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olution for Repairing Trees and Structure of Gwanghallu Garden

광한루원의 수목 및 구조물 정비 방안

  • Paek, Chong-Chul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Sungkyunkwan University) ;
  • Kim, Hak-Beom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1.03.07
  • Accepted : 2011.06.28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Located in Namwon-si, Jeonlla Bukdo, Gwanghallu Garden is created around Gwanghallu, which was a government office in the period of Joseon Dynasty and shows its looks as a government office building of the times. However, Gwanghallu Garden is recognized rather as a background site of Chunhyangjeon, representing a local culture, than the features and picture as a government office garden in the period of Joseon Dynasty because Gwanghallu appeared as the background of Chunhyangjeon in its Chinese character script and, after 1930s, Chunhyang Sadang was built up and Chunhyang Festival held, and it's recognized rather as a site for arousing national consciousness and cherishing Chunhyang for its integrity in the Japanese ruling era of Korea than as a government office building in the period of Joseon Dynasty. With it being more recognized as the background of Chunhyangjeon than an ancient government office building, Gwanghallu has been managed as a private house garden or event place of folk festival as the background of Chunhyangjeon than preserved and managed as ancient government office building, and now the looks and features as a garden of government office are hardly seen because of indiscriminate trees and making of structure and spaces. Therefore, to preserve and maintain Gwanghallu Garden as the garden of government office in the period of Joseon Dynasty, it's required to survey the trees, structure and spaces created in Gwanghallu Garden and compare the true condition with its original looks by studying its literature and it's suggested that the garden area created around Gwanghallu should be repaired and managed by separation from as the background of Chunhyangjeon. Such means of management may keep the looks of Gwanghallu as the ancient office garden while Chunhyangjeon can also settle down as a local culture in the background.

전라북도 남원시에 위치한 광한루원은 조선시대 관아건축물인 광한루를 중심으로 주변에 조성된 정원과 함께 조선시대 대표적인 관아정원의 모습을 보여주는 장소이다. 그러나 광한루원은 현재 조선시대 관아정원으로서의 특성과 이미지보다는 지역문화인 춘향전의 배경 장소로서의 인식이 높은데, 이는 춘향전의 한문본인 "광한루기"에 광한루가 춘향전의 배경장소로서 나타났기 때문이며, 1930년대 이후 춘향사당의 건립과 춘향제가 열리면서, 조선시대 관아건축물로서의 인식보다는 일제강점기 시절 민족의식 고취와 춘향의 절개를 추모하는 장소로서 활용되었기 때문이다. 관아건축물로서의 인식보다는 춘향전의 배경장소로서의 인식이 높아지며 관아정원으로서 보전, 관리되기 보다는 춘향전의 배경장소로서 민가주택정원이나 지역문화 행사장으로서 관리되면서 무분별한 수목의 식재와 구조물 조성, 공간구성에 의해 관아정원으로서의 특성을 찾아보기 힘들게 되었다. 따라서 광한루원을 조선시대 관아정원으로서 보전, 관리해 가기 위해서는, 현재 광한루원에 조성된 수목, 구조물, 공간구성 등을 조사하고, 이를 문헌분석을 통해 파악된 광한루원의 원형과 비교, 분석하여, 광한루를 중심으로 조성된 관아정원 지역과 춘향전의 배경장소를 구분하여 정비, 관리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광한루원은 관아정원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며, 전통공간인 광한루를 중심으로 펼쳐진 춘향전은 전통의 맥을 잇는 지역문화로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봉진(1971). 남원 광한루 실측보고. 대한건축학회지. 15(40): 44-49.
  2. 김대열(2008). 우리나라 명승 지정 확대방안 연구: 한국과 일본 명승자원 유형분석을 중심으로. 한경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민주(2011). 조선시대 관아 누각의 건축 특성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영만(2001). 민속축제의 문화관광상품개발 전략에 관한 연구: 남원 춘향제를 중심으로. 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종국(2005) 지역축제가 지역발전에 미치는 영향: 전라북도 남원 춘향제를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종영(1988). 조선시대 관아건축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현숙(1992). 광한루기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남원문화원(1994). 남원의 명승과 고적. 남원시.
  9. 남원문화원(1995). 용성지. 남원시.
  10. 남원시(1994). 광한루원 보수정비 기본계획 및 기본설계. 남원시.
  11. 문화재청(2000). 광한루 - 실측조사보고서. 문화재청.
  12. 문화재청(2002). 광한루 - 수리보고서. 문화재청.
  13. 박찬용, 황상돈(1999). 조선시대 읍성의 관아정원에 관한 기초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7(3): 53-66.
  14.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ttp://e-kyujanggak.snu.ac.kr/
  15. 심우경, 박주성, 정용조(2010). 광한루원에 내재된 상상환경요소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1): 38-48.
  16. 양선아(2003). 남원의 토지이용 및 가로변천 연구: 조선후기 남원읍성을 기준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윤영활(1984). 이조시대와 현대에 있어서 정원수목의 선정과 추세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3): 251-262.
  18. 이은창(1984). 조선시대 관아원림 연구: 영호남지방의 관아원림 유적을 중심으로. 경상논집. 29: 185-256. 효성여자대학교.
  19. 임은주(2002). 한국의 자연관과 정원에 나타난 조형 의식: 조선 시대 정원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정동오(1996). 이조시대의 정원에 관한 연구: 호남지방의 고정원을 중 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 21-37.
  21. 정동오(1996). 춘향전을 중심으로 한 춘향의 집 주변 경관과 후원에 관한 고찰. 호남문화연구. 24: 49-70.
  22. 조성교(1975). 남원지. 남원군
  23. 홍광표, 이상윤, 정운익(2001). 한국의 전통수경관. 태림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