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luence of Subjective Oral Health Interest and Recognition in Academic Boys' High School Students upon Oral Health Practice in Some Regions

일부지역 인문계 남자고등학생의 주관적 구강건강관심도와 인지도가 구강건강실천에 미치는 영향

  • Lee, Hyun-Ok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Wonkwang Health Sciene College) ;
  • Chun, Ju-Yean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Wonkwang Health Sciene College)
  • Received : 2011.01.04
  • Accepted : 2011.02.21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ffer information in order to induce and practice forming right oral health habit by grasping oral health practice according to subjective oral health interest and recognition in Academic Boys' High School students. Targeting students of Academic Boys' High School where is located in Jeollabuk-do from May 20, 2010 to June 20,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by convenience sampling.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that the collected data was carried out statistical analysis by using SPSS 12.0 program. 1. Among factors of oral health practice according to oral health interest level, toothbrushing was the highest with 3.89 points. It was in order of education and interest with 3.18 points, diet control with 2.93 points, a regular visit with 2.69 points, and the practice of oral hygiene device with 2.12 points. 2. Among factors of oral health practice according to subjective oral health recognition level, toothbrushing was the highest with 3.89 points. It was in order of education and interest with 3.17 points, diet control with 2.93 points, a regular visit with 2.69 points, and the practice of oral hygiene device with 2.12 points. 3. In correlation between subjective oral health recognition level and oral health practice factor, the more recognition of being healthy in the subjective oral health recognition level led to the higher oral health practice level(p<0.01). 4. As for influence of oral health practice factor upon subjective oral health recognition level, the subjective oral health recognition was high in a group of practicing toothbrushing(p<0.01) and of visiting dental clinic regularly(p<0.05).

본 연구는 인문계 고등학생의 주관적 구강건강관심도와 인지도에 따른 구강건강 실천도를 파악하여, 올바른 구강 건강 습관형성을 유도하고 실천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2010년 5월 20일부터 6월 20일까지 전라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일부 인문계 고등학교 남학생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에 의한 자기기입식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주관적 구강건강관심도는 관심이 있다가 52.3%, 보통이다는 32.6%, 관심없다는 14.9%였고, 인지도는 건강하다가 42.6%, 보통이다가 44.9%, 건강하지 않다는 12.7%였다. 2. 치과방문경험은 92.6%이었으며, 방문이유는 충치치료가 69.2%로 가장 많았다. 3. 구강건강 관심도에 따른 구강건강실천 요인 중 잇솔질이 3.89점으로 가장 높았고, 교육 및 관심은 3.18점, 식이조절은 2.93점, 정기적인 방문은 2.69점, 구강위생용품의 실천은 2.12점의 순이었다. 4. 주관적 구강건강인지도에 따른 구강건강실천 요인 중 잇솔질이 3.89점으로 가장 높았고, 교육 및 관심은 3.17점, 식이조절은 2.93점, 정기적인 방문은 2.69점, 구강위생용품의 실천은 2.12점의 순이었다. 5. 주관적 구강건강인지도와 구강건강실천 요인과의 상관관계에서 주관적 구강건강인지도를 건강하다고 인지할수록 구강건강 실천도가 높았다(p<0.01). 6. 주관적 구강건강인지도에 구강건강실천 요인이 미치는 영향은 잇솔질을 실천(p<0.01)과 정기적으로 치과를 방문(p<0.05)하는 집단에서 주관적 구강건강인지도가 높았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춘선, 이선미: 일부지역 중학생들의 구강건강인식, 지식 및 실천정도 분석. 치위생과학회지 8(3): 117-122, 2008.
  2. 보건복지부: 2006년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 서울, 보건복지부, 2007.
  3. 장기완 등: 구강보건교육학. 1판, 고문사, 서울, pp. 42, 2007.
  4. 김지화, 이정화: 공업계 남자고등학생들의 구강보건행태와 흡연이 구강에 미치는 영향. 치위생과학회지 10(2): 51-60, 2004.
  5. 유지수 등: 일부지역 고등학생의 구강건강행위에 관한 인식조사. 치위생과학회지 10(5): 411-416, 2010.
  6. 구강보건교재개발위원회 편: 공중구강보건학. 1판, 고문사, 서울, pp. 47, 2005.
  7. 백대일 등: 구강보건교육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보건복지부, 2001.
  8. 이현옥, 김진: 노인의 구강건강신념과 구강건강관리행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치위생과학회지 8(2): 57-63, 2008.
  9. 김혜영: 단문항 자기평가에 의한 주관적 구강건강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9(4): 496-505, 2005.
  10. 김종배 등: 공중구강보건학. 8판, 고문사, 서울, pp. 3, 2000.
  11. 이수옥: 한 대학병원 치과이용자들의 구강보건 인식, 지식 및 행동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보건대학원, 대전, 2005.
  12. 유미선, 구경미, 김정숙: 전북지역 일부 고등학생의 구강보건행태에 관한 연구. 치위생과학회지 9(2): 225-230, 2009.
  13. 이흥수, 윤영만, 오효원: 광주광역시 일부 여학생의 구강병에 기인한 활동제한. 대한구강보건학회지 31(2): 214-223, 2007.
  14. 유수민, 안금선: 고교생들의 구강보건의식 행태에 관한 연구. 치위생과학회지 3(1): 23-31, 2003.
  15. Gooch BF, Dolan TA, Bourque LB: Correlates of selfreported dental health status upon enrollment in the rand health insurance experiment. J Dent Educ 53(11): 629-637, 1989.
  16. Brunswick AF, Nikias M: Dentist's ratings and adolescents' perceptions of oral health. J Dent Res 54(4): 836-843, 1975. https://doi.org/10.1177/00220345750540042301
  17. Willits FK, Crider DM: Health rating and life satisfaction in later middle years. J Gerontol 43(5): S172-176, 1988.
  18. 이병진: 치아우식발생 고위험군 한국 청년의 구강건강증진 모형개발[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2006.
  19. 이선미: 대학생들의 구강건강증진행위와 관련된 요인 연구. 치위생과학회지 (6)3: 187-192,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