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Geometrical Figure in Contemporary Fashion - In the Case of Round(${\bigcirc}$), Square(${\square}$) and Triangle(${\triangle}$) -

현대 패션에 나타난 기하도형의 표현 연구 - 원(${\bigcirc}$).방(${\square}$).각(${\triangle}$)을 중심으로 -

  • Kwen, Jin (Dept. of Fashion Design, Hanseo University) ;
  • Kang, Sook-Nyeo (Dept. of Fashion Design, Gangnungwonju National University)
  • 권진 (한서대학교 의상디자인학과) ;
  • 강숙녀 (강릉원주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1.05.23
  • Accepted : 2011.08.29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Geometrical figures have been used as artwork motifs from the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day. The area of fashion, being a part of modern art, is also largely influenced by geometry and geometrical shapes are being used as a motif for fashion design now more than ever before. However, studies about geometry in the fashion field are not yet done enough and further research is necessary. This research will therefore investigate the usages of round, square and triangular design in contemporary fashion. The main scope of this research is to look at the type of expression and analyze the intrinsic meanings of these shapes in modern fashion. This research will look profoundly in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se geometrical figures and analyze the effects and uniqueness found in the world collection introduced since 2007. As a result from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round and square objects were perceived in such a straightforward and positive way and these designs, when worn, really completed the final look. On the other hand, the triangular design was used mainly for spatial expansion and was interpreted in a more metaphorical, indirect and abstract way. The intrinsic meaning of round, square and triangle figures in contemporary fashion consists of the informal features that really steps out of the formative clothing structure. The topological changes that is formed from the interactive functions and the wholism that creates a new system through integration of the human body and clothing contains the intrinsic meaning of these geometrical figure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method of express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day fashion's geometrical figures was able to be easily understood. This work provides the useful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fashion design and the extended interpretation of clothing structure.

Keywords

References

  1. 신권희, 한석우 (1986), 조형연습, 서울: 서울산업대학교 출판부, p. 99.
  2. 정혜선 (1988), 기하학적 모티브를 응용한 복식 디자인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3.
  3. 김우리 (2006), 기하도형의 반복을 응용한 장신구 조형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
  4. 월간미술 (1999), 세계미술용어사전, 서울: 월간미술, p. 42.
  5. 정영호, 김은정, 배수정 (2009),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기하학문양을 이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 시뮬레이션, 복식, 59(6), p. 74.
  6. 현성주 (2009), 기하도형을 이용한 현대적 성화 제작원리 연구, 백석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5-7.
  7. 신권희, 한석우 (1986), 조형연습, 서울: 서울산업대학교 출판부, p. 99.
  8. 진중권 (2003), 미학 오딧세이1: 에셔와 함께 탐험하는 아름다움의 세계, 서울: 휴머니스트, pp. 28-30.
  9. 신선진 (1989), 구성주의에 있어서 기하학적 표현양상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3.
  10. 윤상은, 서정연 (2004), 실내 구성요소의 기하학 조작을 통한 역동성 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6(2), p. 94.
  11. 강민구 (2002), 안도 다다오 건축의 기하학적 형태구성에 다른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1.
  12. 김우리 (2006), 기하도형의 반복을 응용한 장신구 조형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5.
  13. 황태주 (2010), 자연법칙으로서 기하학과 공간 개념의 전개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79(2), p. 90.
  14. 유수경, 김의경 (2002), 마를렌느 비오네의 작룸에 나타난 기하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0(6), p. 167.
  15. 이명식 (2009), 건축디자인에 있어서 위상기하학의 적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5(10), p. 173.
  16. 이명식 (2009), 건축디자인에 있어서 프랙탈 기하학의 적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5(5), p. 166.
  17. 박경애 (2000), 입체조형연구, 서울: 기문당, p. 50.
  18. 박은아 (2001), 기하도형을 이용한 만다라 표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pp. 10-12.
  19. 김우리 (2006), 기하도형의 반복을 응용한 장신구 조형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
  20. Rudolf Arnheim (1990), Toward a Psychology of Art, 김재은 역 (1995), 예술심리학, 서울: 이화여대 출판부, p. 488.
  21. 자료검색일 2011. 5. 12, http://imgv.search.daum.net
  22. 진중권 (2008), 서양미술사1: 미학의 눈으로 읽는 고전 예술의 세계, 서울: 휴머니스트, pp. 39-40.
  23. 김우리 (2006), 기하도형의 반복을 응용한 장신구 조형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4-6.
  24. 김우리 (2006), 기하도형의 반복을 응용한 장신구 조형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7-9.
  25. 이지은 (2008), 기하도형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가방디자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1-12.
  26. 박경애 (2000), 입체조형연구, 서울: 기문당, p. 106.
  27. 김형자 (1998), 기하학적 추상을 응용한 장신구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7.
  28. 윤상은, 서정연 (2004), 실내 구성요소의 기하학 조작을 통한 역동성 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6(2), p. 94.
  29. 엄형석 (1991), 현대건축의 반중력적 표현양상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7.
  30. 서춘수 (1993), 건축구성에 있어서 형태질서와 기하학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17.
  31. 자료검색일 2011. 4. 20, http://search.daum.net
  32. 자료검색일 2011. 4. 20, http://search.daum.net
  33. 임미라 (2006), 인식도구로서 기하학 관념의 적용에 따른 헤어지다니 표현유형 연구, 한국패션뷰티학회지, 4(1), p. 29.
  34. 김용국 (1992), 동서양의 공간간과 기하학, 한국수학사학회지, 7(1), p. 58.
  35. 황태주 (2010), 자연법칙으로서 기하학과 공간 개념의 전개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79(2), p. 93.
  36. 천부경은 9000년전 한국으로부터 구전되던 경전이며, 81자에서 설명되는 원리는 동서양의 고대 경전과 신화․설화 등 모든 부분과 연결된다. 따라서 천부경은 우리민족이 수 천년간 전해온 고유의 학문체계에 가장 근본이 되는 경전이며 음양오행의 기본 원리가 명백하게 유도되는 자료이다.
  37. 강무학 (1991), 단군조선의 원방각 문화, 서울: 명문당, pp. 119-188.
  38. 최지윤 (2005), 기하학형의 다원주의적 해석을 적용한 패브릭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7.
  39. 임미라 (2006), 인식도구로서 기하학 관념의 적용에 따른 헤어지다니 표현유형 연구, 한국패션뷰티학회지, 4(1), p. 31.
  40. 이병하 (2007), 바로크 조형 양식에 나타난 비선형적 특성,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32.
  41. "국립국어원: 사각형", 자료검색일 2011. 5. 1, www.korean.go.kr
  42. 임미라 (2006), 인식도구로서 기하학 관념의 적용에 따른 헤어지다니 표현유형 연구, 한국패션뷰티학회지, 4(1), p. 31.
  43. 전혜숙 (2008), 몬드리안의 방: 신조형주의, 새로운 삶을 위한 예술, 서울: 열화당, p. 66.
  44. Rudolf Arnheim (1993), 정용도 역 (1995), 중심의 힘, 서울: 눈빛, pp. 20-50.
  45. 전영기 (2005), 건물을 통한 기하학적 조형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6.
  46. "국립국어원: 삼각형", 자료검색일 2011. 5. 1, www.korean.go.kr
  47. 윤상은 (2005), 실내 구성요소의 기하학적 조작을 통한 역동성 표현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8.
  48. Carol Strickland (1998), A Crash Course in Art History from Prehistoric to Post-modern, 김호경 역 (2000), 클릭 서양미술사, 서울: 애경, p. 301.
  49. 하미향 (2009), 소재혼합과 미니멀 표현에 의한 섬유제품 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5-26.
  50. 자료검색일 2011. 5. 10, http://www.firstview.com
  51. 송혜영 (2008), 위상기하학적 개념에 의한 실내공간의 판의 연속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54.
  52. 유클리드 토마스히드 (2002), 기하학 원론, 서울: 교우사, p. 26.
  53. 이명식 (2009), 건축디자인에 있어서 위상기하학의 적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5(10), pp. 170-173.
  54. 이윤경 (1999), 카오스이론에서의 비선형성의 조형적 접근을 통한 환경디자인 모형사례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52.
  55. 김은주 (2005), 환경친화공간의 미적 지원성 표현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3-27.
  56. 권진(2006), 현대 평면의에 나타난 형태미에 관한 연구, 복식, 56(7), p. 120.
  57. 이은정 (2006), 실내공간의 비선형적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8(1), p. 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