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tors Affecting Experience of Decayed and Decalcified Teeth of Infants Aged 18-24 Months

18-24개월 시기에 경험하는 우식치와 탈회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임순연 (남서울대학교 치위생학과) ;
  • 우희선 (경운대학교 치위생학과)
  • Received : 2011.04.25
  • Accepted : 2011.06.12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e present study seeks to find the effect of oral health status that parents recognized, oral health habit and food intake on existence of decalcified teeth and decayed teeth. Participants were 293 infants aged 18-24 months who visited C dental clinic in Kyungki province between January and December 2010. Questionnaires and oral exam results were us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by the SPSS program. Fisher's Exact and chi-square test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18-20 month-old age group had the highest rate of decalcified teeth with 36.4% while the 23-24 month-old age group had the highest rate of decayed teeth with 37.0%. Bottle feeding showed correlation with decalcified teeth, and decayed teeth. Parents were able to recognize decayed teeth and decalcified teeth. Group 2 food(soda/soft drinks/sugared fruit juice) was related to decalcified teeth and decayed teeth(p<.001). Group 4 food (cake/cookies/doughnut/dried fruit/banana) and group 5food(caramel/candy/chocolate bar) were both related to decalcified teeth(p<.001). As the result of dental examination, dental treatment was highly needed for the 21-22 month-old age group(89.3%), and preventive treatment and plaque control were highly needed for the 18-20 month-old age group(94.5%). The results concluded that 18-24 months was the critical period for children's oral health, therefore organized oral health education for parents is necessary.

본 연구는 경기도 C치과의원에서 2010년 1월부터 12월까지 1년 동안 18-24개월에 해당되는 293명의 영유아 구강검진 결과표와 부모가 작성한 문진표를 토대로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건강행태 및 우식성 식품섭취가 우식치와 탈회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8-20개월 영유아는 탈회치의 비율이 36.4%로 높고, 23-24개월 영유아는 우식치의 비율이 37.0%로 높게 나타났다. 2. 우유병을 뗀 여부는 탈회치와 우식치의 발생에 관련이 있다(p<.001). 3. 구강상태에서 썩은치아와 뿌연치아에 대해 부모가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식품군 중에서 2군(탄산음료/청량음료/가당 과일 쥬스)이 탈회치와 우식치와 관련이 있다(p<.001), 4군(케이크/과자/도우넛/말린과일/바나나), 5군(캐러멜/사탕류/초코렛바)은 탈회치와 관련이 있다(p<.001). 5. 구강검진 결과, 치아치료는 21-22개월(89.3%)에서, 예방치료와 치면세균막 제거는 18-20개월(94.5%)에서 가장 높게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보면, 생후 18-24개월은 구강건강관리에 주의를 요하는 시기이므로 영유아 검진시에 부모의 체계화된 구강보건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Drury TF et al.: Diagnosing and reporting early childhood caries for research purposes. J Public Health Dent 59(3): 192-197, 1999. https://doi.org/10.1111/j.1752-7325.1999.tb03268.x
  2. 김정욱 등: 영유아 건강검진 매뉴얼 중 구강검진 매뉴얼. 서울 : 국민건강보험공단 182-213, 2007.
  3. Grindefjord M, Dahllof G, Modeer T: Caries development in children from 2.5 to 3.5 years of age: a longitudinal study. Caries Res 29(6): 449-454, 1995. https://doi.org/10.1159/000262113
  4. Ayhan H, Suskan E, Yildirim SJ: The effect of nursing or rampant caries on height, body weight and head circumference. Clin Pediatr Dent 20(3): 209-212, 1996.
  5. Tsbouchi J et al.: A study of dental caries and risk factors among Native American infants. ASDC J Dent Child 62(4): 283-287, 1995.
  6. Moynihan PJ, Holt RD: The national diet and nutrition survey of 1.5 to 4.5 year old children: Summary of the findings of the dental survey. Br Dent J 181(9): 328-32. 1996. https://doi.org/10.1038/sj.bdj.4809251
  7. Schroder U et al.: Prediction of caries in 1 1/2-year-old children. Swed Dent J 18(3): 95-104, 1994.
  8. Tsubouchi J et al.: A study of baby bottle tooth decay and risk factors for 18 month old infants in rural Japan. ASDC J Dent Child 61(4): 293-298, 1994.
  9. Rosenblatt A, Zarzar P: The prevalence of early childhood caries in 12-to 36-month-old children in Recife, Brazil. ASDC J Dent Child 69(3): 319-324, 2002.
  10. Caufield PW, Cutter GR, Dasanyake AP: Initial acquisition of mutans streptococci by infants: evidence for a discrete window of infectivivy. J Dent Res 72: 37-45, 1993. https://doi.org/10.1177/00220345930720010501
  11. 안용순 등: 성남시 어린이집 및 유치원 선생님의 유아구강보건의식과 행태에 관한 연구. 치위생과학회지 1(1): 13-21, 2001.
  12. 이향님, 심형순: 어린이집 교사의 구강보건실태와 유아구강보건관리에 대한 인식. 치위생 과학회지 8(4): 283-289, 2008.
  13. 김철신 등: 일부 부모협동보육시설 보육교사 대상의 시설내 구강건강증진 환경에 관한 조사. 치위생과학회지 8(4): 331-336, 2008.
  14. 최성숙, 김주원: 대구시와 경주시 일부 유치원(어린이집) 아동의 간식섭취 실태에 관한 비교. 치위생과학회지 7(1): 55-58, 2007.
  15. 국민건강보험공단: 국민건강보험법 시행령 제26조 2항. 대통령령 제22075호(일부개정 2010. 03. 15). Retrieved April 20, 2011 from http://www.nhic.or.kr/main.html.
  16. 이창한 등: 18개월 유아 조기 우식의 원인 고찰. 대한소아치과학회 32(1): 174-184, 2005.
  17. 주태준 등: 서울, 경기 및 강원지역 치과의사의 영유아기 구강건강 관리에 대한 인식도. 대한구강보건학회지 34(1): 117-125, 2010.
  18. Holt RD, Moynihan PJ: The weaning diet and dental health. Br Dent J 5(8): 254-259, 1996.
  19. Tinanoff N, O'Sullivan DM: Early childhood caries overview and recent finding. Pediatr Dent 19: 12-16, 1997.
  20. Hallonsten Al et al.: Dental caries and prolonged breastfeeding in 18-month-old Swedish children. Int J Pediatr Dent 5(3): 149-155, 1995.
  21. Koranyi K, Rasnake LK, Tarnowski KJ: Nursing bottle weaning and prevention of dental caries: a survey of pediatricians. Pediatr Dent 13: 32-44, 1991.
  22. 공만석, 이홍수, 김수남: 모친의 구강보건에 대한 지식, 태도, 행동과 아동의 구강보건행 태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18(1): 84-94, 1994.
  23. 김종배 등: 임상예방치학. 고문사, 서울, pp. 333-347, 2000.
  24. 조선아, 이광희, 김대업: 미취학아동의 우식활성과 구강위생습관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대한소아치과학회지 24: 247-264, 1997.
  25. 이상언, 정태련, 이상훈: 우유병우식증 경험아동의 5년 후 추적조사 연구. 대한소아치과 학회지 27: 262-273,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