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raditional Darangyi-Rice Terrace as Design Factors of Agricultural Landscape

농업경관의 디자인적 요소인 전통다랑논 조사연구

  • Son, Ho-Gi (Department of Agricultural Environment Rural Environment & Resources Division,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 Kim, Sang-Bum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 Kim, Eun-Ja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 Rhee, Sang-Young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손호기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촌환경자원과) ;
  • 김상범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김은자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이상영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Received : 2011.02.14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This study is to be used as a fundamental material of rural amenity resources researches, such as excavating, establishing and modifying national agricultural landscape resources, so as to efficiently manage them. It is carried out with targeting traditional Darangyi-Rice terrace which has design factors of agricultural landscape resources. We have set up the standard range with practicable similar standard(Marginal Farmland and Less Favored Areas and etc), those of Japan, a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Darangyi-Rice terrace already known. As a result of the field investigation, it has been revealed that a great deal of Darangyi-Rice terrace are being used for not corresponding purposes, or damaged and disappeared. For preserving and well-managing Darangyi-Rice terrace as a rural landscape resource which has rural design factors, it should be advanced detailed and accurate studies on present conditions and changes of Darangyi-Rice terrace, with researches on significances, values, utilities and economical efficiency of Darangyi-Rice terrace by regions. In addition, we utilized various spatial imagery data in the researching process. Consequently, it is concluded that if high resolution imagery data is used, it can establish rather minute and accurate large-scale DB, and monitor elaborate changes as well. It is therefore thought that its application can be higher as actualizing DB hereafter.

본 연구는 우리나라 농업경관자원의 발굴 및 구축, 수정 등 농촌어메니티자원의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농업경관자원의 관리를 효율화하고자 하는데 그 의의를 두었다. 연구의 대상지는 농업경관자원의 디자인적 요소를 지닌 전통다랑논이며, 그 기준은 한계농지, 조건 불리지역 등 도입 가능한 유사한 기준과 일본의 다랑논 기준, 기 알려진 다랑논 특성을 분석하여 기준범위를 한정하였다. 현장조사 결과, 많은 다랑논들이 다른 용도로 사용되어지거나 훼손, 소멸되고 있는 실정으로서 농촌 디자인적 요소를 지닌 농촌경관자원으로서 다랑논을 보전 관리하기 위해서는 지역별 다랑논의 의미나 가치, 효용이나 경제성 등에 대한 연구와 함께 다락논의 현황과 변화에 대한 세부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들이 진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연구수행 과정에서 다양한 공간영상자료를 활용한 결과, 최신의 고해상도 영상자료를 이용한다면 보다 세밀하고 정확한 대축척의 DB 구축은 물론 세밀한 변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어 향후 DB의 현행화를 통한 활용도를 더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상범, 이승연, 김은자, 이승주, 이상영(2009). 농촌경관의 보전과 경관관리를 위한 농촌경관계획 수립 및 적용방안 관한 기초연구. 농촌계획. 15(4): 161-172.
  2. 김상범, 이상영(2006). 농촌계획을 위한 공간별 주요경관요소에 관한 연구. 농촌계획. 12(3): 13-18.
  3. 김태훈, 김계현, 남기범, 심재현, 최우정, 조명흠(2010). 고해상도 공간영상을 이용한 자연재해 피해조사시스템 설계 및 구현.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12(1): 57-65.
  4. 강준옥, 서만철, 배상호, 이성순(1997). 문화재보존을 위한 수치자료 구축과 공간분석. 한국지형정보공간학회지. 5(2): 55-63.
  5. 기구치 아키라(2009). 문화적 경관의 정책. 한국민속학. 49(0): 7-31.
  6. 이은옥, 이혜숙, 김성삼, 유환희(2007). 공간영상정보를 이용한 토지적성평가 DB갱신. 한국지형공간학회. 춘계학술대회 포스터논문. pp. 300- 306.
  7. 이민부, 한옥, 김남신, 한주연, 신근하, 강철성(2003). 多時期 위성영상을 이용한 두만강 하류지역의 농경지 개간의 공간적 특성분석. 대한지리학회지. 33(4): 630-639.
  8. 이현직, 유지호, 유영걸(2010).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한 정밀 주제정보추출. 한국지형정보공간학회지. 18(1): 73-81.
  9. 윤경숙, 이재근(2010). 자연경관 조형화 가능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1): 113-120.
  10. 윤경숙, 이창훈, 이재근(2010). 남해 가천마을 다랑논 경관의 시각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4): 76-84.
  11. 정치영(2002). 일본의 계단식 논 보전정책과 시사점. 농촌경제. 25(2): 1-16.