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vention Effect of Oral Disease through School-based Toothbrushing Program in Daejeon after 30 months

대전 양치교실사업 30개월 경과시점의 구강병 예방효과

  • Park, Hoo-Seob (Department of Public Health, The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Nam, Hae-Sung (Department of Public Health, The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Choi, Yu-Kyoung (Daejeon Dong-gu Public Health center) ;
  • Song, Eun-Joo (Daejeon Dong-gu Public Health center) ;
  • Hwang, Soo-Jeong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College of Medical Science, Konyang University)
  • 박후섭 (충남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
  • 남해성 (충남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
  • 최유경 (대전 동구보건소) ;
  • 송은주 (대전 동구보건소) ;
  • 황수정 (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치위생학과)
  • Received : 2011.02.07
  • Accepted : 2011.04.13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ention effect of oral disease on the school-based toothbrushing program(SBTBP) in Daejeon in 30 months. The experimental subjects were the 5th grade's 70 students who have gone to school with the school-based toothbrushing program since the 3th-grade. The control school was located in close geographical area with similar economical status. The questionnaire about oral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 was done by self-recording. After one dentist examined the 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status, the gingival crevicular fluid(GCF) was collected with #25 paperpoint for 1 miniutes. Matrix Metalloproteinase(MMP)-9 in GCF was analyzed by ELISA. The SBTBP group had the upper oral health knowledge than the control significantly(p<0.001), but, the SBTBP group had no difference of the oral health behavior from the control. Although the SBTBP group had the lower plaque index than the control significantly(p=0.02), the SBTBP group had no difference of the gingival index, calculus index and the concentration of MMP-9 in GCF from the control. In conclusion, The SBTBP had the effect to reduce the dental plaque and to improve the oral health knowledge. On the other hand, the effect to prevent 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disease of SBTBP was not clear.

본 연구는 대전 양치교실사업의 2년 6개월경과 시점에서 구강병 예방효과를 추구조사연구로 보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2008년부터 2010년 5월 현재 양치교실이 설치되어 있는 대전 동구 D초등학교 5학년 학생 70명을 실험군으로 선정하였으며 대조군으로는 지리적, 경제적 상태, 학교 규모가 비슷할 것으로 예측되며 학교장의 협조를 얻을 수 있었던 대전 동구 S초등학교 5학년 학생 70명을 선정하였다. 조사방법은 구강검사로 치면세균막검사, 치아우식증검사를 양치교실 경과 6개월 시점, 18개월 시점, 30개월 시점에 실시하였으며, 30개월 시점에서는 치은지수검사, 치은열구액 수집을 추가하여 치은열구액 내 MMP-9 을 분석하였으며, 구강보건지식도 및 행위도를 분석하였다. 1. 치아우식증 관련지수에 있어서 2년 6개월 경과함에 따른 양치교실군과 대조군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치면세균막지수는 양치교실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3. 치주질환 관련지수인 치은지수, 치석지수는 양치교실군과 대조군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치은열구액 내 MMP-9의 농도에 있어서 양치교실군이 대조군에 비해 낮았으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 구강보건지식에 있어서 양치교실군이 대조군에 비해 지식상태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6. 구강보건행위도, 1일 잇솔질 횟수, 교내 양치도구 준비에 있어서 양치교실군과 대조군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양치교실사업에 있어 치면세균막제거의 효과는 검증할 수 있었으나 치아우식증예방, 치주질환예방 효과는 불분명하며 행위도나 양치도구 구비 여부를 보았을 때 현재 대전 D초의 양치교실사업이 효율적으로 운용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양치교실사업의효과를 보기위해서는 양치교실 설치 뿐 아니라 적절한 운용프로그램과 운용에 대한 책임 소재, 학교측과 학부모의 관심이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보건복지부: 2010 구강보건사업 안내. 서울: 보건복지부, 2010.
  2. 대한구강보건학회: 보건소 구강보건사업개발을 위한 연찬회보고서. 서울: 대한구강보건학회, 1986.
  3. 통계청: e-나라지표. 서울: 통계청, 2010.
  4. Ottley, C: Improving children's dental health. J Fam Health Care 12(5): 122-125, 2002.
  5. Kim JH: To open the fifth "Perio toothbrushing room" in Gwangju. Retrieved March 2, 2011, from http://www.mdtoday.co.kr/mdtoday/index.html?no=64770 (2008, September 12)
  6. 박후섭 등: 대전 초등학교 양치교실을 이용한 학교집단잇솔질 사업의 평가. 대한구강보건학회지 33(3): 474-482, 2009.
  7. 강승훈 등: 학교구강보건실 계속구강건강관리사업 효과 평가. 대한구강보건학회지 30(3): 231-242, 2006.
  8. 보건복지부: 2006년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 서울: 보건복지부, 2006.
  9. Griffiths GS: Formation, Collection and significance of gingival crevice fluid. Periodontol 2000 31(1): 32-42, 2003. https://doi.org/10.1034/j.1600-0757.2003.03103.x
  10. Chang YC et al.: Regula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production by cytokines, pharmacological agents and periodontal pathogens in human periodontal ligament fibroblast cultures. J Periodontol Res 37(3): 196-203, 2002. https://doi.org/10.1034/j.1600-0765.2002.00663.x
  11. Smith PC et al.: In situ detec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9(MMP-9) in gingival epithelium in human periodontal disease. J Periodontal Res 39(2): 87-92, 2004. https://doi.org/10.1111/j.1600-0765.2004.00705.x
  12. 김종배 등: 공중구강보건학. 4차개정판. 고문사. 서울, pp. 259-315, 2008.
  13. 예방치학연구회: 현대예방치학. 군자출판사. 서울, pp. 312, 2007.
  14. Attin T, Hornecker E: Tooth brushing and oral health: how frequently and when should tooth brushing be performed? Oral Health Prev Dent 3(3): 135-140, 2005.
  15. Ammari JB, Baqain ZH, Ashley PF: Effects of programs for prevention of early childhood caries. A systematic review. Med Princ Pract 16(6): 437-442, 2007. https://doi.org/10.1159/000107748
  16. Attin T, Hellwig E: Salivary fluoride content after toothbrushing with a sodium fluoride and an amine fluoride dentifrice followed by different mouthrinsing procedures. J Clin Dent 7(1): 6-8, 1996.
  17. Ainamo J, Parvianinen K: Influence of increased toothbrushing frequency on dental health in low, optimal, and high fluoride areas in Finland.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17(3): 296-9, 1989. https://doi.org/10.1111/j.1600-0528.1989.tb00640.x
  18. Harton SW, Lambri SE, van Palenstein Helderman WH: Effectiveness of primary school-based oral health education in West Java, Indonesia. Int Dent J 52(3): 137-143, 2002. https://doi.org/10.1111/j.1875-595X.2002.tb00618.x
  19. 보건복지부: 2000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 서울: 보건복지부, 2001.
  20. Axelsson P, Lindhe J: Effect of controlled oral hygiene procedures on caries and periodonral-disease in adults. J Clin Periodontol 5(1): 133-151, 1978. https://doi.org/10.1111/j.1600-051X.1978.tb01914.x
  21. 한지형, 한지민: 과천시 학교구강보건실 운영 및 비운영학교 학생의 구강보건의식에 관한 비교. 치위생과학회지 8(1): 28-33. 2008.
  22. 공만석, 이흥수, 김수남: 모친의 구강보건에 대한 지식, 태도, 행동과 아동의 구강보건행태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18(1): 105-109, 1994.
  23. 장계원, 박성숙: 부모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자녀의 구강보건 행태에 관한 연구. 치위생과학회지 10(6): 1049-1059, 2010.
  24. Sakki TK, Knuuttila ML, Anttila SS: Lifestyle, gender and occupational status as determinants of dental health behavior. J. Clin Periodontol 25(4): 566-570, 1998. https://doi.org/10.1111/j.1600-051X.1998.tb02489.x
  25. 신명숙 등: 한국 노인의 DMFS, DMFT 지수와 FS-T 지수의 비교연구. 치위생과학회지 10(4): 251-257,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