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이근우. 문인화 총론, 서울, 이화문화출판사, 2009.
- 조선미. 한국의 초상화, 서울, 돌베개, 2009.
- 국립중앙박물관. 조선시대 초상화 초본, 서울, 국립중앙박물관출판팀, 2007.
- 박은영 역. 미술사 방법론, 서울, 서울하우스, 2009 [Laurie Schneider Adams: The Methodologies of Art].
- 서성록. 동서양 미술의 지평, 서울, 재원, 1999.
- 손효주, 유시주, 양건열 역. 미술사의 이해, 서울, 시공사, 1995 [David Piper: The Mitchell Beazley Library of Art.].
- 안휘준. 한국회화사, 서울, 일지사, 2008.
- 최완수. 조선왕조의 문화절정기, 진경시대. [최완수 편; 우리문화 황금기, 진경시대 1; 사상과 문화, 서울, 돌베개, 2008; 13-44].
- 최완수. 겸재 정선과 진경산수화풍. [최완수 편; 우리문화 황금기 진경시대 2; 예술과 예술가들, 서울, 돌베개, 2008; 51-108].
- 강관식. 진경시대 초상화 양식의 이념적 기반. [최완수 편; 우리문화 황금기 진경시대 2; 예술과 예술가들, 서울, 돌베개, 2008; 261-318].
- 강관식. 조선시대 초상화의 도상과 심상, 미술사학, 2001; 15: 7-55.
- 강명관. 조선후기 여항문학연구, 서울, 창작과비평사, 1997.
- 이주현. 화가의 자화상; 18세기 양주 화파의 작품을 중심으로, 미술사 연구, 2006; 20: 57-81.
- 정석범. 조선후기 서양화풍 초상화와 유가적 자아, 미술사 연구, 2007; 21: 167-202.
- 이성미. 조선시대 그림속의 서양화법, 서울, 소와당, 2008.
- 김영나. 화가와 초상화, 미술사 연구, 2006; 20: 7-28.
- 박은순. 공재 윤두서; 조선후기선비 그림의 선구자, 서울, 돌베개, 2010.
- 홍성윤. 우봉 조희룡 회화관, 미술사 연구, 2007; 21: 79-106.
- 이성혜. 조선의 화가 조희룡, 서울, 한길아트, 2005.
- 조희룡[실시학사 고전문학연구회 역]. 조희룡전집 I-VI, 서울, 한길아트, 1999.
- 오주석. 단원 김홍도, 서울, 솔 출판사, 2008; 165-174.
- 오주석. 단원 김홍도의 생애와 예술. [최완수 편 ; 우리문화의 황금기, 진경시대 2; 예술과 예술가들, 서울, 돌베개, 2008; 149-216].
- 오주석. 단원 김홍도; 조선적인 너무나 조선적인 화가, 파주, 열화당, 2004.
- 유봉학. 경화사족의 사상과 진경문화. [최완수 편; 우리문화 황금기, 진경시대 1; 사상과 문화, 서울, 돌베개, 2008;81-110].
- 유봉학. 조선후기풍속화 변천의 사회, 사상적 배경. [최완수 편 ; 우리문화의 황금기 진경시대 2; 예술과 예술가들, 서울, 돌베개, 2008; 217-260].
- 유흥준. 화인 열전 1, 서울, 역사비평사, 2008.
- 유흥준. 화인 열전 2, 서울, 역사비평사, 2008.
- 이준구, 강호성. 조선의 화가, 서울, 스타북스, 2007.
- 정옥자. 조선후기의 문풍과 진경시문학. [최완수 편; 우리문화의 황금기, 진경사대 1; 사상과 문화, 서울, 돌베개, 2008;45-80].
- 조정육. 가을 풀잎에서 메뚜기가 떨고 있구나, 서울, 고래실, 2002.
- Sullivan P, McCarthy J.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and Activity in the context od Artists making Art. Mind, Culture, and Activity 2007; 14: 235-52. https://doi.org/10.1080/10749030701623698
- Baloff H. The eye and the me: self-portraits of eminent photographers. Philosophical Psychology 1988; 1: 295-311. https://doi.org/10.1080/09515088808572946
- Patrick U, Heather O, Rose MH. Self-Portraits: possible selves in European-American, Chilean, Japanese and Japanese-American cultural contexts. Self and Identity 2004; 3: 321-38. https://doi.org/10.1080/13576500444000100
- McMurray J. Self-portraits. Activities, adaptation and aging, 1989; 14: 51-4.
- Zaidel DW. Art and brain: insight from neuropsychology, biology and evolution. J Anatomy 2009; 216: 177-83.
- Bhattacharya J, Petsche H. Drawing on mind's canvas: differences in cortical integration patterns between artists and non-artists. Hum Brain Mapp 2005; 26: 1-14. https://doi.org/10.1002/hbm.20104
- Ross DA, Hancock PJB, Lewis MB. Changing faces: direction is important. Visual Cognition 2010; 18: 67-81. https://doi.org/10.1080/13506280802536656
- Laeng B, Overvoll M, Steinsvik OO. Remembering 1500 pictures: the right hemisphere remembers better than the left. Brain and Cognition 2007; 63: 136-44. https://doi.org/10.1016/j.bandc.2006.10.009
- Pruessner JC, Baldwin MW, Dedovic K, Renwick R, Mahani NK, Lord C, et al. Self-esteem, locus of control, hippocampal volume, and cortisol regulation in young and old adulthood. NeuroImage 2005; 28: 815-26. https://doi.org/10.1016/j.neuroimage.2005.06.014
- Cytowic RE, Wood FB. SYNESTHESIA, I. A review of major theories and their brain basis. Brain and Cognition 1982;1:23-35. https://doi.org/10.1016/0278-2626(82)90004-5
- Mulvenna CM. Synaesthesia, the Art and Creativity: A Neurological Connection. In: Bogousslavsky J, Hennerci(eds): Neurological Disorders in Famous Artists, Part-2, Basel, Karger 2007; 206-22.
- Blanke O. I and Me: self-portrait in brain damage. In: Bogousslavsky J, Hennerci MG(eds): Neurological Disorders in Famous Artists, Part-2, Basel, Karger, 2007; 14-29.
- Blanke O.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the self in autoscope phenomena and self-portraiture. Swiss, Arch Neurol Psychiatry 2005; 156: 173-88. https://doi.org/10.4414/sanp.2005.01602
- Blanke O, Mohr C. Out-of-body experience, heautoscopy, and autoscopic hallucination of neurological origin: implications for neurocognitive mechanisms of corporeal awareness and self consciousness, Brain Res Rev 2005; 50: 184-99. https://doi.org/10.1016/j.brainresrev.2005.05.008
- Giummarra MJ, Gibson SJ, Georgious-Karistianis N, Bradshaw JL. Mechanisms underlying embodiment, disembodiment and loss of embodiment, Neurosci Biobehav Rev 2008; 32: 143-60. https://doi.org/10.1016/j.neubiorev.2007.07.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