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assesses the current status of community child centers in Jeollabuk-do by analyzing data from evaluations of 225 centers in 2009.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of 2004, there was a total of 37 Jeollabuk-do community child centers; the number has been increasing at a rate of 20~40% yearly. The number of community child centers has been increasing since government funding was implemented, especially as an authorization is not required to open a center. In order to prevent an excessive amount of childcare centers, and to ensure that new centers meet a standard of quality, it is necessary to examine replacing the current reporting system with an authorization system. Second, out the 6,144 children in the 255 centers, 1,711 children (27.8%) were not from low-income families. This may be positive in that children from various income level families are learning together. However, in order for the community child centers to operate as they were intended,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the itemized regulations. Third, the community child centers scored relatively poorly in utilizing community and human resources. This is because although most Jeollabuk-do childcare centers are using volunteer personnel, they are not fully utilizing community resources. The governments of the cities and counties should support the community child centers by promoting their services and roles, and thereby enable the centers to develop a network of professionals in the community.
본 연구는 전라북도 지역아동센터 현황과 실태 및 서비스 수준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라북도 지역아동센터는 2004년 이전 37개소 16.1%였으나 해마다 20~40개소씩 증가하여 왔다. 현재 지역아동센터는 신고제이기 때문에 정부지원이 시작된 이래 개소수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역아동센터의 난립을 억제하고, 신설되는 지역아동센터의 경우는 일정수준 이상의 환경을 구비하도록 하기 위하여 신고제에서 허가제로의 전환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전라북도 지역아동센터 225개소의 이용아동 총 수 6, 144명 중 일반아동이 1,711명 27.8%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가지표에서도 이용 아동 및 출석 영역의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일반아동과 취약계층 아동의 통합적 보호라는 점에서 바람직할 수 있으나, 지역아동센터의 정체성을 확보하고 사업목적에 맞는 운영을 할 수 있도록 세부 규정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세째, 지역사회 유관기관 및 인적자원 활용 영역의 점수가 다른 지표 항목에 비교해서 낮은 점수를 보였다. 이는 전라북도 지역아동센터의 대부분이 자원봉사자는 활용하고 있지만 지역사회 연계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시 군 구가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지역아동센터의 기능과 역할을 홍보하고 지역의 전문 인력과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