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Landscape of Cheongpunggye

청풍계(淸風溪) 경관에 관한 연구

  • Lee, Jin-Hyang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Sangmyung University) ;
  • Lee, Jae-Keun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Sangmyung University)
  • 이진향 (상명대학교 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 이재근 (상명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Received : 2010.12.01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Cheongpunggye is located in a valley where Baekaksan, the main mountain of Seoul and Inwang Mountain corresponding to right-white tiger(石白虎) divination based on topography are crossed. The owner of Cheongpunggye is Seonwon Kim Sangyong and many people had visited there without pause because of beautiful landscape since the early times of Chosun. Seonwon Kim Sangyong had ever studied together with Yulgok Yi I and Woogye Seong Hon. He was one of the Western faction(Seo-in) which was the leading power of Injo Coup and died for his chastity during Second Manchu Invasion of Chosun. He is known as a model of fidelity which is a symbol for scholar's spirit in Chosun together with his younger brother Cheongeum Kim Sangheon. Jangdong region, the clan village of New Andong family was the birthplace of Yulgok School which was the fundamental of scholar spirit of Chosun. And Jangdong would be the source of Jin-Gyeong(Real Scenery) Culture which was bloomed by Baekak club composed of Gyeomjae Jeong Seon, Sacheon Lee Byeongyeon, and Gwanajae Cho Yeongseok.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explored the placeness of Seochon region through the historical background like the relation between Jangdong, the clan village of Andong Kim family and Andong Kim family, and achievements of Seonwon Kim Sangyong and circumstances of that times. Second, this study tried to know original landscape of Cheongpunggye by investigating location, topography, water system etc. based on analysis of literature, old map, and paintings describing Cheongpunggye. The study was progressed in this way. To infer the original landscape, about 50 landscape elements of Cheongpunggye shown in Punggyejibseunggi(楓溪集勝記), Cheongpunggye Cheop, Cheongpunggye(淸風溪), the work of Gyeomjae Jeong Sean were searched, and then the location and form of the elements was analyzed. Furthermore, by analyzing the meanings of the names for the landscape elements, the thoughts(Naturalism, Taoism, Confucianism, Buddhism) supporting the structure of Cheongpunggye could be inferred. It is thought that these findings can contribute to exploration of placeness of Cheongpunggye. The study on original landscape of Cheongpunggye can be used as basic data when these works are executed-revival of Cheongpunggye, restoration of small streams in upper part of Cheonggyecheon, renewal of Seochon region.

서울의 주산인 백악산과 우백호에 해당하는 인왕산이 만나는 계곡에 위치한 청풍계는 선원 김상용의 소유로 조선 초기부터 경관이 아름답기로 알려져 사람들이 끊이지 않는 별서지였다. 선원 김상용은 율곡 이이와 우계 성혼 등과 함께 수학하며 인조반정의 주도세력인 서인의 한 사람으로 병자호란 시 강화도에서 순절한 인물이며, 동생인 청음 김상헌과 함께 조선 선비의 표상인 충절의 표본으로 알려지고 있다. 신안동김씨의 세거지인 장동 일대는 조선 선비정신의 근본인 율곡학파의 근원지이며 조선 후기 겸재 정선, 사천 이병연, 관아재 조영석과 같은 백악사단의 활동으로 진경문화가 꽃 핀 진경문화의 발상지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첫째, 안동김씨의 세거지인 장동과 안동김씨의 관계 등 역사적 배경과 청풍계의 주인인 선원 김상용의 행적과 시대적 상황을 통해서 서촌 일대의 장소성을 규명하고, 둘째, 청풍계를 묘사한 문헌과 고지도, 회화를 분석하여 청풍계의 입지와 지형, 수계 등을 파악하여 청풍계의 원형경관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의 진행은 "풍계집승기(楓溪集勝記)"와 "청풍계첩" 겸재 정선의 <청풍계(淸風溪)> 도(圖) 등에 나와 있는 청풍계 50여개의 경관요소를 도출하여 경관요소의 위치 형태 분석을 통하여 원형경관을 유추하였다. 또한 경관요소 명칭의 의미를 분석하여 청풍계 조영의 기반이 되는 사상(자연주의 사상, 신선사상, 유교사상, 불교사상)을 추정할 수 있었으며, 이는 청풍계의 장소성 규명에 이바지하리라 사료된다. 청풍계 원형경관에 관한 연구는 청풍계의 재현, 청계천의 상류 지천 복원 사업의 수계, 서촌 일대 도시재개발사업시행 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명관(2009). 사라진 서울. 서울: 푸른역사.
  2. 고동환(2007). 조선시대 서울도시사. 파주: 태학사.
  3. 고연희(2006). 조선시대 산수화, 아름다운 필묵의 정신사. 파주: 돌베개.
  4. 김병기(2007). 조선명가 안동김씨. 파주: 김영사.
  5. 서울시문화사학회(1999). 서울의 잊혀진 마을 이름과 그 유래. 서울: 국학자료원.
  6. 심승희(2004). 서울 시간을 기억하는 공간. 서울: 나노미디어.
  7. 이규목(2002). 한국의 도시경관. 서울: 열화당미술책방 017.
  8. 이기봉(2008). 조선의 도시, 권위와 상징의 공간. 서울: 새문사.
  9. 이종묵(2006). 조선의 문화공간. 서울: 휴머니스트.
  10. 장동수 엮음(2009). 전통문화환경에 새겨진 의미와 가치. 파주: 도서출판 조경.
  11. 최완수(1993). 겸재정선 진경산수화. 서울: 범우사.
  12. 최완수(2004). 겸재의 한양진경. 서울: 동아일보사.
  13. 한국어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