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Revegetation Measures using Boring Technique in Rock Slopes - Focus on Lespedeza cyrtobotrya -

암반비탈면에 있어서 천공기법에 의한 녹화공법의 개발 - 참싸리를 중심으로 -

  • Ma, Ho-Seop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Division of Forest Environment Science (Institute of Agriculture Llife Science)) ;
  • Kang, Won-Seok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Division of Forest Environment Science (Institute of Agriculture Llife Science)) ;
  • Park, Jin-Won (Special Cooperation Korean Association of Soil and Water Conservation)
  • 마호섭 (경상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농업생명과학연구원)) ;
  • 강원석 (경상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농업생명과학연구원)) ;
  • 박진원 (특수법인 사방협회)
  • Received : 2011.05.24
  • Accepted : 2011.09.06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early revegetation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germination and growth of Lespedeza cyrtobotrya using boring technique in rock slopes. After making up a growing basis of approximately 20 cm depth and 10 cm diameter by using a boring machine, the surface of rock slopes was planted with vegetation-plant. The number of germinating populations by soil media was 23 in H.s, 22 in T.s, 12 in M.s, and 1 in M.g.s. The germination rate (%) by soil media was 19.2% in H.s, 18.3% in T.s, 10.0% in M.s and 0.8% in M.g.s. In monthly changes of growth rate, the aspect was northwest direction, the soil media was M.s, and the treatment was microorganism plot. The main factors affecting survivorship and growth of population were soil media and treatment plot. The interaction between each factor had a good effects in bearing ${\times}$ soil media, bearing ${\times}$ treatment plot, soil media ${\times}$ treatment plot. but, it is recommended that the mulching of vegetation plant is highly needed to help the germination of seed and growth of vegetation because of loss of seed and soil media occurred due to rainfall. Therefore, The result suggests that the revegetation technique using boring in rock slope was very efficient in respect of the early revegetation and the landscape.

암반비탈면에 천공기법을 이용하여 녹화기반을 조성한 후 배양토 및 토양처리별 식생플랜트를 설치하고 녹화식물의 초기 생육특성을 조사하여 암반비탈면의 녹화 공법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였다. 녹화기반 조성 후 배양토별 참싸리(L. cyrtobotrya)의 배양토에 따른 발아량은 산림부식토 23개체(19.2%), 산림표층토 22개체(18.3%), 혼합토 12개체(10.0%), 일반상토 1개체(0.8%)의 순으로 총 58개체가 나타났다. 월별 생장량의 변화 결과, 비탈면 방향은 북서방향, 배양토는 혼합토, 토양처리는 미생물처리가 참싸리의 생장량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었다. 생존 개체수와 생장량의 주 효과는 비탈면 방위, 배양토, 토양처리이며, 각 요인 간 상호작용 효과는 비탈면 방위 ${\times}$ 배양토, 비탈면 방위 ${\times}$ 토양처리, 배양토 ${\times}$ 토양처리가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탈면방위 ${\times}$ 배양토 ${\times}$ 토양처리의 상호작용 효과도 매우 커 참싸리의 월별 생장량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암반비탈면의 효과적인 녹화를 위해서는 천공지점의 선정이 매우 중요하고, 식생플랜트내 배양토 및 종자의 유실을 보호하고 조기 발아를 위하여 미생물 및 멀칭처리 등도 매우 필요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훈, 김학영, 황애민, 이승은. 1999. 암비탈면 녹화용 환경친화적 PEC4 공법의 시공.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2(4): 64-73.
  2. 김경훈, 우보명. 1999. 비탈면 녹화용 재료로서 산림 표층토의 적정 채취시기 및 이용방법.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2(2): 53-61.
  3. 김남춘. 1997. 사면 녹화 공사용 자생목본식생의 파종적기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5(1): 73-82.
  4. 김남춘, 석원진, 남상준. 1998. 비탈면의 조기식생녹화를 위한 식물배합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6(3):8-18.
  5. 김동엽, 나용규. 2002. 인공지반녹화지에서의 인공토양 내 토양미생물 활동. 2002년 한국임학회 학술연구 발표논문집. pp. 59-61.
  6. 김홍수. 2002. 임도 비탈면의 속성 녹화기술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40.
  7. 남상준, 김남춘. 1998. 자연표토 복원공법에 의한 암비탈면의 한국잔디와 목본 류 종자파종에 의한 녹화.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1(1): 141-150.
  8. 마호섭, 박진원, 김용철. 2005. 종자뿜어붙이기공법에 의한 임도비탈면의 식생회복. 경상대 학술림연구보고 15:41-50.
  9. 박병익, 박종민. 1987. 폐석퇴적지 사면의 녹화공법에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18: 68-77.
  10. 안태석, 조현길, 안태원, 김지호, 정경진, 김미경. 2004. Eco-stone을 이용한 사면녹화공법에 관한 연구 -식재식물종의 처리구간 생장상태를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7(2): 87-95.
  11. 우보명. 1974. 황폐산지의 속성녹화공법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24: 1-24.
  12. 우보명. 1975. 조경녹화사방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28(1): 67-96.
  13. 우보명. 1978. 암벽면녹화공법개발에 관한 연구 (1) -담쟁이덩굴류의 이용성개발-. 한국임학회지 37: 1-16.
  14. 우보명. 1983. 道路비탈면의 景觀安定을 위한 基本모델 選定에 관한 硏究. 韓國林學會誌 61: 69-79.
  15. 유택규, 이천용, 1982. 암석노출지의 녹화방법에 관한 연구 -도로변 절개지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9(2):13-18.
  16. 전기성, 우보명. 1996. 녹화용 자생 목본식물과 초본식물종자의 혼파처리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85(2):271-279.
  17. 전기성, 우보명. 1999. 사면 녹화용 외래초종과 재래 목.초본식물의 적정 파종량 및 혼파비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2): 33-42.
  18. 전권석, 마호섭. 2004. 시간경과에 따른 임도 절토비탈면의 식생피복도 변화.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7(3):14-25.
  19. 정인구. 1973. 니암지대황폐림지의 지피식생 조성방법에 관한 연구 -니암특성과 조기녹화-. 한국임학회지 19: 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