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Yijing and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through the Analysis of Poems in Changdeokgung's Rear Garden

창덕궁 후원의 시문분석에 의한 의경(意境)과 경관 특성

  • Son, Yong-Hoo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hiba University) ;
  • Ham, Kwang-Mi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of Horticulture, Chiba University)
  • 손용훈 (치바대학교 조경학과) ;
  • 함광민 (치바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Received : 2011.08.02
  • Accepted : 2011.08.31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Changdeokgung's rear garden with the idea of Yijing(意境) the way to have a sense of an imaginative object. A term of Jing(境) in Yi-jing means a boundary of man's consciousness. On the boundary of consciousness for an imaginative object, there is a situation of man's emotion to be called Qingjing(情境) to meet an object, and beyond Qingjing, there is Yijing, a consciousness of the idea and the truth. The Structure of the Yijing is an analytical framework in this study. It is clarified that the idea of Yijing and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changdeokgung's rear garden to analyze works of kings and related historical documents. In result, there were three kings named Injo, Sukjeong and Jeongjo who played big roles to develop the rear garden. First, Injo had built physical structure of the rear garden, the second Sukjong enjoyed Qingjing with composing the poems of Sangrimshipkyoung(上林十景), Jeongjo clearly had made a boundary of idea of Yijing broaden. It is an effective way to interpret imaginative characteristics of our traditional landscape through the concept of Yijing the useful way to understand and systemize a subject of idealistic consciousness.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의적 대상에 대한 해석방법으로서 의경(意境) 개념을 사용하여 창덕궁 후원의 경관 특성을 해석하는 것이다. 의경에서 경(境)은 경계를 의미하며, 사물을 인식하는 범주이다. 사의적 대상에 관한 인식의 범주는 감정적인 면을 대상으로 하는 정경이 있으며, 이보다 확대되어 진리 혹은 이상의 정신적 대상을 포함하는 의경의 단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의경의 구조를 분석 틀로 하였으며, 조영 주체인 왕의 행적과 고전을 중심으로 창덕궁 후원의 의경과 경관 특성을 명확히 하였다. 연구결과, 창덕궁 후원 조영에 있어서 인조, 숙종, 정조 세 왕이 깊게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인조는 후원 조영의 물리적 기반을 닦았고, 숙종은 상림십경(上林十景)을 통해 후원의 정경을 향유하였으며, 정조는 학식과 정치적 비전에 관한 뜻을 후원에 투영하여 의경의 범주를 넓혔다. 의경 개념은 정신적 대상의 범주를 체계화하고 이해하는데 유용한 사고방법으로, 형태보다 정신적 대상을 중시한 우리나라 전통조경의 효과적인 해석 방법론이라 하겠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영모(1998). 전통공간의 구성원리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김현미(2011). 조선시대 별서정원 소쇄원의 意境양상 분석.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다산시문집 제4권, 제14권.
  4. 류명희(1994). 敦煌歌辭의 意境硏究. 人文論叢. l43(1): 1-21.
  5. 문화재청(2007). 궁궐의 현판과 주련. 서울: 수류산방.
  6. 박희성(2011). 원림, 경계 없는 자연 중국정원에서 만난 선과 차, 사대부와 의경.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7. 백지성(1996). 창덕궁 후원 어수당 구역의 공간 구성과 식재에 대하여 동궐도를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2(1): 15-29.
  8.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http://e-kyujanggak.snu.ac.kr
  9. 서울학연구소(1994). 궁궐지1: 경복궁, 창덕궁. 서울시립대학교부설 서울학연구소.
  10. 성범중(1993). 韓國漢詩의 意境設定方法과 樣相에 대한 硏究: 朝鮮時代詩話集所載詩를 資料로 하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세조실록 권26, 권47.
  12. 숙종실록 권24.
  13. 신상섭(2011). 안평대군 비해당(匪懈堂) 원림의 의미경관과 조경문화.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9(1): 28-37.
  14. 심우경, 지정섭(1994). 조선시대 궁궐의 조경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궁궐도를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2(2): 23-32.
  15. 안장리(2007). 조선시대 왕의 八景향유 양상. 東洋學. 42: 43-65
  16. 양창석(2010). 중국산수화의 의경(意境)에 관한 연구. 美術敎育論叢. 24(2): 175-199.
  17. 연산군일기 권50, 권58, 권61.
  18. 이유직(1987). 조선시대 궁원의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상징성 해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이유직(1996). 중국정원의 미학: 조영과 감상의 미적경계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4(3): 79-95.
  20. 이혁종, 최기수(2009). 園林속 洞天의 경관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4): 103-115.
  21. 임미숙(2004). 意景說의 形成過程과 美學特徵에 관한 硏究.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송동현(2005). 조선시대 궁궐건축의 현판구성과 상징성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전인순(1989). 조선시대 궁원의 조경요소에 깃든 종교적 사상적 배경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정조실록 권2, 권34, 권42
  25. 조재모(1997). 창덕궁의 성장 배경과 배치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정우진, 심우경(2011). 창경궁 후원 이용의 역사적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9(1): 71-89.
  27. 진상철(1995). 思想體系로 본 朝鮮時代宮闕의 造景樣式. 서울학 연구 5: 239-278.
  28. 최종덕(2006). 조선의 참 궁궐 창덕궁. 서울: 눌와.
  29. 탁영란, 김순애, 김태경, 윤이화(2009). 경관 지각의 구조 모형 분석 한국 전통정원 경관을 대상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1): 98-107.
  30. 태종실록 권11, 권27.
  31. 한국고전번역DB. http://db.itkc.or.kr
  32. 한영우(2003). 창덕궁과 창경궁. 서울: 열화당.
  33. 홍재전서 권1, 권4, 권6.
  34. Macdonell, A. A(1929). A Practical Sanskrit Dictionary with Transliteration, Accentuation, and Etymological Analysis Throughout. London: Oxford.
  35. 谷光燦(2010). 中国古典園林における意境と空間要素の関係に関する研究.千葉大学大学院. 環境計画学. No. 20. 千葉大学園芸学部緑地環境学科都市環境デザイン研究室.
  36. 金學智(1999). 蘇州園林. 蘇州: 蘇州大學出版社.
  37. 大東文化大学人文科学研究所(2003) 中国美学範疇辞典訳注. 東京.
  38. 盛翀(2009). 江南園林意境. 上海: 上海交通大學出版社.
  39. 新村出(1955). 広辞苑第二版. 東京: 岩波書店.
  40. 葉朗(1985). 中國美學史大綱. 上海: 上海人民出版社.
  41. 王國維저 류창교 역주(2004). 세상의 노래비평, 人間詞話. 서울: 소명출판.
  42. 王福兴(2004). 试论中国古典园林意境的表现手法. 中國園林. 43-44.
  43. 宗白華(1981). 美學散步. 上海: 上海人民出版社.
  44. 陣從周(1985). 說園. 廣州: 花城出版社.
  45. 彭一剛(1984). 中國古典園林分析. 中國建築工業出版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