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산마늘 자생지의 임분구조와 식물종의 연관

Forest Stand Structure and Interspecific Association in the Habitats of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 김혜진 (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윤춘원 (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도은수 (중부대학교 한방제약학과) ;
  • 장준복 (중부대학교 한방제약학과) ;
  • 최명석 (경상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 ;
  • 양재경 (경상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 ;
  • 박희권 (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신학섭 (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이서희 (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배관호 (경북대학교 생태환경시스템학부) ;
  • 조현제 (한국산림생태연구소)
  • Kim, Hye-Jin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Yun, Chung-Weon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Doh, Eun-Soo (Department of Herbal Pharmaceutical Science, Joongbu University) ;
  • Chang, Jun-Pok (Department of Herbal Pharmaceutical Science, Joongbu University) ;
  • Choi, Myung-Suk (Division of Environmental Forest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Yang, Jae-Kyung (Division of Environmental Forest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Park, Hee-Kwon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Shin, Hak-Sub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Lee, Seo-Hui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Bae, Kwan-Ho (School of Ecology & Environment system,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Cho, Hyun-Je (Korea Forest Ecosystems Institute)
  • 투고 : 2011.05.26
  • 심사 : 2011.07.07
  • 발행 : 2011.12.31

초록

본 연구는 울릉도와 함백산의 산마늘 개체군 자생지를 대상으로 48개의 조사구($10m{\times}10m$)를 설치하여 임분구조를 밝히고자 식생유형을 분류한 다음, 각 유형별 중요치, 종다양도, 종간연관관계, 군집유사도를 분석하여 임분구조 특성을 밝혔다. ZM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종조성에 의해 식생유형을 분석한 결과, 1개군락군 2개군락 2개군 3개소군으로 총 5개의 식생단위로 나누어졌으며, 층위별 중요치를 분석한 결과, 너도밤나무군(식생단위 1, 2, 3)에서 산마늘의 중요치가 비교적 높았으며, 낙엽활엽수가 우점하는 단위에서 산마늘의 중요치가 높게 나타났다. 종간연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산마늘과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종은 계곡성 식물종과 아고산대 식물종이었고, 산마늘이 생육하는데 있어 토습과 공중습도가 중요한 환경요인으로 판단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scribe forest stand characteristics of the habitats of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population from the ecological analysis of classification of vegetation types, importance values, species diversity, interspecific association and community similarity in Ulleung Island and Mt. Hambaek, in which investigated by 48 plots ($10m{\times}10m$). The vegetation studied was classified into 1 community group, 2 communities, 2 groups and 3 subgroups for a species unit and divided by 5 units for a vegetation unit. In the Fagus engleriana group (vegetation unit 1, 2 and 3), importance value of A.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in herb layer showed relatively higher value than other units. Importance value of A.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in herb layer had higher value. In the analysis of interspecific association, most of the species associated positively to A.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belonged to habitat features of valley area and sub-alpine zone. Therefore, it was considered that the growing environment of A.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population was closely correlated to soil moisture and air humidity.

키워드

참고문헌

  1. 국립수목원, 한국식물분류학회. 2007. 국가표준식물목록.
  2. 권기원, 김길남, 조민석. 2009. 광도 변화에 따른 산마늘, 곰취, 곤달비의 생리적 반응. 한국임학회지 98(1):106-114.
  3. 기상청. 2010. http://www.kma.go.kr/.
  4. 김용식, 강기호, 배준규, 김종근. 1988. 설악산국립공원내설악지역의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1(4): 407-414.
  5. 김용식, 전승훈, 강기호. 1996. 오대산 국립공원지역의 관속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9(2): 77-98.
  6. 김지홍, 이돈구, 김진수, 이경준, 현정오, 황재우, 권기원. 1933. 참나무 천연림의 임분구조에 대한 해석. 한국임학회지 82(3): 235-245.
  7. 도은수, 장준복, 길기정, 최명석, 양재경, 윤충원, 정선미, 정윤혜, 이건희. 2011. 산마늘 발효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세포독성.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4(1): 30-39.
  8. 서종택, 김원배, 김병현, 김정간, 이우철, 유기억. 1994. 산마늘의 자생지 환경 및 생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원예학회지 12(2): 60-61.
  9. 신현탁, 이명훈, 윤정원, 유지현, 이병천, 박은희. 2010. 지리산 국립공원의 희귀특산식물 분포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2): 174-178.
  10. 이중효, 조현제, 이병천, 오승환, 배관호. 2007. 울릉도 성인봉지역의 산림식생유형과 생장특성. 한국농림기상학회지 9(1): 37-48.
  11. 이중효, 홍성천. 2006. 울릉도 산림식생유형과 생활형조성. 한국임학회지 95(3): 282-290.
  12. 이창복. 2003. 원색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pp. 910.
  13. 이창헌, 박성학. 2008. 장수 팔공산 일대의 식물상 및 식생.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2(4): 27-38.
  14. 정진철, 옥현층, 허온숙, 김층국, 김승열, 김원배. 2005. 산마늘의 식품 성분과 수확 후 생리적 특성. 한국원예학회지 23(2): 164-169.
  15. 최정호. 2001. 인공피음이 주요수종의 생장 및 수분특성과 광합성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PP. 152.
  16. 최종원, 이경태, 김원배, 박광균, 정원윤, 이진하, 임상철, 정현주, 박희준. 2005. 식이성 고지혈 및 비만에 대한 산마늘 추출물 효과. 한국생약회지 36(2): 109-115.
  17. 홍문표, 이호준, 전영문, 홍보람. 2010. 강원도 설악산의 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4(4): 436-486.
  18. Agnew, A.D.Q. 1961. The ecology of Juncus effusus L. in North Wales, Journal of Ecology 49: 83-102. https://doi.org/10.2307/2257425
  19. Allen, R. 1988. Latitutional variation in southern Rocky Mountain Forests. Ph. D thesis.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20.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 vegetation 3. Auf. Springer-Verlag. Wien. New York. pp. 865.
  21. Brower, J.E. and Zar, J.H. 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Publishers. Zowa. pp. 184.
  22. Curtis, J.T. and McIntosh, R.P. 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476-496. https://doi.org/10.2307/1931725
  23. Ellenberg, H. 1956. Aufgaben and Methoden der Vegetationskunde. Stuttgart. pp. 136.
  24. Jeong, M.J., Song, H.J., Doh, E.H., Chang, J.P., Yang, J.K. and Choi, M.S. 2010. Development of porpagation method from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Commonwealth Forestry Association. 12(5): 153-153.
  25. Shanon, C.E. and W. Weaver.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26. Walter, H., E. Harnickell and D. Mueller-Dombois. 1975. Climate-diagram maps. Springer-Verlag. Berlin. pp. 36.
  27. Yang, J.K., Kim, J.S., Jung, J.Y., Jeong, M.J., Song, H.J., Do, E.S., Chang, J.P., Chandrakant S. Karigar and Choi, M.S. 2010. The habitat influences the composition of minerals and amino acids in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Wild Garlic).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9(5): 762-7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