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Dining Out Consumption Behavior of Working Women Based on Lifestyle - Focused on Daejeon City -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직장여성의 외식소비행태에 관한 연구 - 대전지역을 중심으로 -

  • 김근종 (건양대학교 글로벌관광학부) ;
  • 전명숙 (건양대학교 글로벌관광학부)
  • Received : 2011.03.09
  • Accepted : 2011.09.02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ining out consumption behavior of working women based on their lifestyle. To do this, demonstrative research was conducted on studying how the behavior of working women differs according to their lifestyle. The questionnaires developed for this study were distributed to 350 working women living in Daejeon City. A total of 31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used for analysis, and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completed using SPSS(ver 12.0) for descriptive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A total of 4 factors were generated by factor analysis: Financial technology style, pursuit of dining out style, pursuit of popularity style, pursuit of brand style. The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sumer behavior by lifestyle of working women show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5 factors except time required for meal. To sum up, lifestyle of working women plays an important role in dining out consumption behavior. Therefore, marketing strategies abou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dining out consumption of working women are urgently needed.

본 연구의 목적은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직장여성의 외식소비행태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기위한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전지역에 거주하는 직장여성 350명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실증분석을 위하여 배포된 응답자의 설문지를 data coding과정을 거쳐 SPSS 12.0 for Window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 기술 분석, 신뢰성분석, 요인분석, 군집분석을 사용하였다. 라아프스타일에 대한 요인분석결과로 나타난 유행 추구형, 외식 지향형, 건강 지향형, 브랜드 지향형, 여가 지향형, 재태크형 안정 추구형의 7개의 요인별 요인점수를 기준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접수를 바탕으로 전체 집단의 수를 분석한 결과 4개의 집단에서 표본의 수가 가장 안정적이고 균형을 이루고 있어 4개의 집단으로 군집을 분류하였으며 분석결과 직장여성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외식소비행태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단, 매장 내에서의 삭사소요시간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직장여성들에 대한 라아프스타일이 외식소비행태에 풍요한 변수로 작용한다는 사실로 미루어 직장여성을 중심으로 한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외식소비행태에 관련한 마케팅 계획이 절실이 필요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