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the Sludge Mixed Soil

슬러지 혼합토의 공학적 특성

  • 김정운 (청주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김명균 (청주대학교 환경조경토목공학부 토목환경공학전공) ;
  • 배우석 ((주)나노지오이엔씨 기술연구소)
  • Received : 2011.02.10
  • Accepted : 2011.04.03
  • Published : 2011.05.01

Abstract

As a result of population growth and economic growth, household and industrial wastes continue to rapidly increase every year. Especially, sewage sludge produced at final stage is increasing with the constant construction and putting in good order of the sewage plant. In addition to the government's prohibition for filling up the sludge, it became more and more difficult to discharge wastes to the sea as London Dumping Convention '96 came into effect. And sewage sludge and the livestock wastes are expected to be thoroughly prohibited from discharging to the sea from 2012. So we need desperately economical and useful alternatives to compact and reuse these wast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utilization of solidified sludge-soil mixture as an enhancement and covering material. To determine the proper mixed ratio of solidified sludge, this study conducted basic physical properties tests, compaction tests, uniaxial compression tests, and permeability test.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ratio of solidified sludge, the lower the coefficient of permeability. Upon the results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 the mixed ratio of solidified sludge that meet the enhancement material condition was 59% or lower for SP granite soil and 48% or lower for SM granite soil respectively.

최근 인구 증가 및 경제성장으로 인한 생활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산업의 고도화로 인하여 산업폐기물이 매년 증가 추세에 있다. 그중 우리나라의 하수처리장에서 최종산물로 발생하는 하수슬러지는 하수관거정비 및 하수처리장 건설사업의 지속적인 추진으로 인해 하수슬러지의 양은 매년 크게 증가하고 있지만 슬러지의 직매립 금지와 런던협약 '96 의정서가 발효되면서 폐기물의 해양배출규제가 대폭 강화됨에 따라 하수슬러지의 해양배출이 사실상 어려워지고 있으며, 2012년부터는 하수슬러지 및 축산폐수의 해양배출을 전면 금지할 계획에 있어 매립처분 및 해양 배출을 대체할 경제적이면서 실용적인 감량화 및 재활용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하수슬러지를 주재료로 사용하고, 지역토사를 혼합재로 사용하면서 복토재 및 쌓기재료로 적합한 혼합 비율을 결정하는 것이다. 적절한 혼합 비율을 결정하기 위해 기본적인 물리적 특성실험, 다짐실험, 일축압축실험, 투수실험을 수행했다. 그 결과 슬러지고화물의 비율이 높을수록 투수 계수가 낮아졌다. 결론적으로 매립지 복토재 상태에 부합하는 최적의 투수 계수는 슬러지 고화물의 혼합비가 13%이거나 그 이상일 때 얻어졌고 쌓기재에 만족하는 슬러지 고화물의 비율은 흙의 종류에 따라 SP일 경우 48% 이하일때, SM일 경우 59% 이하의 비율일 때 충족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민길(2007), 정수장 슬러지를 활용한 하수슬러지의 고화처리 및 복토재 제조 연구,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pp. 1-124.
  2. 김영관, 조흥재(1995), 석회 안정화 슬러지와 플라이애쉬 혼합재의 매립지 복토재로의 이용타당성에 대한 연구, 한국폐기물학회지, Vol. 12, No. 4, pp. 410-420.
  3. 남영우, 박태욱, 박주양, 박경태(2001), 성토재로의 재활용을 위한 하수슬러지의 석회계 고화재를 이용한 안정화 연구, 한국폐기물학회지, Vol. 18, No. 7, pp. 612-618.
  4. 박흥규, 구제민(2002), 유기질 혼합토의 토공재로서의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Vol. 3, No. 4, pp. 29- 35.
  5. 유남재, 김영길, 박병수, 정하익(1999), 하수슬러지의 차수재 및 복토재로의 이용타당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Vol. 15, No. 2, pp. 43-71.
  6. 유남재, 김영관, 조흥재, 장지희(1994), 안정화된 도시하수 슬러지의 매립지 성토재 및 복토재 활용에 관한 연구, 1994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 673-676.
  7. Barlaz, M. A. Ham, R. K. and Schaefer, D. M.(1990), Methane Production from Municipal : A Review of Enhancement Techniques and Microbial Dynamics, CRC Critical Reviews in Environmental Control, Vol. 19, No. 6, pp. 557-584. https://doi.org/10.1080/10643389009388384
  8. Indraratna, B. and Chowdhury, R. N.(1996), Improvement of a Residual Soil with Industrial By-products, Proceedings of the Second International Congress on Environmental Geotechnics, IS-Osaka96, Japan, Vol. 2, pp. 733-738.
  9. Rhew, R. D. and Barlaz, M. A.(1995), Effect of Lime-stabilized Sludge as Landfill Cover on Refuse Decomposi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ASCE, Vol. 121, No. 7, pp. 499- 506. https://doi.org/10.1061/(ASCE)0733-9372(1995)121:7(499)
  10. Shenbaga, R. K.(1996), Fly Ash and Fly Ash-Soil Mixture for Embankment Construction, Proceedings of the Second International Congress on Environmental Geotechnics, IS-Osaka96, Japan, Vol. 2, pp. 757-7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