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Interpretation of the Landscape Meaning and Culture of Anpyung-Daegun(Prince)'s Bihaedang Garden

안평대군 비해당(匪懈堂) 원림의 의미경관과 조경문화

  • Shin, Sang-Sup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 Rho, Jae-H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신상섭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1.02.11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In this study, the series-poem, Bihaedangsasippalyoung(48 poems for beautiful scene of Bihaedang), written by scholars of Jiphyonjeon for Bihaedang garden of Anpyung-Daegun(Prince Anpyung, 1416-1453), was analyzed focusing on scenery lexeme to interpret the meaning of scenery and gardening culture of Sadaebu(noblemen) during the first term of Chosun Dynasty. The study result is as followings. First, the subtitle of Sasippalyoung(48 poems) written by Anpyung-Daegun while he grew Bihaedang garden on the foot of Inwang Mountain showed repetitive nomativity comparing joining of yin and yang, such as life and form of animal and plan, time and space, meaning and symbolism, etc. Among scenery lexemes, 38 are represented plant and flowers, and 8 are represented gardening ornaments and animals. Second, the names of gardens were expressed as Wonrim, Jongje, Imchon(Trees and Ponds), or Hwawon(Flower garden), or also presented as Gongjeong(Empty garden), Manwon(Full garden), Jungjeong(Middle garden), Huwon(Backyard), Wonrak(Inner court), or Byulwon(Seperated garden) depending on density and location. In addition, there were pavilions and ponds, stepping stones and stairs, a pergola, a flat bench, flowerpots, an artificial hill, oddly shaped stones, wells, aviary, flower beds, or hedges. A gardener was called Sahwa(flower keeper), planting and gardening of garden trees were called Jaebae(cultivation), a pond island was called Boogoo(floating hill), and miniature landscapes were called Chukjee(reduced land). Third, willows were planted on the outdoor yard, and plum trees were planted in front of the library, which led to bamboo woods road. Peony, camellia, tree peony and crepe myrtle were planted on the inner court with mossy rocks, small artificial hills, glass rocks, flower pots. There were rectangular ponds, while breeding deer, dove, rooster, and cranes. Fourth, landscape elements were enjoyed as metaphysical symbolic landscape by anthropomorphism, such as (1) gentlemen and loyalty, (2) wealth and prosperity, (3) Taoist hermit and poetical life, (4) reclusion and seclusion, (5) filial piety, virtue, introspection, etc. In other words, the garden presented a variety of gardening culture appreciating meaningful landscape, such as investigation of things, reclusion and seclusion, and building orientation of a fairyland yearning eternal youth and Mureungdowon(Taoist Arcadia) by making a garden blending beautiful flowers and trees, with precious birds and animals. Fifth, there were many landscape appreciation schemes, such as Angkyung(looking-up), Bukyung(looking-down), Jeokyung(looking-under), Chakyung(bringing outer space into inside), Yookyung(flower viewing), Yojeong(walking around the garden enjoying flowers), Hwasaekhyangbyuk(flower gardening), and Garden appreciation enjoying landscape through time and seasons with different inspirations.

안평대군(1416-1453)의 비해당 원림을 대상으로 집현전 학사들이 차운한 연작시 '비해당사십팔영'의 경관 어휘소를 분석하여 조선 전기 사대부정원에 담긴 의미경관 및 정원문화를 해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안평대군이 인왕산 기슭에 비해당 원림을 가꾸면서 제영한 '사십팔영'의 소표제는 동식물의 태생과 형태, 시간과 공간, 그리고 의미와 상징성 등을 음양의 접합과 같이 대비적으로 연작하는 규범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경물 중 38개는 식물소재를, 8개는 점경물과 동물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둘째, 정원 명칭을 원림(園林), 정제(庭除), 임천(林泉), 화원(花園)등으로, 뜰의 밀도와 위치에 따라 공정(空庭)과 만원(滿園), 중정(中庭)과 후원(後園), 원락(院落: 안뜰)과 별원(別院) 등으로 세분하여 표현하고 있다. 한편, 누정과 수경시설은 물론 디딤돌과 계단, 그늘시렁, 평상, 화분, 석가산, 괴석, 우물, 롱(籠)(새장), 꽃밭(오(塢)), 생울타리 등이 작정 소재로 다양하게 도입되고 있으며, 뜰 관리자를 사화(司花), 정원수 심기와 가꾸기를 재배(栽培), 연못 속 섬을 부구(浮丘), 축소 경관을 조성하는 축지(縮地) 등의 명칭을 사용하였다. 셋째, 바깥뜰에는 버드나무를 심었고, 서재 앞에 매화를 심어 대나무숲길로 이어지게 했으며, 화원을 만들어 작약, 동백, 모란, 배롱나무 등을 심었다. 점경물로는 이끼 낀 괴석, 작은 석가산, 유리석과 화분을 두었고, 장방형 연못을 조성했으며, 뜰에는 사슴, 꽃 비둘기, 금계, 학 등을 사육했다. 넷째, 경물을 상징화하여 (1) 군자와 절개, (2) 부귀영화, (3) 신선 풍류, (4) 은일과 은둔, (5) 기타 효행과 덕, 성찰 등 의미경관을 취했다. 즉, 기화이초와 진금기수가 어우러진 원림을 조성하여 격물치지의 교훈, 은일과 은둔문화의 대입, 불로장생과 무릉도원을 염원하는 선경처의 구축 성향 등 의미경관 요소가 다양하게 표출되고 있다. 다섯째, 경관을 취하는 기법으로 앙경(仰景)과 부경(俯景) 그리고 저경(低景), 외부경관의 차경, 꽃을 그윽하게 바라보며 의미경관을 즐기고 (유경(幽景)), 꽃구경의 흥취를 돋우며 노닐 수 있는 요정(遼庭), 꽃가꾸기 취미인 화색향벽(花色香僻) 등이 발견되고, 사계절과 시간에 따라 감흥을 달리하며 즐기는 시어가 추출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수온(1410-1481). 식우집.
  2. 김영모(2007). 시짓기와 원림 조영론. 오늘 옛 경관을 다시 읽다. 파주: 도서출판 조경. pp. 247-248
  3. 노재현, 오현경, 한상엽(2009). 비해당사십팔영의 출현식물이 조선시대 원예 관련서에 미친 영향. 한국전통조경학회지. 68: 2-6.
  4. 문화재청(2007). <비해당소상팔경시첩> 영인본 및 해설서.
  5. 서거정(1420-1488). 사가집.
  6. 성삼문(1418-1456). 성근보집.
  7. 신숙주(1417-1475). 보한재집.
  8. 안장리(1997). 비해당48영시의 팔경시적 특성. 연민학지. 5: 139-161.
  9. 안장리(2002). 한국의 팔경문학. 서울: 집문당.
  10. 안장리(2007). 조선시대 왕의 팔경향유 양상. 동양학. pp. 5-6.
  11. 유영봉(2004). 다섯사람의 집현전 학사가 안평대군에게 바친 시. 서울: 도서출판 다운샘.
  12. 유영봉(2006). 비해당사십팔영의 성립배경과 체제; 소상팔경도시권 과 몽유도원도의 제작에 연관하여. 한문학보. 15: 159-191.
  13. 이상희(1997). 꽃으로 보는 한국 문화 1.3. 서울: 넥서스Books.
  14. 이승소(1458). 삼탄집.
  15. 이종묵(2002). 안평대군의 문학 활동 연구. 진단학보. 93: 257-275.
  16. 이종묵(2006). 조선의 문화공간. 1책. 서울: 휴머니스트. pp. 22-59
  17. 이완우(2005). 안평대군 이용의 문예활동과 서예. 미술사학연구. 246.247: 73-115.
  18. 이종건(1984). 瀟灑園四十八詠考, 창원대 논문집. 6(1): 3-24.
  19. 최기수(2004). 자연에서 얻는 삶과 지혜, 팔경과 구곡.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4): 133-148.
  20. 최항(1409-1474). 태허정집.
  21. http://mhj21.com/sub_read.html?uid=8050§ion=sc120
  22. http://koreandb.empas.com/history/people/detail?sn=4718
  23. http://ko.wikipedia.org/wiki/%EC%82%B0%EA%B0%80%EC%9A%94%EB%A1%9D
  24. http://mhj21.com/sub_read.html?uid=8050§ion=sc120
  25. http://blog.daum.net/siga21/142929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