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교사용 다문화 교육실제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Development and Validity of Preschool Teacher's Multicultural Education Practices Scale

  • 유효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유아교육과) ;
  • 이채호 (성균관대학교 아동학과)
  • 투고 : 2011.03.31
  • 심사 : 2011.06.07
  • 발행 : 2011.06.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 교육실제 척도를 타당화 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탐색적 요인분석을 위한 서울지역의 유아교육기관 20곳에서 표집된 교사 200명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위한 서울, 경기 지역의 유아교육기관 40곳에서 표집된 교사 310명이었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본 척도는 다양한 민족알기, 다문화 유아와 상호작용, 다양한 문화알기의 3개 하위요인으로 총 13문항으로 개발되었다.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교육 실제척도의 신뢰도(Cronbach's ${\alpha}$)는 .87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에 대한 신뢰도는'다양한 민족 알기' .82, '다문화 유아와의 상호작용' .82, '다양한 문화 알기' .74로 나타났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 인식척도 모델의 적합도를 검증한 결과 RMSEA=.08, SRMR=.06, NNFI=.90, CFI=.92으로 나타나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 교육실제 척도가 적합한 도구임이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ulticultural education practice scale for preschool teachers and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cal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310 preschool teachers from Seoul and Gyeonggi.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actice scale for preschool teachers was consisted of 3 factors, 'multicultural national to understand', 'interactions with multicultural children' and 'multicultural culturally to understand' with 13 items. Cronbach's ${\alpha}$ was ranged from .74 to .82.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that RMSEA=.08, SRMR=.06, NNF=.90, and CFI=.92. All these results show tha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actice scale for preschool teachers is quite reliable and valid.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인적자원부(2007). 교사와 유아를 위한 유아사회교육활동자료. (2007). 종일반 특성화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유아 세계시민 교육활동 자료. (2007). 개정교육과정 세계여러나라 활동자료집.
  2. 김계수(2006). AMOS 구조방정식모형분석. 서울: 한나래.
  3. 김래경(2001). 반편견 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실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윤태(2009).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교육에 관한 인식 및 실제.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혜자(2009). 다문화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효능감 및 교육 실제.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노은영(2008). 다문화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교육 실제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문수백(2009). 구조방정식 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서울: 학지사
  8. 여성가족부(2009). 성별영향평가 심층과제 연구 결과보고서. 연구보고 2009-30.
  9. 유효순(2010). 유아용 다문화 인식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4(6), 133-150.
  10. 이미혜(2004). 다문화 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와 아버지의 인식 및 교육 실제 비 교.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이미혜(2004). 다문화 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와 아버지의 인식 및 교육실제 비교.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전덕수(2007). 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육에 과한 인식 및 실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정대현, 장지영(2009). 다문화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신념과 실제. 유아교육학논집, 13(1), 309-328.
  14. 정선희(1997). 다문화 교육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실태조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조미현(2005). 반편견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실태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통계청(2009). http://kosis.kr/nsportal/index/index.jsp.
  17. 채영란, 박희숙(2009).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학회지, 18(3), 571-581.
  18. 하숙현(2000). 다문화 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양육실제 연구조사. 성균관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한석실(2007). 다문화시대 유아교사교육의 방향 모색.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1), 29-53.
  20. 홍세희(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 161-177.
  21. Baker, G. C. (1994). Planning and organizing for multicultural instruction. LA: Addison-Wesley.
  22. Brown, S. C. (1993). Application of multicultural and global concepts in senior elementary intern's classrooms. Unpublished doctoral disseration,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Orlando.
  23. Brown,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Bollen & S. Long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pp.136-162). Newbury Park, NJ: Sage.
  24. Brown, S. C. & Kysilka, M. L. (2002). Applying multicultural and global concepts in the classroom and beyond. Boston, MA: Allyn and Bacon.
  25. Coopper, A. (1992). Student teacher self-assessment in multicultural education.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conference of the National Associatin for Multicultural Education, Orlando.
  26. Derman-Sparks, L., & the A. B. C. Task Forec. (1999). 반편견 교육과정(이경우, 이은화 역). 서울 창지사.
  27. Kaiser, H. F. (1974). An index of factorial simplicity. Psychometrika, 39, 31-36. https://doi.org/10.1007/BF02291575
  28. Neuman, S. B., & Rosko, K. (1994). Bridging home and school with a culturally responsive approach. Childhood Education, 71(1), 210-214.
  29. Nieto, S. (2000). Affirming diversity: The sociopolitical context of multicultural education. New York: Longman.
  30. Robertson, R. (1992). Globalization: Social theory and global culture. London: Sage Publication.
  31. Robinson, A. G. (1989). Culture conscious teaching: Case study approach. Community, Technical, and Junior College Journal, 60, 17-21.
  32. Swick, K. (1991). Perspectives on understanding and working with families. Champaign, IL: Stipes.
  33. Tiedt, P. L., & Tiedt, I. M. (1995). Multicultural education: A handbook of activities, information, and resources(4th ed.). Boston: Allyn and Bac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