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2005-2050). 서울: 통계청, 2006.
- 통계청: 2007 고령자통계. 서울: 통계청, 2007.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20 총괄전략수립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건강증진사업지원단, 2008.
- 최순례 등: 기초생활수급대상 노인의치보철사업수혜자의 의치 만족도와 구강 건강관련 삶의 만족도 조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9(4): 474-483, 2005.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구강 건강증진을 위한 전략개발연구. 서울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0.
- Locker D, Matear D, Stephens M, Jokovie A: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a population of medically compromised elderly people. Community Dent Health 19(2): 90-97, 2002.
- Ware JE Jr, Sherbourne CD: The MOS 36-item short-form health survey as a health measure: the predictive value of self-reported health status on the use of physician services and on mortality in the working-age population. J Clin Epidemiol 50(5): 517-528, 1997. https://doi.org/10.1016/S0895-4356(97)00045-0
- 우석류, 서부일, 한창현: 지역사회 노인들의 구강 건강상태가 삶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동서의학 35(2): 39-71, 2010.
- 김종배 등: 공중구강보건학. 제3판, 고문사, pp. 271-276, 2000.
- 보건복지부: 2006년도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 보고서. 서울: 보건복지부, 2007.
- 송경희: 한국성인의 건강 및 구강 건강관련 삶의 질 평가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서울, 2007.
- 조은별: 구강 기능 향상 운동이 노인의 구강 기능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대전, 2009.
- 정세환: 노인구강 건강과 구강보건학계의 역할. 대한구강보건학회 2005년도 제 2차 학술집담회 자료집, 서울, 대한민국, 2005.
- 장기완 등: 구강보건교육학. 고문사, 서울, pp. 334-338, 2010.
- 이광희: 노인구강보건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대한치과의사협회지 29(7): 500-503, 1991.
- Cassolato SF, Tumbull RS: Xerostomia: clinical aspects and treatment, Gerodontology 20(2): 64-77, 2003. https://doi.org/10.1111/j.1741-2358.2003.00064.x
- Prinz KF: Quantitative of the effect of bolus size and number of chewing strokes on the intra-oral mixing of a two-colour chewing gum. J Oral Rehabilitation 26: 243-247, 1999. https://doi.org/10.1046/j.1365-2842.1999.00362.x
- Osterberg T et al.: Masticatory ability in 80-year-old subjects and its relation to intake of energy, nutrients and food items. Gerodontology 19(2): 95-101, 2002. https://doi.org/10.1111/j.1741-2358.2002.00095.x
- Miura H et al.: Subjective evaluation of chewing ability and self-rated general health status in elderly residents of Japan. Asia Pac J Public Health 10(1): 43-45, 1998. https://doi.org/10.1177/101053959801000109
- 안권숙, 지민경: 노인의 구강 건강 장애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치위생교육학회지 8(3): 73-84, 2008.
- 이은주, 이미옥: 성인의 구강 건강 특성이 구강위생용품의 인지도와 사용 실태에 미치는 영향. 치과위생학회지 10(4): 241-250, 2010.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구강 건강증진을 위한 전략개발연구. 서울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0.
- 남용옥 등: 구강보건사업계획에 필요한노인의 구강건강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치위생교육학회지 6(4): 325-337, 2006.
- 조은별: 대한치과보철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구강 기능 향상을 위한 입 체조. 대한치과보철학회, 광주, 한국, pp. 26, 2008.
- 高知市保健: 健康づくり課, かみかみ百歲体操と口腔ケア, 2007.
- 황윤숙, 조은별: 구강 프로그램에 참가한 노인의 만족도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치위생교육학회지 9(4): 795-808, 2009.
- Birkhed D, Heintze U: Salivary secretion rate, buffer capacity and pH. In: Tenovuo J (ed) Human Saliva: Clinical Chemistry and Microbiology volume I, Boca Raton, CRC Press Inc, pp. 25-73, 1989.
- Wodd GD, Branco JA: A comparision of three methods of measuring maximal opening of the mouth. J Oral Surg 37: 175-177, 1979.
- Agerberg G: Maximal mandibular movements in young men and women. Swed Dent J, 67: 81-100. 1974.
- De Vis H, De Boever JA, Van Gauwenberghe P: Epidemiologic survey of functional conditions of the masticatory system in Belgian children aged 3-6 years.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12: 203-207, 1984. https://doi.org/10.1111/j.1600-0528.1984.tb01440.x
- 김지희: 연하장애인의 구강근육 기능 강화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2006.
- 大岡貴史,排野俊之,弘中祥司,向井美惠. 日常的に行う口腔機能/訓練によゐ高齡者の口腔機能向上への效果. 口腔衛生會誌 58:88-94, 2008.
- 보건복지부: 2007년도 노인건강증진 허브보건소사업 안내, 서울: 보건복지부, 2007.
- 보건복지가족부: 2009년도 지역특화 건강행태개선사업 안내,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