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학교육 체제 개선을 위한 공과대학 이해관계자의 인식 조사 연구 - ${\bigcirc}{\bigcirc}$ 대학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ngineering College Stakeholder's Perceptions for Improvements of Engineering Education System

  • 박기문 (충남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
  • 이규녀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
  • 김영민 (충남대학교 대학원 공업기술교육학과)
  • 투고 : 2011.07.31
  • 심사 : 2011.09.23
  • 발행 : 2011.09.30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공학교육 이해관계자(stakeholder)인 교수, 학생, 직원/조교들을 대상으로 공학교육인증제를 포함한 공학교육 체제에 대한 만족도와 개선사항을 조사 분석하여 공학교육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공학교육 체제의 실효성 있는 개선방안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터한 공학교육 체제의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습실 및 장비 등 교육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수요자 요구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토대로 중장기 교육환경 개선과 재정이 확보되어야 한다. 둘째, 공학교육 이해관계자간 관계 증진을 위하여 멘토링 프로그램과 미래상담설계 등의 제도가 실효성 있게 재정비 되어야 한다. 셋째, 교육 행정서비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서비스의 질 평가를 통한 우수 직원/조교에 대한 보상과 직무교육 강화 등의 개선이 요구되며, 공학교육인증제와 관련한 행정 업무의 단순화와 전담인원 충원 등이 검토되어야 한다. 넷째, 공학교육인증제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공학교육혁신센터의 위상 강화와 체계적인 홍보 체제가 필요하며, 외부 인사가 포함된 '공학교육 체제 평가 협의회(가칭)'와 같은 공학교육 평가 전문가 위원회가 필요하다. 다섯째, 공학교육인증제는 이해관계자들의 실익 부재와 행정 소요의 피로 누적 등으로 인하여 그 실효성에 대해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바 이에 대한 하여 공학교육 관련기관 차원의 방안 연구가 시급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duce the effective improvement plans of engineering education system and to provide the base materials by analyzing satisfaction and problems in the perception survey of stakeholders related in engineering education system including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System. Engineering education system improvement plans from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government and university should provide more financial support to the college in order to improve education environment such as laboratories and equipment. Second, in order to improve links among engineering education stakeholders, student-professor, student-faculty, and colleges should operate effective mentoring program and consultation plan. Third, according to service quality evaluation, colleges need to give rewards to distinguished faculties for their outstanding work and build up job training about services in order to enhance satisfaction of students and professors, Also, business related to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System should be simplified and needs to increase the number of workers exclusively responsible for this work. Forth, in order to enhance comprehension of learning outcome and outcome of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System, it is necessary to improve Engineering education innovation center's status, to establish active systematic promotion system and to operate engineering education evaluation expert committee such as 'Engineering education system evaluation council'. Fifth, because of the stakeholder's shortage of benefits and tiredness accumulation, the issue of effectiveness in engineering education institutions has raised controversy. Thus, engineering education institutions needs to take measure necessary. Moreover, engineering education improvements should be improved by reflecting opinions from professors, faculties and students who are practically planning, operating and participating engineering education program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도연, 이정동(2010). 21세기 지식기반사회의 공학교육, 미발간 자료.
  2. 매일경제 (2010.09.24.). 테마진단-이공계 인력수급, 교육혁신으로 풀어야 ....
  3. 박기문(2011). 체제분석적 접근에 기반한 공화교육프로그램의 평가모형 개발.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발행.
  4. 박유진(2009). 조직의 시스템과 리더십. http://blog.daum.net/eugene3448//(2011. 6.)
  5. 배영찬(2008). 글로벌시대의 공학교육과 공학교육 혁신. 공학교육, 15(1), 30-31.
  6. 서윤호(2008). 공학교육의 국제화와 창의적 공학교육. 공학교육, 15(2), 34-36.
  7. 엄미정(2007). 과학기술인력양성 기본계획 수립-제2차 과학기술기본계획 인력부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정책연구 2007-15.
  8. 이양원 (2010). 공학교육인증제도 도입의 효과와 문제점 분석. 공학교육혁신센터 논문지, 3, 27-40. 호남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9. 조성구(2005). 공학교육인증제도 도입의 효과와 문제접에 관한 소고. 미발간 자료.
  10. 최경호, 박정민, 송창백(2008). 공학실무 인증 . 평가방법 개발 적용방안 연구. 경북전문대학논문집, 26, 289-321.
  11. 최재원(2008). 글로벌 경제 환경하의 공학도를 위한 공학교육 혁신 방향. 공학기술, 15(1), 38-40.
  12. 한경희(2010). 서언: 21세기 공학교육, 무엇을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가. 공학교육, 17(2), 14-15.
  13. 한국공학교육인증기준(2000). 기준3 한국공학교육인증원. 문서번호 ABEEK-N-2000-2.
  14. 한지영(2008). 미국과 한국의 공학교육인증 체제 비교에 대한 사례연구. 공학교육연구, 11(1), 23-32.
  15. 함승연(2005). 전문대학 공학기술교육프로그램 인증준거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Besterfield-Scare, M., Shumman, L. J., Wolfe, H., Atman, C. J., McGourty, J., Miller, R. L., aIds, B. M., Rogers, G. (2000). Defining the outcomes: A Framework for EC2000. IEEE Transaction on Engineering Education, 43(2).
  17. Heywood, J. (2005).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in Curriculum and Instruction. Wiley-IEEE Press.
  18. Martin, E. (1995). Foundations of Technology education. Council on Technology Teacher Education, Yearbook No. 44
  19. Walkington, J. (2002). Curriculum change in engineering. European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27(2), 133-148.1) https://doi.org/10.1080/03043790210129603
  20. 한국공학교육인증원. http://www.abeek.or.kr/(2011. 1.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