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User's Evaluation on the Supdari in Jeonju-River through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전주천 섶다리의 주민의식 및 이용성취도 평가 - 중요도-성취도분석을 중심으로 -

  • Kim, Sang-Wook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Wonkwang University)
  • 김상욱 (원광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환경조경학과)
  • Received : 2011.06.28
  • Accepted : 2011.08.16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user's attitude to the supdari(a traditional wooden bridge) itself and the supdari project, and evaluated the quality of user's satisfaction of the bridge in Jeonju-River by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User's evaluation was achieved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and total 267 pieces of subject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supdari users didn't realize the supdari construction was performed as a governance project, and didn't consider the supdari as one of landmarks of Jeonju-River. But local people thought that the supdari is one of the traditional and cultural facilities to reminds their hometown's landscapes and the supdari project can make the community network vitalize. Through the IPA, attributes with relative dissatisfaction were 'landscape facilities like small squares and rest area', 'safety facilities like handrails and guardrails' and width of the supdari. To make the supdari as a traditional landmark in Jeonju-River, an open space based on the tradition and ecological education has to be constructed near the bridge. And in the supdari design, especially handrails system and the bridge width has to be improved to enhance the user's safety.

본 연구는 전주천 여울목 섶다리를 대상으로 하여 섶다리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의식 및 이용 성취도를 조사함으로써, 섶다리가 전통문화의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상징물로서 또한 주민편의를 위한 생활시설로서 자리매김하기 위한 요건들은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섶다리에 대한 인지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일상에서의 섶다리 이용에 대한 지역주민의 성취도 분석을 위해서는 중요도-성취도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을 연구방법으로 채택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주민들은 섶다리사업이 민관협력 사업임을 정확히 인식하지는 못하고 있었으며, 섶다리 축제에 대한 참여도 또한 낮게 나타났다. 하지만 섶다리 이용자들은 섶다리를 고향마을의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전통문화시설로 인식하였으며, 이러한 사업이 지역의 공동체성 회복에 기여할 것으로 답변하였다. 하지만 섶다리를 전주천의 랜드마크로 인식하고 있지는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섶다리의 이용과 관련한 14개 항목에 대한 IPA 분석 결과, 중요도는 높지만 성취도는 낮아 반드시 개선이 필요한 항목은 섶다리 주변 조경시설, 섶다리의 폭원, 경고안내판 및 통제시설 및 섶다리 난간 등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섶다리 및 주변공간의 장소성 부여를 위해 향후 섶다리와 연계하여 전통문화 및 생태교육을 담을 수 있는 광장과 같은 공간의 조성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섶다리를 건너거나 경관 및 생태자원 감상에 있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설계 및 시공방안이 마련되어야 하겠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상오(2006). 내장산 국립공원 자연관찰로의 자기안내식 해설판 디자인 속성에 대한 중요도-성취도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2): 159-169.
  2. 김상오(2005). 등산로 관리상태에 대한 구간별 중요도-성취도 분석결과 비교. 한국임학회지. 94(6): 351-361.
  3. 김상욱, 김길중(2010). 적극적 주민참여를 통한 전통문화시설 복원 성공요인 분석.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1): 93-101.
  4. 김종선, 오교선, 김세빈(2010). 한밭수목원 산책로에 대한 이용객 평가: 중요도-만족도 분석(ISA)을 중심으로. 한국임학회지. 99(3): 404-413.
  5. 서응철, 심규원, 이주희(2002). 탐방객 특성에 따른 국립공원 시설물의 중요도-성취도 연구: 가야산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한국산림휴양학회지. 6(1): 63-71.
  6. 박상현, 곽대영, 정병운(2008). 관광축제의 중요도-만족도 분석(ISA)과 인구통계적 비교평가: 보령 머드축제를 대상으로. 관광학연구. 32(4):145-166.
  7. 윤선영(2005). 중요도-성취도분석을 이용한 테마파크 이벤트 프로그램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관광경영학연구. 23: 235-255.
  8. 이동근, 김보미(2010). 순천만 자연생태공원 관리를 위한 중요도․만족도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7(6): 39-47.
  9. 조우, 유기준(2007). 소백산국립공원 탐방로 보행시설에 대한 탐방객과 전문가 평가에 관한 연구: 희방사-연화봉 구간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1(1): 13-21.
  10. 조우, 최송현, 유기준(2009a). 변산반도국립공원 탐방객의 환경해설 매체 이용평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3(2): 127-134.
  11. 조우, 유기준, 최송현(2009b).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한 숲길 보행시설에 대한 이용객 평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3(1): 78-89.
  12. Martilla, J. and J. C. James(1977).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41: 13-17. https://doi.org/10.2307/1250226
  13. Taplin, R. H.(2011). Competitiv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an Australia wildlife park, Tourism Management, doi:10.1016/j.tourman.2011.01.020
  14. Tonge, J. and H. Moore(2007).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for marine-park hinterlands: A Western Australia case study, Tourism Management. 28: 768-776. https://doi.org/10.1016/j.tourman.2006.05.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