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ype Classification of Erosion Control Dam using Ecosystem Connectivity

생태연결성을 고려한 사방댐 유형분류에 관한 연구

  • Koo, Gil-Bon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Kim, Min-Sik (Korean Association of Soil and Water Conservation) ;
  • Kim, Chul (Southern Resional Forest Service(SFFS) Korea Forest Service) ;
  • Yu, Seung-mun (Northern Resional Forest Service(NFFS) Korea Forest Service)
  • Received : 2011.05.18
  • Accepted : 2011.07.08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Erosion control dams play a primary role in preventing or controlling natural disasters (landslide and debris flow etc.) and also conserve ecosystem in forested watersheds. This study examines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dams such as the height of ecosystem control and the ecosystem permeability of the erosion control dams under standard drawings and the existing construction work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haracterize the type classification of erosion control dams as ecosystem. Average permeability was highest on eco-piller dam (63.0%), followed in increasing order by wire rope (13.9%), silt dam (10.9%), multifunctional dam (7.2%), and gravity dam (0.4%). The height of ecosystem control was highest on gravity dam (3.2 m), followed in increasing order by multifunctional dam (1.7 m), wire rope dam (1.2 m), silt dam (0.6 m), and eco-piller dam (0.0 m). Criteria for defining the height of ecosystem control was indefinite. We grouped erosion control dams into three functional types (eco-connection, eco-semi connection, and eco-disconnection) by considering physical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ecosystem permeability and the height of ecosystem control. The type of eco-connection (permeability > 20%) had connection areas from streambed to adjacent riparian areas, and these connection areas serve as ecosystem corridors for fauna and flora. Typical wildlife species includes mammals, reptiles, amphibians, and fishes. The type of eco-semi connection (5% < permeability < 20%) had < 2 m in the eco-barrier height from streambed, however, this type of dams partially serve as wildlife corridors and often provide fish ways. The type of eco-disconnection (permeability < 5%) had > 2 m in the eco-barrier height from streambed, thereby preventing wildlife movement.

본 연구는 산지계류 및 산림유역의 산사태 등의 재해를 예방과 함께 생태적 보전을 지키기 위해 시공되는 기존 사방댐의 생태투과율과 생태차단높이의 분석에 의한 생태연결성에 대한 유형분류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 평균 표준도, 규격별 표준도 및 시공사례에 의한 평균생태투과율은 전체적으로 에코필라사방댐(64.0%) > 와이어로프사방댐(13.9%) > 슬릿트사방댐(10.9%) > 다기능사방댐(7.2%) > 중력식사방댐(0.4%)의 순으로 나타났다. 사방댐의 생태차단높이는 중력식사방댐(3.2 m) > 다기능사방댐(1.7 m) > 와이어로프사방댐(1.2 m) > 슬릿트사방댐(0.6 m) > 에코필라사방댐(0.0 m)의 순으로 나타났으나, 생태차단높이의 기준은 명확하지 않았다. 사방댐의 생태투과율과 생태차단높이의 분석을 이용하여 생태연결성 유형을 구분한 결과, 사방댐은 생태연결형, 생태부분연결형 및 생태단절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즉 (1) 생태연결형 사방댐은 하천 바닥에서부터 생태계가 개방되고, 횡단면 전체의 투과율이 20%이상으로 포유류, 파충류, 어류 및 양서류 등의 동식물의 생태적 연결성이 양호한 형태, (2) 생태부분연결형은 하천바닥으로부터 차단높이가 2 m 이하이고 횡단면 전체의 투과율이 5% 이상 20% 미만으로 상당부분 개방되고, 어도가 설치되어 양서류, 어류, 파충류 및 포유류 등의 동물의 소통이 어느 정도 가능한 형태, (3) 생태단절형은 하천바닥으로부터 차단높이가 2 m 이상이고, 횡단면 전체의 투과율이 5%미만으로 산지계류를 통한 동 식물의 생태적 연결이 거의 단절되는 형태로 구분하였다. 이상과 같이 사방댐의 유형분류는 산지계류의 수변생태계를 고려한 연구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원도. 2003. 2002 강원도 수해백서. pp. 1311.
  2. 김경남. 2008. 2006 농산촌 수해의 원인과 대책. 신(新) 산지방재사업단 국제학술회의. pp. 109-118.
  3. 김경남, 전근우, 이동섭. 2002. KOMSAT ECO 위성영상을 이용한 태풍 "루사"의 토사재해 현황 파악에 관한 연구(I). 학술림연구지 22: 38-46.
  4. 김경자. 2009. 사방댐의 환경친화성 평가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 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53.
  5. 김민식.이상호. 2010. 국내 사방공법 기술동향 - 야계 사방공작물을 중심으로-. 광해방지기술 4(1): 107-120.
  6. 김종연. 2009. 우리나라의 사방댐 정책과 현황에 대한 연구 -강원도를 사례로 -. 한국지형학회지 16(4): 131-144.
  7. 마호섭, 박진원, 이봉찬, 강원석, 원두희. 2008. 사방공작물이 계곡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분석. 2008년 하계 한국임학회 정기 학술연구발표회지. pp. 303-306.
  8. 마호섭, 박진원, 정수영. 2007. 황폐계류의 생태계보전을 위한 자연친화적 야계사방기술개발, 농림부.
  9. 박배생. 2007. 슬릿트사방댐의 현황과 개선방향. 강원대학교 대학원 농학석사학위논문. pp. 62.
  10. 북부지방산림청. 2011. 자연친화적인 사방댐 설계.시공 매뉴얼. pp 98.
  11. 산림조합중앙회. 2008. 산림조합 수해복구 백서. pp. 583.
  12. 산림청. 2003. '02 태풍 "루사" 수해복구 자료 모음집. pp. 802.
  13. 산림청. 1998. 사방사업교본. pp. 515.
  14. 산림청. 2008. 국가산림생물다양성 기본계획.
  15. 이도형, 이기환, 이헌호, 마호섭, 배관호, 김종현. 2009. 황폐계류의 사방공작물 시공에 따른 저서성 대형무척추 동물상의 변화 - 시공 직후의 변화를 중심으로 -. 한국생태학회지 23(4): 353-364.
  16. 이천용, 전근우, 김종선, 박종석, 윤호중, 이창우. 2007. 100년(1907-2007)동안의 사방 사업 및 연구의 변화와 금후 방향. 산림과학논문집 70호. pp. 1-30.
  17. 임수연. 2006. 지리산 국립공원에 서식하는 수서무척추동물의 생물다양성 및 군집구조. pp. 70.
  18. 전근우. 2004. 재해 저감을 위한 효과적인 사방댐 시공(I) -불투과형 사방댐의 경우 -. 산림공학기술 2(1): 1-12.
  19. 전근우. 2006. 유목(流木)재해와 방지대책. 방재연구 8(3): 13-22.
  20. 전근우, 양동윤, 김석우, 김경남, 김재헌. 2005. 피해저감을 위한 효과적인 사방댐 시공기준(II) - 투과형 사방댐인 경우 -. 산림공학기술 3(2): 103-124.
  21. 전근우, 차두송, 마호섭, 박종민, 이준우, 김경남, 서정일, 이재선. 2003. 환경친화적 사방 공법의 정립(I) -개념 정 립 -. 산림공학기술 1(1): 5-14.
  22. 태풍 '루사'에 의한 산지재해 합동조사단. 2002. 2002 태풍 '루사'에 의한 산지재해 원인과 복구대책. 임업연구원. pp. 317.
  23. 橋岡伸守. 1993a. 環境に優しい治山事業 その(1). 治山 37(11): 8-16.
  24. 橋岡伸守. 1993b. 環境に優しい治山事業 その(2). 治山 37(12): 9-14.
  25. (社)砂防學會.環境と調和した砂防事業に關する硏究委員會. 1994. 環境と調和した砂防に關する硏究 - 特に景觀問題について-. (社)砂防學會. pp. 89.
  26. 森林水文學編集委員會. 2007. 森林水文學 - 森林の水のゆくえを科學する-. 森北出版株式會社. pp. 337.
  27. 御坊田裕己, 山下正吉. 1992. 北海道における新しい砂防. 地形 13(4): 301-308.
  28. 島谷幸宏. 2000. 河川環境保全と復元 - 多自然型川づくりの實際-. 鹿島出版.
  29. 池谷浩, 吉松弘行, 南哲行, 寺田秀樹, 大野宏之. 2001. 砂防.山すべり.がけ崩れ.雪崩防止工事ハンドブック. 山海堂. pp. 380.
  30. Bilby, R.E. and Bisson, P.A. 1998. Function and distribution of large woody debris. Pages in R.J. Naiman and R.E. Bilby, eds., River Ecology and Management: lessons from the Pacific coastal ecoregion. Springer-Verlag, New York. 324-347.
  31. Gregory, S.V., Boyer, K.L. and Gurnell, A.M. 2003. The ecology and management of woody debris in world river. American Fisheries Society, Symposium, 37, Bethesda, Myryland.
  32. Harmon, C.W., Franklin, J.F., Swanson, F.J., Sollins, P., Gregory, S.V., Lattin, J.D., Anderson, N.H., Cline, S.P., Aumen N.G., Sedell, J.R., Lienkaemper, G.W., Cromack, K. Jr. and Cummins, K.W. 1986. Ecology of coarse woody debris in temperate ecosystems. Advanced in Ecological Research 15: 133-302.
  33. Vannote, R.L., Minshall, G.W., Cummins, K.W., Sedell, J.R. and Cushing, C.E. 1980. The river continuum concept. Canadi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37: 130-137. https://doi.org/10.1139/f80-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