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교육인적자원부(2007). 교사와 유아를 위한 유아사회교육활동자료. (2007). 종일반 특성화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유아 세계시민 교육활동 자료. (2007). 개정교육과정 세계여러나라 활동자료집.
- 김계수(2006). AMOS 구조방정식모형분석. 서울: 한나래.
- 김래경(2001). 반편견 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실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윤태(2009).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교육에 관한 인식 및 실제.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혜자(2009). 다문화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효능감 및 교육 실제.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노은영(2008). 다문화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교육 실제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문수백(2009). 구조방정식 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서울: 학지사
- 여성가족부(2009). 성별영향평가 심층과제 연구 결과보고서. 연구보고 2009-30.
- 유효순(2010). 유아용 다문화 인식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4(6), 133-150.
- 이미혜(2004). 다문화 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와 아버지의 인식 및 교육 실제 비 교.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미혜(2004). 다문화 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와 아버지의 인식 및 교육실제 비교.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전덕수(2007). 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육에 과한 인식 및 실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정대현, 장지영(2009). 다문화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신념과 실제. 유아교육학논집, 13(1), 309-328.
- 정선희(1997). 다문화 교육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실태조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조미현(2005). 반편견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실태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통계청(2009). http://kosis.kr/nsportal/index/index.jsp.
- 채영란, 박희숙(2009).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학회지, 18(3), 571-581.
- 하숙현(2000). 다문화 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양육실제 연구조사. 성균관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석실(2007). 다문화시대 유아교사교육의 방향 모색.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1), 29-53.
- 홍세희(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 161-177.
- Baker, G. C. (1994). Planning and organizing for multicultural instruction. LA: Addison-Wesley.
- Brown, S. C. (1993). Application of multicultural and global concepts in senior elementary intern's classrooms. Unpublished doctoral disseration,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Orlando.
- Brown,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Bollen & S. Long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pp.136-162). Newbury Park, NJ: Sage.
- Brown, S. C. & Kysilka, M. L. (2002). Applying multicultural and global concepts in the classroom and beyond. Boston, MA: Allyn and Bacon.
- Coopper, A. (1992). Student teacher self-assessment in multicultural education.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conference of the National Associatin for Multicultural Education, Orlando.
- Derman-Sparks, L., & the A. B. C. Task Forec. (1999). 반편견 교육과정(이경우, 이은화 역). 서울 창지사.
- Kaiser, H. F. (1974). An index of factorial simplicity. Psychometrika, 39, 31-36. https://doi.org/10.1007/BF02291575
- Neuman, S. B., & Rosko, K. (1994). Bridging home and school with a culturally responsive approach. Childhood Education, 71(1), 210-214.
- Nieto, S. (2000). Affirming diversity: The sociopolitical context of multicultural education. New York: Longman.
- Robertson, R. (1992). Globalization: Social theory and global culture. London: Sage Publication.
- Robinson, A. G. (1989). Culture conscious teaching: Case study approach. Community, Technical, and Junior College Journal, 60, 17-21.
- Swick, K. (1991). Perspectives on understanding and working with families. Champaign, IL: Stipes.
- Tiedt, P. L., & Tiedt, I. M. (1995). Multicultural education: A handbook of activities, information, and resources(4th ed.). Boston: Allyn and Bac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