2011.06.16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 mouth excercise program on the promotion of oral function of old people. Forty seven old persons who conducted a mouth excercise exercise two times every week for 12 week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of 39 old persons using physical examinatio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virtue of this exercise the salivary flow was increased 0.029 ml in the experimental group more than 0.046 ml in the control group. Maximum mouth opening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4.12 cm and higher than 3.92 cm in the control. Also Oral diadochokinesis was 1.69 times per second in experimental group and more than 1.65 in the control group.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the mouth excercise had good effects on promoting oral health. Some movements of the mouth excercise exercise need be modified, and then the exercise should be publicized as one of the ways to improve wholistic health of the aged.

본 연구는 노인의 구강 건강 향상의 방안으로 구강운동프로그램을 47명에 대하여 시행하여 39명의 대조군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타액분비량은 실험군이 0.075 ml로 대조군 0.046 ml 보다 0.029 ml 증가하여 구강운동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최대 개구량은 실험군이 4.12 cm로 대조군 3.92 cm 보다 0.20 cm 증가하여 구강운동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구강 교호 운동량은 실험군이 초당 1.69회에서 초당 2.03회보다 0.34회 증가하여, 구강운동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 구강운동이 노인의 구강건강 뿐만 아니라 추후 구강운동을 고령화 시대 노인의 건강 증진 방안의 일환으로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장래인구추계(2005-2050). 서울: 통계청, 2006.
  2. 통계청: 2007 고령자통계. 서울: 통계청, 2007.
  3.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20 총괄전략수립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건강증진사업지원단, 2008.
  4. 최순례 등: 기초생활수급대상 노인의치보철사업수혜자의 의치 만족도와 구강 건강관련 삶의 만족도 조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9(4): 474-483, 2005.
  5.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구강 건강증진을 위한 전략개발연구. 서울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0.
  6. Locker D, Matear D, Stephens M, Jokovie A: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a population of medically compromised elderly people. Community Dent Health 19(2): 90-97, 2002.
  7. Ware JE Jr, Sherbourne CD: The MOS 36-item short-form health survey as a health measure: the predictive value of self-reported health status on the use of physician services and on mortality in the working-age population. J Clin Epidemiol 50(5): 517-528, 1997. https://doi.org/10.1016/S0895-4356(97)00045-0
  8. 우석류, 서부일, 한창현: 지역사회 노인들의 구강 건강상태가 삶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동서의학 35(2): 39-71, 2010.
  9. 김종배 등: 공중구강보건학. 제3판, 고문사, pp. 271-276, 2000.
  10. 보건복지부: 2006년도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 보고서. 서울: 보건복지부, 2007.
  11. 송경희: 한국성인의 건강 및 구강 건강관련 삶의 질 평가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서울, 2007.
  12. 조은별: 구강 기능 향상 운동이 노인의 구강 기능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대전, 2009.
  13. 정세환: 노인구강 건강과 구강보건학계의 역할. 대한구강보건학회 2005년도 제 2차 학술집담회 자료집, 서울, 대한민국, 2005.
  14. 장기완 등: 구강보건교육학. 고문사, 서울, pp. 334-338, 2010.
  15. 이광희: 노인구강보건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대한치과의사협회지 29(7): 500-503, 1991.
  16. Cassolato SF, Tumbull RS: Xerostomia: clinical aspects and treatment, Gerodontology 20(2): 64-77, 2003. https://doi.org/10.1111/j.1741-2358.2003.00064.x
  17. Prinz KF: Quantitative of the effect of bolus size and number of chewing strokes on the intra-oral mixing of a two-colour chewing gum. J Oral Rehabilitation 26: 243-247, 1999. https://doi.org/10.1046/j.1365-2842.1999.00362.x
  18. Osterberg T et al.: Masticatory ability in 80-year-old subjects and its relation to intake of energy, nutrients and food items. Gerodontology 19(2): 95-101, 2002. https://doi.org/10.1111/j.1741-2358.2002.00095.x
  19. Miura H et al.: Subjective evaluation of chewing ability and self-rated general health status in elderly residents of Japan. Asia Pac J Public Health 10(1): 43-45, 1998. https://doi.org/10.1177/101053959801000109
  20. 안권숙, 지민경: 노인의 구강 건강 장애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치위생교육학회지 8(3): 73-84, 2008.
  21. 이은주, 이미옥: 성인의 구강 건강 특성이 구강위생용품의 인지도와 사용 실태에 미치는 영향. 치과위생학회지 10(4): 241-250, 2010.
  22.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구강 건강증진을 위한 전략개발연구. 서울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0.
  23. 남용옥 등: 구강보건사업계획에 필요한노인의 구강건강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치위생교육학회지 6(4): 325-337, 2006.
  24. 조은별: 대한치과보철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구강 기능 향상을 위한 입 체조. 대한치과보철학회, 광주, 한국, pp. 26, 2008.
  25. 高知市保健: 健康づくり課, かみかみ百歲体操と口腔ケア, 2007.
  26. 황윤숙, 조은별: 구강 프로그램에 참가한 노인의 만족도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치위생교육학회지 9(4): 795-808, 2009.
  27. Birkhed D, Heintze U: Salivary secretion rate, buffer capacity and pH. In: Tenovuo J (ed) Human Saliva: Clinical Chemistry and Microbiology volume I, Boca Raton, CRC Press Inc, pp. 25-73, 1989.
  28. Wodd GD, Branco JA: A comparision of three methods of measuring maximal opening of the mouth. J Oral Surg 37: 175-177, 1979.
  29. Agerberg G: Maximal mandibular movements in young men and women. Swed Dent J, 67: 81-100. 1974.
  30. De Vis H, De Boever JA, Van Gauwenberghe P: Epidemiologic survey of functional conditions of the masticatory system in Belgian children aged 3-6 years.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12: 203-207, 1984. https://doi.org/10.1111/j.1600-0528.1984.tb01440.x
  31. 김지희: 연하장애인의 구강근육 기능 강화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2006.
  32. 大岡貴史,排野俊之,弘中祥司,向井美惠. 日常的に行う口腔機能/訓練によゐ高齡者の口腔機能向上への效果. 口腔衛生會誌 58:88-94, 2008.
  33. 보건복지부: 2007년도 노인건강증진 허브보건소사업 안내, 서울: 보건복지부, 2007.
  34. 보건복지가족부: 2009년도 지역특화 건강행태개선사업 안내,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